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1 Download: 0

메시지 측면성, 과학신념 그리고 정부신뢰도의 효과분석

Title
메시지 측면성, 과학신념 그리고 정부신뢰도의 효과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analysis of effect by Sideness(one sided vs. two sided), beliefs about science and trust of government : With focus on Risk perception, Dietary attitudes and Dietary intention about MSG and Controversy Foods.
Authors
오진경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론홍보영상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욱
Abstract
과학과 문명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과학커뮤니케이션은 필수 요소이다. 그 중에서도 일반 대중과 과학자들 사이의 견해 차이를 좁히는 것은 과학 커뮤니케이션의 궁극적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았을 때, 현재 우리나라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MSG와 관련한 사안에 대해 수치 위주로 일방향 적인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는 형식으로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MSG를 둘러싼 논쟁거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해결하려 하고 있다. 그에 따라 일반 대중들의 불안감은 고조되고 해당 기관에 대한 불신은 점점 커져가고 있다. 따라서 현재 식약처의 커뮤니케이션 형태를 되짚어보고, 대중을 고려한 과학 커뮤니케이션의 필요성을 밝혀 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MSG에 대한 메시지 측면성(일면/양면)과 과학신념(Truth/Debate), 그리고 정부신뢰도(낮음/높음)가 위험인식과 MSG섭취태도, MSG섭취의도에 유의적인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 그 효과가 유해성논란식품에 대한 태도와 유해성논란식품에 대한 의도에도 변화를 가져오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일반 대중 376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과학신념의 경우 기존 과학신념이 다양한 요인에 따라 신념의 유형이 혼재되어 신념에 따른 집단별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을 가능성을 고려하여 기존 과학신념과 조작화 된 과학신념으로 나누어 실험을 두 번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실험1에서 메시지 측면성에 대한 주효과는 위험인식과 MSG섭취태도에 대해서만 유의적인 영향력이 있었고 이 과정에서 위험인식은 매개 효과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일면적 메시지를 접한 집단은 양면적 메시지를 접한 집단에 비해 위험을 더 크게 인식하였고, 위험을 높게 인식한 일면적 메시지를 접한 집단이 MSG섭취태도에도 더 높은 수치를 보였다. MSG섭취태도에 대해 정부신뢰도의 경우 신뢰도가 높은 집단이 더 수치가 높았다. 메시지 측면성은 정부신뢰도와 상호작용 효과를 보였는데, 위험인식과 유해성논란식품 섭취태도에 대해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위험인식의 경우 정부신뢰도가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 모두 일면적 메시지를 접했을 때 더 높게 인식하였다. 그러나 유해성논란식품 섭취태도에서는 일면적 메시지를 취한 집단의 경우 정부신뢰도가 높은 집단이, 양면적 메시지를 취한 집단의 경우 정부신뢰도가 낮은 집단이 더 높은 수치를 보였다. 하지만 과학신념은 위험인식과 MSG섭취태도/의도, 유해성논란식품 섭취태도/의도 모두에 대한 주효과가 없었고 위험인식에 있어서 상호작용 효과만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과학신념이 Truth인 집단은 정부신뢰도가 높을수록 위험을 높게 인식하였고, 과학신념이 Debate인 집단은 정부신뢰도가 낮을수록 위험인식 수준이 높았다. 실험2에서도 마찬가지로 메시지 측면성은 위험인식과 유해성논란식품 섭취태도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실험 1과 마찬가지로 일면적 메시지를 접한 집단이 양면적 메시지를 접한 집단보다 위험인식 수준이 높았다. 유해성논란식품 섭취에 대해서도 양면적 메시지를 접한 집단이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실험 2에서는 과학신념도 주효과를 보였는데 위험인식과 MSG섭취태도에 대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과학신념이 Debate인 집단이 Truth인 집단보다 위험인식 수준과 MSG섭취태도 모두 높게 나타났다. 정부신뢰도는 MSG섭취태도와 유해성논란식품섭취태도에 대해 주효과를 보였다. 정부신뢰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모두 더 높은 수치를 보였다. 상호작용 효과는 메시지 측면성과 과학신념이 MSG섭취의도와 유해성논란식품 섭취태도에 대해서만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과학신념이Truth인 집단은 일면적 메시지를 접하였을 때, 과학신념이 Debate인 집단은 양면적 메시지를 접하였을 때 MSG섭취의도와 유해성논란식품 섭취태도 모두 높은 수치를 보였다. 계획된 행동이론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근거로 MSG섭취태도가 MSG섭취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유해성논란식품섭취태도가 유해성논란식품섭취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실험 1과 실험 2 모두 MSG와 유해성논란식품 모두 섭취태도가 섭취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행동의도가 태도에 의해 형성된다는 선행연구결과들을 뒷받침해주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민의 안전한 식생활을 관장하는 정부기관인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유해성논란식품에 대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의의를 가진다. 하지만 향후 연구에서는 충분한 실험대상자를 통하여 샘플의 대표성을 확보하고, 선행 연구를 통하여 섭취태도 및 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진 다양한 변인들을 통제변인으로 하여 각 집단 안에서 다른 독립변수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는 것도 의미 있는 연구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verify effect of sideness(one sided vs. two sided), beliefs about science(truth/debate) and trust of government(low/high) and inspect that the effect leads to change of dietary attitudes and dietary intention about controversy foods. For this study, researcher conducted a survey of general public(N=376). researcher practiced twice experiments(previous beliefs about science and manipulated beliefs about science) by beliefs of science because of possibility that group' distinction does not come out. On first experiment, sideness(one sided vs. two sided) has sta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risk perception and dietary attitude about MSG. Through this process, the risk perception worked parameter. To specific, group accepted one sided messages is higher than group accepted two sided messages to risk perception. group the risk perception is high and accepted one sided messages showed to positive dietary attitudes about MSG. For trust of government, high level of trust of government showed to positive dietary attitudes about MSG. Two way interaction between sideness(one sided vs. two sided) - trust of government was identified to risk perception and dietary attitudes about controversy foods. Risk perception of group accepted one sided messages is higher than group accepted two sided messages regardless trust of government. However, when group accepted one sided messages has high trust of government, level of dietary attitudes to controversy foods was positive. When group accepted two sided messages has low trust of government, level of dietary attitudes about controversy foods was positiv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two way interaction between beliefs about science - trust of government. When level of trust of government of group has truth is high, risk perception was high. When level of trust of government if group has debate is low, risk perception was high. On second experiment, result of effect of sideness(one sided vs. two sided) on risk perception same. Also, level of attitudes about controversy foods of group accepted two sided messages was higher than level of attitudes about controversy foods group accepted one sided messages. There was main effect about manipulated beliefs about science to risk perception and dietary attitudes about MSG. To specific, level of risk perception of group has debate was higher than level of risk perception of group has truth. Result to dietary attitudes sam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main effect of trust of government to dietary attitudes about MSG and controversy foods. To specific, when level of trust of government is high, dietary attitudes about MSG and controversy foods was positive. Two way interaction between sideness(one sided vs. two sided) - beliefs about science to dietary intention about MSG and dietary attitudes about controversy food. To specific, when group has truth accept one sided messages, when group has debate accept two sided messages, dietary intention about MSG and dietary attitudes about controversy was positive. Based on the overall research results, this study have meanings that Korea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which control public safe dietary life establish effective communication strategy about controversy foods.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suggests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rough a follow-up study, this study suggest verify interaction effect among various variables influences dietary attitudes and inten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