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2 Download: 0

유아교사의 사회·정서영역 이해 및 사회⋅정서발달 평가에 대한 인식과 현황

Title
유아교사의 사회·정서영역 이해 및 사회⋅정서발달 평가에 대한 인식과 현황
Other Titles
Infant Teachers' Understandings of Social/Emotional Areas in Infants and Their Recognitions and Present Condition of Social/Emotional Development Assessments for Infants
Authors
한옥미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희진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의 유아 사회⋅정서영역에 대한 이해 및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시현황을 알아보고, 이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실제 교육현장에서의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에 대한 요구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유아교육기관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평가 방안의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 사회⋅정서영역에 대한 교사의 이해는 어떠한가? 2.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3.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의 실시현황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 284명이다. 연구도구는 유아 사회⋅정서영역에 대한 이해와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문헌조사와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에 맞게 제작 및 수정⋅보완하였다. 설문의 내용은 응답자의 일반적 배경을 묻는 문항과 유아 사회⋅정서영역에 대한 이해,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시현황에 대해 묻는 문항으로 나누어 총 24문항과 세부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결과는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들은 유아 사회⋅정서영역 중 사회영역의 '사회적 관계 형성 및 공동체에서의 역할수행'하위특성에 대해 잘 알고 있었으나 사회영역의 '자아에 대한 인식과 존중'하위특성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 개념 중에서는 사회영역의 '자신이 속한 공동체에서 각 구성원의 역할에 대한 이해가 생긴다.'와 '친사회적 행동이 점차 자발적으로 나타난다.'의 개념이 사회영역에 해당하는지 잘 알고 있었으나 사회영역의 '자신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집단에 동시에 소속되었다는 것을 인식한다.'와 '학급 규칙과 하루 일과 약속을 준수하는 행동에서 욕구에 대한 조절과 규제 능력이 나타난다.'의 개념이 사회영역에 해당된다는 것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에 대한 인식에서 교사들은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제로 실행하고 있는 평가의 만족도는 낮은 수준이었다.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의 목적으로는 개별 유아의 사회⋅정서발달 수준과 개인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 유아 사회⋅정서발달을 평가한다는 교사가 많았으며 전반적인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의 목적에 대한 교사의 인식 수준은 높았다. 교사들은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를 위해 형식적인 평가와 비형식적인 평가가 함께 이루어져야 하며 관찰 기록이나 체크리스트 평가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에 표준화 검사도구나 평가방식을 병행하는 방법의 적합성은 낮았다. 또한 과도한 업무로 인한 평가 시간의 부족 및 높은 교사 대 유아 비율을 평가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연수 내용으로 유아의 사회⋅정서발달 수준에 대해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평가한 결과를 해석하고 기록하여 교육과정에 반영하는 방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셋째,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의 실시현황으로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를 위한 계획 시 평가 시기, 내용 및 방법에 대한 계획보다 평가의 결과활용에 관한 계획을 세우고 있는 교사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실제 유아교육현장에서는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를 위해 일화기록법, 체크리스트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이 실행하고 있는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 결과의 활용 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먼저,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를 실시하는 교사의 유아 사회⋅정서영역에 대한 이해는 중요하고 실제적으로 평가를 실시함에 있어서도 필수적이므로 교사의 유아 사회⋅정서영역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위해 도움을 줄 수 있는 사전교육 및 현장의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재교육의 기회가 제공된다면 유아 사회⋅정서의 성장과 발달 수준을 파악하고 평가에 적용시키는 과정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다음으로,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들은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를 활용하는 정도가 낮은 것은 교사들이 현장에서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를 실시하기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시사된다. 따라서 교사들이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를 활용하기에 용이하고,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간편한 평가방법과 평가의 해석과 활용방법이 자세하게 안내되어 있는 평가 자료의 제작 및 보급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교사가 직접적으로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를 활용해보는 훈련 및 교사연수를 통한 사례 공유의 기회가 필요하다. 더불어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 프로그램 개선을 통해 평가에 대한 교사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This study aims to examine child education institution teachers' understandings of social/emotional areas of infants and their recognitions and the present conditions of social/emotional assessments of them, and explore needs for such assessments in the educational field. Therefore,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basic materials for the assessments which can be effectively used in child education institutions. 1. How do teachers understand social/emotional areas of infants? 2. How do teachers recognize social/emotional development assessment of infants? 3. What is the present condition of social/emotional development assessments of infants? The subjects are 284 teachers working in child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at Metropolitan areas. As the instrument, questionnaires are used to examine understandings of infants' social/emotional areas, teachers' recognitions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assessments on infants' social/emotional development. The questionnaires are adjusted and complement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based on literature investigations and previous studies. The contents of questionnaires consist of 24 items and sub-items, which ask understandings of infants' social/emotional areas, teachers' recognitions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infants' social/emotional development assessments. From the data collected,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re produced according to question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hile teachers adequately understand 'formation of social relationship and playing a role in a community', sub-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area, among social/emotional areas of infants, they seem to have difficulty in 'recognitions of and respects for self'. For the fundamental concepts, they properly understand that 'understandings of each member's role in his/her community are developed' and 'prosocial activities gradually and spontaneously appear' belong to the social area, while they hav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at 'recognize that he/she simultaneously belongs to one or more groups' and 'abilities to control and regulate some needs are shown by observing class rules and daily promises.' belong to the social areas. Second, while teachers highly recognize the necessity of assessments on infants' social/emotional developments, their satisfactions with current assessments are low. