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2 Download: 0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외모만족도와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Title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외모만족도와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chool Adjustment among Upper - grad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uthors
정유진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일화
Abstract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는 신체적ㆍ생리적으로 매우 빠르게 성장하며 여러 가지 새로운 기능이 급격히 발달하는 시기이다. 외모에 대한 높은 관심이 생기기 시작하고 이때 만들어진 자신의 신체상을 바탕으로 자아정체성이 확립된다. 때문에 외모에 대해 긍정적인 시선을 갖도록 하고 부정적인 외모상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에게 이를 완화시켜 줄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의 학교는 심리ㆍ사회적 발달과 성장에 매우 중요한 장소이며, 학교생활 적응여부가 이후 한 개인의 삶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외모불만족으로 인해 학업성취와 가능성을 위한 준비단계인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지 못한다면 그 문제는 심각하지 않을 수 없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자기자비는 단기간에 변화가 가능하고 훈련과 교육으로 향상이 가능한 학교생활부적응의 치료적 변인이라고 한다(김현주, 2015). 이에 외모만족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자기자비가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외모만족도와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3개 초등학교 4,5,6학년 학생, 총 440명을 대상으로 외모만족도 척도, 학교생활적응 척도, 자기자비 척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각 변인 간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Pearson의 적률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인 별로 남녀에 따른 차이를 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외모만족도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연구 변인들 간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차이를 살펴보면 외모만족도에서 남학생의 평균점수가 3.48점, 여학생 평균점수가 3.36점으로 유의수준 .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자기자비에서도 남학생의 평균점수가 3.48점, 여학생 3.32점으로 유의수준 .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외모만족도와 학교생활적응, 자기자비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3가지 변인이 각각 정적상관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모만족도는 학교생활적응 과 유의한 정적상관(r=.58, p<.01)을 보였으며, 학교생활적응은 자기자비와 유의한 정적상관(r=.58, p<.01)를 보였다. 외모만족도와 자기자비는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다(r=.65, p<.05). 셋째, 외모만족도와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모만족도와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자기자비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모만족도가 학교생활적응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자기자비 수준을 향상시킴으로써 학교생활적응력을 높여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낮은 외모만족도로 인해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에게 자기자비 수준을 높여주는 상담 및 교육적 개입 방안을 모색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외모만족도와 자기자비에서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이므로 초등학교 고학년 여학생 대상 외모만족도와 자기자비 향상에 초점을 둔 상담적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to examine a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of elementary upper grad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4th, 5th, and 6th graders of three elementary schools for a total of 440 students in Gyeonggi-do. Self-compassion is an alternative concept of self-esteem in that it can accommodate itself as it is, change in a short time, and improve by training and education. In this stud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and T- test was conducted to see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order to test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o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chool adjustment,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proposed by Baron and Kenny (1986), and Sobel test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ale elementary students’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compassio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female students. This agrees with the study of Neff (2003) about self-compassion scale for children. Second, positive correlation among appearance satisfaction,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self-compassion showed.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appearance, the better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appearance, the higher the self-compassion and the higher the self-compassion, the better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Third, self-compassion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chool adjustment. It means that school life adaptability can be improved by improving self-compassion. This study explains the necessity of seeking counseling and educational intervention to raise the level of self-help for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in school life due to low appearance satisfaction. In particular, since female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than male students i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help, it is suggested that counseling interventions focusing on improvement should be needed, focusing on fe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