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상미-
dc.contributor.authorKANG, CHAE RYUN-
dc.creatorKANG, CHAE RYUN-
dc.date.accessioned2017-08-27T12:08:42Z-
dc.date.available2017-08-27T12:08:42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306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306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57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많은 여성들이 노동시장에 진출하는 것과 동시에 저출산 현상이 일어나는 것에 대한 대안을 찾기 위해 기혼근로여성을 중점으로 접근하여 실질적인 문제를 밝혀내는 것이다. 본 연구는 기혼근로여성들의 둘째 이상 자녀출산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일자리 요인, 일ㆍ가정 양립 지원 정책 이용경험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사용된 자료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2015년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ㆍ복지 실태조사」이다. 분석대상은 가임기 기혼근로여성 만 19세부터 만 49세까지의 5,429명이다. 분석은 SPSS 18.0을 사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육아휴직, 유연근무제, 배우자 출산휴가, 남성 육아휴직의 기술통계 결과가 2.4%이하로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비교분석에서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낮은 이용경험자에도 불구하고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는 것은 모든 정책의 이용경험자가 증가하면 차이가 더욱 유의하게 나타날 것이라고 이해된다. 둘째, 일자리 요인에서 개인적 요인을 통제한 결과, 종사상지위 중 정규직이 비해당(자영업자, 무급가족 종사자)보다 기혼근로여성의 둘째 이상 출산자녀여부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규직이 자영업자 또는 무급가족 종사자에 비해 사회경제적으로 안정적이기 때문에 근로유지를 위해 자녀를 출산하지 않거나 첫째 자녀를 출산한 후 출산중단을 한 것 이라고 예측된다. 셋째, 일ㆍ가정 양립 지원 정책 이용경험 요인은 출산전후휴가, 배우자 출산휴가 이용경험이 둘째 이상 자녀출산여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여성 출산휴가 이용경험뿐만이 아닌 남성의 이용경험 또한 여성이 둘째 이상 자녀를 출산을 이행하게 하는데 중요한 원인이 됐으며, 기혼남녀가 정책 이용을 통해 일ㆍ가정 양립을 수행함으로써 일과 가정에 대한 책임감을 높이고 이는 자녀를 추가로 출산하는 기회가 증가했다고 해석된다. 위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함의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출산 및 육아에 대한 부담감을 해소시켜주기 위한 정부의 일ㆍ가정 양립 지원 정책을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기혼근로여성들이 처해있는 다양한 상황을 고려하여 정책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저출산 문제는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발생하고 있으므로 단순히 일ㆍ가정 양립 지원 정책을 증가시키는 것 보다 기혼근로여성들의 정책에 대한 욕구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존에 있는 정책은 욕구에 맞게 개편하고 욕구에 부합한 정책을 증가시키는 것이 둘째 이상 자녀 출산 비율을 높이는데 중요한 방안이라고 말할 수 있다. 여성뿐만이 아닌 배우자대상의 일ㆍ가정 양립 지원 정책이 증가한다면 여성들은 양육에 대한 부담감이 더욱 해소될 것이며 둘째 이상 자녀를 출산하는 비율이 증가할 것이다. 현재 배우자 출산휴가, 남성 육아휴직과 같은 배우자대상의 일ㆍ가정 양립 지원 정책이 확대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여성에게 집중 된 만큼 남성 일ㆍ가정 양립 지원 정책을 더욱 확대하여 남성 또한 가정생활에 책임감을 가지고 일ㆍ가정 양립을 도모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factors of two ore more childbirth among married working women by focusing on job factors and experience work-family balance policy factors. The original data used for this analysis was from The 2015 Survey on The National Fertility, Family Health and Welfare in Korea, surveyed b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The sample is composed of 5,429 married working women aged between 19 to 49. Analyses used a logistic regression by using SPSS 18.0 and the principal results as follow. First,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analysi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ven though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parental leave(for men and female), flex time, paternity leave were less than 2.4%. The result was very meaningful that the result will be more significant when experiences of policies increase. Second, controlling individual factors in job factors shows that the full-time work negatively(-) affected than self-employed or unpaid family worker to two or more childbirth. It is expected that full-time workers are financially stable so many of female full-time workers make a decision that giving up the second or more birth to their job maintenance. Third, maternity leave and paternity leave from the work-family balance policy experience factors have positive(+) impact to married working women’s two or more childbirth. It is assumed that married working women and her husband‘s work-family balance policy experiences are very effective to married working women so the government need to increase work-family balance policy for both men and female to increase the responsibility of work and family. Based on the above study results,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Work-family balance policies should be changed regarding married working women's various situations to relieve the burden of childbirth and childcare. As known as various problems cause low fertility, so it is important to grasp married working women's needs from the work-family balance policy rather than simply increasing the work-family balance policy. Because the causes of low birth rate is by various factors. Therefore it can be one of solutions that the government reform the existing policies to meet married working women’s needs and increase policies based on what married working women’s needs. Also work-family balance policies for men should be increased as work-family balance policies for women. paternity leave positively impacted to married working women in this study. Currently, most of work-family balance policies are focusing on female even work-family balance policies for men, such as paternity leave are expanded. It is expected that increase work-family balance policies for men can make married working women to relieve the burden of parenting and have a responsibility for reconciliation of work and family lif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1 B.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5 C. 연구 내용 5 Ⅱ. 선행연구 6 A. 한국 자녀출산 6 1. 자녀출산율 현황 6 2. 한국의 자녀출산관련 정책 8 B. 자녀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선행연구 12 1. 일자리 요인 12 2. 일ㆍ가정 양립 지원 정책 이용경험 요인 14 3. 개인적 요인 15 Ⅲ. 연구방법 18 A.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18 B. 연구문제 및 연구가설 19 C. 연구모형 20 D. 변수의 구성 및 측정도구 21 1. 종속변수 21 2. 독립변수 21 3. 통제변수 22 E. 분석 방법 25 Ⅳ. 연구결과 26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6 1. 둘째 이상 자녀출산여부 현황 26 2. 개인적 요인 27 3. 일자리 요인 29 4. 일ㆍ가정 양립 지원 정책 이용경험 요인 31 B. 기혼근로여성의 둘째 이상 자녀출산여부 비교 33 1. 기혼근로여성의 일자리 요인에 따른 둘째 이상 자녀출산여부 집단 비교 33 2. 기혼근로여성의 일ㆍ가정 양립 지원 정책 이용경험 요인에 따른 둘째 이상 자녀출산여부 집단 비교 35 C . 변수 간 상관관계 38 D . 둘째 이상 자녀출산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9 Ⅴ. 결론 및 제언 43 A. 연구 요약 및 결론 43 B. 연구의 함의 및 한계 45 참고문헌 47 ABSTRACT 5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7731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기혼근로여성의 둘째 이상 자녀출산여부 영향요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or Two or More Childbirth among Marreid Working Women-
dc.format.pagevi, 5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