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0 Download: 0

남성 사회복지사의 이직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Title
남성 사회복지사의 이직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n Turnover experience of Male Social Workers : Focusing on Male Social Workers who Transferred from the Social Welfare Field to Another field and Returned back to Social Welfare Field
Authors
한수지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옥경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urnover experience of male social workers who transferred from the social welfare field to another field and returned back to the social welfare field, and draw the pertinent undertone in terms of the social welfare. To this end,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as used in this study. In this study, the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argeting total of 5 male social workers who were working for the social welfare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for 3 months from early October, 2016 to the end of December which was the period that IRB deliberation was permitted, and the interview content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in-case analysis and inter-case analysis adduced by Stake(1994) were carried out as the analysis method. When it comes to the in-case analysis result, participants majored in the social welfare due to the effect of their family and acquaintance, and experienced turnover at least 2 times, 8 times at most, 4.6 times on average. It was revealed one participant experienced turnover to another field twice, the other 4 men once, and they experienced turnover to various fields such as truck driving, air conditioner installer, franchise coffee shop, hospital accounting, insurance designer, and PC room operation. The inter-case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based on the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of the participants which appeared in the in-case analysis. As a result of categorizing the meaning units according to the context appearing in turnover experience of the male social workers, they were comprised of 4 categories and 17 sub-categories. The 4 categories were ‘Hello social welfare? Bye social welfare’, ‘Not-easy different way’, ‘Social worker again’, and ‘New life, new start.’ The sub-categories were ‘Days I didn’t know’, ‘Structure of communication leading to job change’, ‘Work making me exhausted’, ‘Man, anxiety as the breadwinner’, ‘Result that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effort’, ‘Coexistence of comfort and discomfort’, ‘Changed pattern of life’, ‘Uncertainty on the future’, ‘Thing I can do well, Thing I can do with confidence, Thing proper for me’, ‘Relation-oriented disposition’, High success rate and re-entry’, ‘Things that are visible at last’, ‘Having run without stopping’, ‘Stability’, ‘Male social worker in the social welfare’, and ‘Introspection on the job change experience’. The study participants entered the first job world without the enough information, and they experienced the communication and miscommunication in the relationship with their colleagues and superiors. They were tired of the overwork and low level of job satisfaction, and transferred to another field after worrying about the future for the reason of economic difficulty as the man and breadwinner. Although they felt positive about performance based wages and bonuses in another field, they could not adapt to the changed life pattern such as the irregular work hours and rising physical fatigue. They have acknowledged while working in another field that their future will be uncertain because they did not major in this field and that made this job not so promising, so they reentered the social welfare field looking for a new life where they were well trained and more comfortable. They realized their relation-oriented disposition which put stress on the relationship with their family and persons concerned when reentering. In the experience after reentering the social welfare field, the words ‘recognition and authority’ began coming out and participants wanted to be recognized in starting the social welfare work again and tried to be recognized. To look at the process of turnover, it was revealed there were having to run without stopping, hope for stability, existence of male social worker in the social welfare, and necessity of careful turnover. In particular, the feature as the male social worker was most remarkable in this part. The participants thought they were either the current breadwinner and the future breadwinner, and were looking for the sense of responsibility and the stability following it. They described the male social worker was a positively necessary existence in the social welfare field and the number of male social workers would increase gradually when the treatment for the social worker became better. On the basis of the study about the experience of male social workers who transferred to another field from the social welfare field, and returned back to the social welfare fiel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welfare institution needs to support the social workers to adapt to the work and empower their capability. Second, for social workers, they need to try actively to find their obligation duty and authority. Third, since the low wage and low social support serve as a momentum for male social workers to transfer to another field,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is required. Fourth, the effort by the government is necessary to reduce the social welfare gap between the region, corporation, and social welfare institution. The future practical and policy undertone for male social workers based o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job analysis’ inside the organization