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7 Download: 0

업신여김의 현상학

Title
업신여김의 현상학
Other Titles
Phenomenology of Upsinyeogim : A Christian Ethic’s Understanding of Heidegger’s Fundamental Ontology and Phenomenology of Religion
Authors
임현진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양명수
Abstract
본 논문은 오늘날의 포스트모던적 담론에 큰 영향을 끼친 하이데거를 통해 현대 사상이 지닌 탈윤리적 특징의 근원을 찾고 이를 기독교 윤리학이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탐구한다. 동시에 윤리성을 둘러싸고 논란이 많은 하이데거 연구에도 심려분석을 통해 공헌하고자 한다. 기독교윤리학은 일반적인 규범윤리학적 선악판단을 넘어선다는 점에서 탈윤리적인 차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다시 한 차원 높은 선을 유도한다는 점에서 탈윤리는 초윤리로 나아간다. 다시 말해서 기독교의 초윤리는 탈윤리와 규범윤리학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반면 포스트모던 담론들과 이에 기반한 윤리학은 해체를 강조하기 위해 탈윤리에만 머물러 결국 비윤리적 사태에 참여하게 된다. 하이데거의 현존재 분석은 기독교윤리가 포괄하는 한 차원인 탈윤리성을 드러내는 데 도움이 된다. 뿐만 아니라 기독교 윤리학에서 보면 하이데거의 기초존재론에는 윤리적 요소가 나타난다. 이 두 측면을 탐구함으로써 기독교 윤리학은 탈윤리에 머무르는 길이 아닌, 오히려 탈윤리를 거쳐서 초윤리로 나아가는 길을 밝힐 수 있다. 그렇게 되면 포스트모던 윤리학을 극복하는 효과도 생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청년 하이데거의 강의 <종교현상학 입문>의 개념 “현사실적 삶의 경험”과 『존재와 시간』에 나타나는 현존재의 “현사실성”을 비교 분석한다. 전자에서 하이데거는 본래성을 말하지만 후자에서는 본래성의 가능성만 말하여 탈윤리에 머무른다. 그런데 하이데거의 심려 분석론에는 그가 암시만 하고 적극적으로 전개하지 않은 윤리적 요소가 암시되어 있다. 학자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이데거가 명시한 실존범주 이외에 새로운 범주를 추가하는데, 본 논문은 양명수의 기독교윤리학적 개념인 ‘업신여김’을 실존범주로 보고자 한다. 업신여김은 타인에 대한 심려를 배려로 오도함으로써 타인과 자신의 본질인 실존성을 부정하는 모순에 고착되도록 이끌고 궁극적으로는 존재 물음으로부터 차단되게 하는 현존재의 존재 성격이다. 여기서 현존재의 탈윤리적인 실론존적 구조에 윤리적 차원이 역설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업신여김을 극복하여 본래적 심려를 회복해야 한다는 당위의 가능성은 현존재의 존재론적 우위를 유지하기 위한 존재론적 필연성을 지니게 된다. 이를 감안해서 보면, 하이데거는 이미 청년 시절에 업신여김을 극복한 초윤리를 암시했다. 초대 기독교 공동체의 신앙 경험으로 예시한 “현사실적 삶의 경험”을 다시 보면 이 점이 나타난다. 그는 이를 탈윤리적 구조로만 제시하지만 『존재와 시간』 에 암시된 윤리성을 감안하면 이 탈윤리는 업신여김을 극복하는 초윤리의 경험 안에 포함되어 있게 된다. 현존재가 지닌 본래성의 가능성을 업신여김의 범주를 통해 필연적 당위로 밝힘으로써 기독교 윤리학은 “현사실적 삶의 경험”과 현존재의 “현사실성”간의 간격을 이을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실존하는 현존재의 가능성의 구조는 업신여김의 극복과 본래성의 회복이 필연적으로 연결된 당위의 차원을 내포한다는 점이 밝혀진다. 하이데거가 그랬듯이 포스트모던적 사상도 실상 윤리성을 존재 성격으로 하는 당위의 구조를 은폐하고 있다. 기독교윤리학도 일반적 양심의 선악 구분을 해체하는 탈윤리를 말한다. 그래서 탈윤리의 측면에서 행하는 하이데거의 현존재 분석은 강력한 효과를 지닌다. 그러나 기독교 윤리학은 이에 머무르지 않고 초윤리로 나아가야 하는 윤리학적 차원도 포함하기에 당위의 구조를 비은폐한다. 이러한 포괄적 관점에서 보면, 하이데거의 심려분석에는 업신여김의 범주도 암시되어 있으니, 결국 본래성의 당위에는 타자에 대한 업신여김을 극복해야 한다는 윤리적 필연성의 당위도 비은폐 되어있게 된다. 그러므로 업신여김의 범주를 밝히는 확장된 심려분석론을 통해 하이데거의 탈윤리는 죄를 넘어 사랑으로 가는 초윤리적인 차원에 기여하며, 기독교윤리학이 하이데거 철학에 주목하고 이를 활용해야 하는 까닭도 여기에 있다.;This dissertation searches for sources of post-ethical features in Martin Heidegger, who has had a great influence on today's postmodern discourses. It explores ways in which Christian ethics can accept and utilize those features by contributing to a discussion of Heidegger’s analysis of solicitude (Fürsorge). This dissertation demonstrates that Christian ethics pursues a trans-ethical dimension, in the sense that it goes beyond good and evil, while also leading to a renovated good. That is to say, Christian ethics embraces both post-ethical and normative ethical dimensions. On the other hand, postmodern thoughts and the ethics based on them maintains post-ethicality to emphasize the deconstruction of dogmatic ethics based on dogmatic ontotheology, which can lead to participation in unethical conditions. Thus, this inquiry into Heidegger’s fundamental ontology centers around his phenomenology of solicitude. The effort here is not only to be helpful in revealing the post-ethical deconstructive element, which is crucial to Christian ethics, but also to beneficially uncover the ethical element hidden in it. By exploring both elements, Christian ethics does not deny nor maintain the post-ethical deconstruction of the dogmatic aspect of normative ethicality elements, but elucidates the path through post-ethicality toward a trans-ethical dimension. To formulate this process, two of Heidegger’s notions are scrutinized and compared: “factical life experience (Die faktische Lebenserfahrung)”, which is the core concept in young Heidegger’s lecture Introduction to the Phenomenology of Religion (1920/21), and Dasein’s “facticity (Faktizität)” from his Being and Time (1927). In the former Heidegger reveals authentic experience, but in the latter he shows only a possibility of authentic experience and stays post-ethical. Especially in the latter, when Heidegger analyses the solicitude continuum without showing the negative pole of solicitude, there is an ethical and, at the same time, ontological dimension that shows itself. To illuminate the controversial problem of ethics around solicitude, this thesis presents Prof. Yang Myung Soo's Christian-ethics’ concept of “upsinyeogim,” and extends it to an ontological state of Dasein's being, that is, an “existentiale (Existenzial)”. “Upsinyeogim” is the transliteration of a Korean word “업신여김”, which means ignoring and disdaining others, but literally means considering others nonexistence. Unlike western words that corresponds with upsinyeogim, such as ignore, igniereren, verachten, verdinglichen, it has the additional ontological implication that ignoring others has something to do with eliminating Dasein’s being, which is, to Heidegger, existence. Upsinyeogim is an existentiale that induces unauthentic solicitude of Mitsein, by misleading Dasein’s solicitude into concern(Besorge), to fix in the self-contradiction of denying its own essence (Wesen), existentiality. This ultimately averts Mitsein from the question of being, and from there, the paradoxical ethicality in the post-ethical structure of Dasein reveals itself. Thus, overcoming upsinyeogim and restoring Dasein’s authenticity becomes not just a possibility, but the necessity for keeping the ontical, ontological priority of Dasein. Considering this, young Heidegger already alluded to a trans-ethical dimension reached by Mitsein’s overcoming of upsinyeogim in his Introduction to the Phenomenology of Religion about religious experience of the early Christian community as the example of “factical life experience.” Of course, at that time, he claimed the phenomenological, a post-ethical structure without any theological and ethical value. But considering the ethicality embedded in upsinyeogim as an existentiale implied in Being and Time, the post-ethicality is already embraced in the trans-ethical experience of overcoming upsinyeogim. By illuminating a possibility of authentic solicitude as the necessary ought through upsinyeogim, Christian ethics can bridge the gap between the “factical life experience” and Dasein’s “facticity.” Thus, it shows that the structure of possibility in Dasein’s existentiality includes the ought that overcoming upsinyeogim and restoring authenticity are ontologically bound. As Heidegger did, post-modern thoughts also conceal this structure of ought in which Dasein's character of being includes ethicality. Christian ethics also lays stress on post-ethical deconstruction of the common understanding of good and evil, thus Heidegger post-ethical analysis of Dasein’s existential structure has significant influence upon this deconstruction. Yet, Christian ethics does not stay there but goes forward to embrace ethical dimensions of trans-ethicality, thereby disclosing the Mitsein’s structure of ought. From this comprehensive point of Christian ethics, Heidegger’s analysis of solicitude impels the existentiale of upsinyeogim, and thus it shows the disclosure (ἀ–λήθεια) that “I should be myself” includes the ethical necessity of overcoming upsinyeogim toward others. Therefore, through this extended analysis of solicitude that explores upsinyeogim as an existentiale, the post-ethical phenomenology of religion and ontology of Heidegger makes a contribution to trans-ethical dimensions that go beyond sin for love in Christian ethics. For this reason upsinyeogim ontological presenc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hristian ethics’ role in understanding Heidegger’s philosoph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