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53 Download: 0

교사효능감이 교사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Title
교사효능감이 교사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Teacher Efficacy on Teachers’ Satisfaction : Evidence from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GEPS)
Authors
추지윤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유경
Abstract
Social & cultural, and educational change have a great impact on educational demand and role of school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teachers’ role become more important than before because teachers are the one of the important human resources on education. However, according to results of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TALIS), there are significant findings on that. The perception of sense of teachers' efficacy and teachers’ satisfaction in Korea is lower than other countries. This problem can negative effect on students and teachers so many studies on teachers' efficacy are increasing. Along with increasing number of studies, researches on the effect of teachers' efficacy on teacher are signifiant. According to many studies on teachers' efficacy, it is defined as the conviction that teachers are able to accomplish some activities such as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Teachers' sense of self efficacy may be some positive effects on affective and academic outcomes and improve teachers' satisfaction.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effect of the sense of teachers' efficacy on teachers’satisfaction. Therefore, teachers's efficacy is divided into two parts: instructional efficacy and guidance efficacy and also teachers' satisfaction is consisted of satisfaction with teaching profession and teachers' satisfaction with school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sis of the effect on teachers so there are three major questions of the research. First, are th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of teachers' efficacy by the level of school, school and teacher background variables. Second, are th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of teachers’ satisfaction by the level of school, school and teacher background variables. Third, the teachers' self efficacy has a great impact on teachers' satisfaction. This study analyzed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s(GEPS) 2014 data and 501 teachers elementary school, 664 teachers in middle school and 943 teachers in high school teachers are analyzed. Research methods are used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OVA,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s of the sense of teachers' efficacy by school level. In elementary school, all of two types of teachers' efficacy which are instructional efficacy and guidance efficacy are higher than others. Among school and teacher background variables, teachers' work experiences, academic background and teacher's position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s of instructional efficacy in elementary school. In the middle school, work experiences is meaningful factor on instructional efficacy. Also, gender, work experiences, academic background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s of instructional efficacy in high school. In addition,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n guidance efficacy. Work experiences, gender, academic background, and teacher's position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teachers' satisfaction has remarkable differences by school level, school and teacher background variables. In school and teacher background variables, there is not significant difference of satisfaction with profession in elementary school. However, teachers' work experiences, position of teacher are factors which have influence on satisfaction with profession in middle school. In high school, types of school, gender, and positions are the factor which are effect on teachers' satisfaction with profession. Furthermore, teachers' work experiences is a factor which has influences on satisfaction with school environment in elementary school. Also, types of school, homeroom teacher or not, and positions have meaningful differences on satisfaction with school environment in middle school. In high school, academic background of teachers, homeroom teacher or not are the factor which are effect on teachers' satisfaction with current environment of school. Third, teacher's sense of self efficacy have considerabl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atisfaction which is consisted of two parts: satisfaction with teaching profession and with school environment. In elementary school, each teachers' efficacy variables explained about 14.4% and 11.0% of all types of teachers’satisfaction. Furthermore, the results are showed that in the case of middle school there is an explanation of about 12.2% and 7.5% with teachers' satisfaction on teachers' efficacy. In high school, each sense of teacher efficacy variables explained about 5.2% and 4.8% of all types of teachers' satisfaction. There are several implications from the result. it is necessary to develop customized teacher training program suited to teaches to develop the level of teachers' satisfaction. Also, reasonable division of teachers' works is need to increase teacher satisfaction with profession and school. Moreover, the more effectiv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upport is need to improve teachers' efficacy which has influence on affective factors of students such as students' attitude of learning. Last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differentiated educational support to teacher by school level. The following several aspects have to be considered so as to analyze the result of the study.