should be conducted. Second, the mission and vision of each institution should be shared with social workers and be internalized. Third, the information on the task and wage system concerning the social welfare should be provided for the preliminary male social workers during the social welfare field practice, and the wage level should be enhanced and the wage system should be unified to improve the treatment on social workers. Fourth,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incentive system to the social welfare field because the study participants evaluated ‘performance based result’ to be most positive factor in the experience of another filed. Fifth, the task distribution considering individual’s temperament and desire rather than the gender should be applied. Sixth, the main factors of the systematic and successful supervision should be apprehended to prevent the male social workers from burnout and improve the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and they should be managed by the organization. The in-depth study considering the colleagues, superiors, and colleagues from another occupation who are interacting dynamically as well as the participants having turnover experience will be needed in the follow-up stud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diversity in selecting the object of study. It is necessary to analyze what characteristics of the institution have effects on the turnover of male social workers including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social welfare institutions (religious corporation, social welfare corporation, directly managed or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centers, community welfare center for the elders, community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living facility, etc) as well as the turnover experience. It is also necessary to have an in-depth interview with the female social workers as well.;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 분야에서 타 분야로, 타 분야에서 다시 사회복지사로 돌아온 남성 사회복지사의 이직 경험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사회복지적인 함의를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사용하여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 인천 소재의 사회복지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남성 사회복지사 총5명을 대상으로 IRB 심의허가가 난 2016년 10월 초부터 12월 말까지 3개월 동안 심층면접을 진행하였으며, 면접 내용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Stake(1994)가 제시한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사례 내 분석결과로 보면 참여자들은 가족과 지인의 영향으로 사회복지를 전공하게 되었고, 최소 2회, 최대 8회, 평균 4.6회의 이직을 경험하였다. 그 중 타 분야로의 이직은 참여자 1명이 2회, 나머지 4명이 1회의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탑차 운전, 에어컨 설치기사, 플랜차이즈 커피숍, 병원회계, 보험설계사, PC방 사장 등 다양한 분야로의 이직경험이 있었다. 사례 간 분석에서는 사례 내 분석에서 나타난 참여자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기반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분석하였다. 남성 사회복지사들의 이직 경험에서 나타나는 맥락에 따라 의미단위들을 범주화한 결과 4개의 범주와 17개의 하위범주로 구성이 되었다. 4개의 범주는 ‘사회복지야~ 안녕? 사회복지여~ 안녕!’, ‘쉽지 않은 다른 길’, ‘다시 사회복지사’, ‘새 인생, 새 출발’이었으며, 하위범주로는 ‘잘 몰랐던 시절’, ‘이직으로 이어진 소통의 구조’, ‘나를 지치게 하는 업무’, ‘남자, 가장으로서의 근심’, ‘노력에 따라 달라지는 결과’, ‘편안함과 불편함의 공존’, ‘변화된 삶의 패턴’,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잘할 수 있는 일, 자신 있는 일, 잘 맞는 일’, ‘관계지향적인 성향’, ‘높은 합격률과 재 진입’, ‘비로소 보이는 것들’, ‘쉬지 않고 달려옴’, ‘안정감’, ‘사회복지 속의 남성 사회복지사’, ‘이직경험에 대한 성찰’ 등으로 분류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충분한 정보탐색이 결여된 상태에서 첫 직장에 진입을 하게 되었고, 직장동료 및 상사와의 관계에서 소통과 불통의 경험을 하게 된다. 그리고 업무과중과 업무에 대한 낮은 만족도로 지치게 되고, 남자, 가장으로서 경제적 어려움 등의 이유로 미래에 대한 고민을 하다가 타 분야로 이직을 하였다. 타 분야에서는 노력한 만큼 임금 및 실적 등이 달라지는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느꼈지만 업무 시간이 불규칙하고, 신체적 피로감이 높아지는 등 삶의 패턴이 변화하는 것에 대해 적응하지 못하였다. 또한 타 분야에서 업무를 하며 비전공분야로써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즉 장래성이 낮다는 판단 하에 잘 할 수 있고, 자신이 있는 일인 사회복지분야로 새 인생을 찾아 재 진입을 하게 된다. 재 진입 시에는 가족 및 이해관계자들과의 관계를 중요시 하는 본인의 관계지향적인 성향을 깨달았다. 사회복지분야로 재 진입한 이후의 경험에서는 참여자들로부터 ‘인정과 권한’이라는 단어가 나오기 시작하였으며, 참여자들은 다시 사회복지업무를 시작함에 있어서 인정을 받고 싶어 했고, 인정을 받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직의 과정을 돌아보면 쉬지 않고 달려옴, 안정감을 원함, 사회복지 속의 남성 사회복지사의 존재, 신중한 이직의 필요성이 있음이 나타났다. 특히, 이 부분에서는 남성 사회복지사로서의 특징이 가장 두드러졌다. 참여자들은 본인이 현재 가장(家長), 미래의 가장(家長)이라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그에 따르는 책임감과 안정감을 찾고 있었다. 또한 사회복지분야에서 남성 사회복지사는 꼭 필요한 존재이며, 사회복지사에 대한 처우가 좋아지면 점차적으로 남성 사회복지사도 증가하게 될 것이라고 서술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 분야에서 타 분야로, 타 분야에서 다시 사회복지 분야로 돌아온 남성 사회복지사의 경험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 기관은 사회복지사가 업무에 적응하고, 역량이 강화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하는 준비가 필요하다. 둘째, 사회복지사에게는 자신의 의무와 권리를 찾으려고 하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낮은 임금수준, 낮은 사회적 지지는 남성 사회복지사들이 타 분야로 이직하게 되는 계기가 됨으로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 넷째, 지역 및 법인, 사회복지 기관 내에서의 사회복지 격차를 줄일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남성 사회복지사를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 내부의 ‘직무분석’이 이루어져야한다. 둘째, 각 기관의 미션·비전이 사회복지사와 공유 및 내재화 되어야 한다. 셋째, 사회복지 현장실습 진행시 예비 남성 사회복지사들에게 사회복지 관련 업무 및 보수체계에 대한 정보 제공이 필요하며, 사회복지사의 처우 개선을 위한 임금수준 향상 및 보수 체계 단일화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타 분야의 경험에서 연구 참여자들이 가장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던 ‘노력한 만큼의 결과’, 즉 인센티브 제도의 사회복지분야 도입이 필요하다. 다섯째, 성별보다는 각 개인의 성향 및 욕구를 고려한 업무 분장이 이루어져야 한다. 여섯째, 남성 사회복지사의 소진방지, 전문성 및 업무만족도 향상을 위해 체계적이고, 성공적인 수퍼비전의 주요 요인을 파악하여 조직차원에서 관리를 해야 한다. 후속연구에서는 이직 경험이 있는 참여자 뿐만 아니라 역동적 상호작용을 맺고 있는 사회복지기관의 동료 및 상사, 타 직종의 동료 등을 함께 고려한 심층적 연구가 필요하며, 연구의 대상을 선정함에 있어서 다양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직경험 뿐 아니라 다양한 사회복지기관의 특성(종교법인/사회복지법인/직영 또는 종합사회복지관/노인복지관/장애인복지관 또는 생활시설/이용시설 등)을 포함하여 기관의 어떠한 특성이 남성 사회복지사의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인지 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여성 사회복지사를 함께 심층 면접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