View : 1001 Download: 0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또래애착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itle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또래애착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and Peer Attachment on School Adjustment Perceived by Adolescents in Transition Period : Mediating Effect of Ego Resilience, multi-group analysis of sex.
Authors
김민영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충래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peer attachment on school adjustment and mediating effects of ego - resilience,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in this relationship for elementary school to junior high school 1st grade students. So as to suggest effective ways of adapting to school life for adolescent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used secondary data analysis using data from ‘2013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which included 2,087 middle school First graders and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And used for a final analysis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d multi-group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ing: First,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peer attachment affects adolescents' adaptation to school life. In other word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more the peer attachment attitude is positively perceived, the more likely it is to adapt to school life. Second,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peer attachment and school life adaptation, ego - resilience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female students were more affected by peer attachment than boys. The relationship between ego - resilience and school adjustment was found to be more influenced by girls than boys.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arenting attitude, peer attachment, ego-resilience, and adaptation of school life was investigated by teenagers in the transition period and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specific social welfare interventions so that they could adapt well to school life. In addition, it is significant that the analysis of the adaptation variables of adolescents revealed in the previous research mediated through ego - resilience. Second, It is significant that the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the effect of peer attachment on adaptation to school life are significant in the transition period of adolescents experiencing sudden physical and emotional growth when they enter puberty. During the adolescence period, especially the transition youth experience internal changes due to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nges as well as external changes that begin with the unfamiliar life of elementary school. This results in more adaptation difficulties and conflicts due to the transition than youths at other times. In this respec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adaptation of the first graders of middle school to adolescents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from elementary school to middle school,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effective intervention plan to help adapt to the transition period. Third, Since boys and girls go through different socialization and physical development processes, gender differences are also reported in social relationships.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arenting attitude, peer attachment, and school life adaptation was investigated, and it was meaningful to analyz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according to sex difference through ego - resilience through multi - group analysis.;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진학하는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긍정적부모양육태도, 또래애착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를 높여 학교생활적응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에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하며 성별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여 청소년의 효과적인 학교생활 적응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3(KCYPS: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의 자료 중, 4차년도인 중학교 1학년 2,087명을 대상으로 하여, 남학생 여학생 차이를 검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다집단 분석 방법 등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청소년 시기에 긍정적부모양육태도와 또래애착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양육태도를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또래애착이 강한 청소년일수록, 학교생활적응을 잘 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긍정적 부모양육태도, 또래애착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또래애착과 자아탄력성 간의 관계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또래애착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성차에 따른 차별적인 개입방법이 필요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다음과 같이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전환기 청소년 학생이 지각한 긍정적부모양육태도, 또래애착, 자아탄력성, 학교생활적응 간 통합적이고 인과적인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이들이 학교생활에 잘 적응 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사회복지적 개입의 기초를 마련하는데 기여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청소년의 학교적응 변인에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하여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사춘기로 접어들어 급격한 신체적・정서적 성장을 경험하게 되는 청소년의 시기에서 전환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긍정적 부모양육태도, 또래애착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청소년 시기 중에 특히 전환기 청소년은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라는 낯선 생활을 시작하면서 겪게 되는 외적인 변화와 동시에 신체적, 심리적 변화로 인한 내적 변화를 함께 경험하게 된다. 이에 다른 시기의 청소년에 비해 전환으로 인한 적응 상의 어려움이나 갈등을 더 많이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전환하는 과정의 청소년인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에 관심을 둘 필요가 있으며, 전환기 적응을 도와줄 수 있는 효과적인 개입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셋째, 남학생과 여학생은 서로 다른 사회화 과정과 신체발달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사회적 관계에서도 성차가 다른 것으로 보고된다. 본 연구에서는 긍정적 부모양육태도, 또래애착,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동시에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하여 성차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다집단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