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is limited to certain areas as Gyeonggi so interpretation of the result need to be careful. Also, thoughtful comparison studies are needed to analyze effect of teachers' efficacy on teachers' satisfaction. Finally, various kinds of research method is need to develop the quality of research in the following studies.;사회․문화적, 환경적 변화는 교육의 수요와 역할에 대한 변화를 불러 일으켰고 학교교육의 중요한 자원으로서 교사의 역할에 대한 기대에도 영향을 미쳤다. 학교교육의 경쟁력을 제고하고 질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교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지만 TALIS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만족도는 현저히 낮은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교사의 사기 및 열의의 저하로 인하여 학교교육의 질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생각은 교사효능감과 만족도를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가 확대되고 있으며 나아가 학교교육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을 가지고 교사효능감이 교사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교사효능감은 교사가 학생들을 잘 지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스스로에 대한 믿음 혹은 신념이라고 할 수 있다. 교사가 지니는 신념은 교수학습 상황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여겨지고 있으며 교사의 만족도에도 영향을 미쳐 학교교육의 질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기존의 연구에서 이러한 교사효능감이 교사에게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들이 실시되었고 본 연구에서는 이를 입증하고자 교사효능감이 교사에게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교사효능감을 교사의 주요 업무를 중심으로 교과지도 효능감과 생활지도 효능감으로 구분하였고 교사에게 미치는 효과로 설정한 교사 만족도는 교직에 대한 만족과 현재 교사가 업무를 하고 있는 학교에 대한 학교 만족도로 구분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급 및 학교․교사 배경변인에 따라 교사효능감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학교급 및 학교․교사 배경변인에 따라 교사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교사효능감이 교사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를 분석하기 위해 경기도교육연구원에서 시행하는 경기교육종단연구(GEPS) 자료를 활용하였다. 교사효능감이 교사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초등학교 교사 501명, 중학교 교사 664명, 고등학교 교사 943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분석방법은 상관분석, 차이검정(독립표본 t 검정 및 일원분산분석, Scheffé 사후검정)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차이분석 결과로 학교급에 따라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지도 효능감과 생활지도 효능감 모두 초등학교 교사들의 평균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효능감의 평균 점수가 낮아졌다. 학교․교사 배경변인에는 다양한 변인들이 유의미한 차이를 가지고 있었는데 교과지도 효능감의 경우 초등학교는 교직경력, 학력, 직위에서 나타났고 중학교는 교직경력에서 나타났으며 고등학교는 성별, 교직경력, 최종학력에서 차이가 있었다. 생활지도 효능감의 경우 초등학교에서는 교직경력, 담임여부, 직위에서 나타났고 중학교는 성별, 교직경력, 직위에서 나타났으며 고등학교는 성별, 교직경력, 학력 및 직위에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학교급에 따른 교사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만족도의 하위요인인 교직만족도와 학교만족도 모두 초등학교 교사들의 평균 점수가 높았으며 고등학교로 갈수록 평균 점수가 낮아졌다. 학교․교사 배경변인별로 살펴보면 교직만족도는 초등학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중학교에서는 교사경력, 직위에서 차이가 있었고 고등학교에서는 설립유형, 성별, 직위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학교만족도를 살펴보면 초등학교에서는 교직경력에서, 중학교는 설립유형, 담임여부, 직위에서 차이가 있었고 고등학교는 학력, 담임여부, 직위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초․중․고 모두 교사효능감 변인이 교사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사효능감 변인의 설명력은 초등학교의 경우 교직만족도에서 약 14.4%, 학교만족도에서 약 11.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중학교는 교직만족도에서 약 12.2%, 학교만족도에서 약 7.5%의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고등학교는 약 5.2%와 약 4.8%로 교사 만족도를 설명하였다. 초․중․고 모든 학교급에서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들은 교사의 만족도를 설명하였고 특히 초등학교에서의 설명력이 가장 높았으며 고등학교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는 개별 교사에게 적합한 연수 프로그램들이 제공되어야 한다. 교사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변인들을 통해서 우리나라 교사들의 저조한 교사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길을 모색함으로써 학교교육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둘째, 교사의 업무과중을 되짚어 보고 합리적인 업무분장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이를 통해 교사의 만족도를 저해하는 요소를 제거하고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교사효능감을 높이기 위하여 학교 환경과 교사 개인에게 집중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초․중․고 학교급간 차별화된 교사효능감 제고 방안이 이루어져야 한다. 교사효능감 변인은 교사의 만족도에 모두 영향을 미쳤지만 학교급에 따라서 영향력이 상이했다. 학교급에 따른 환경여건의 차이를 고려한 방안 마련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먼저, 경기교육종단연구(GEPS) 데이터를 활용하였기 때문에 경기도 지역의 연구대상으로 제한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결과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종단연구의 단 년도 데이터만을 활용하였으나 후속 연구에서는 시계열 데이터 분석으로 장기적으로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결과에서 학교급간 교사효능감이 교사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차이가 있었던 점을 고려할 때 후속연구로 학교급간 교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심도 깊은 비교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교사효능감이 교사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양적연구로 시행하였는데 후속 연구에서는 질적연구 등의 다양한 연구방법을 통한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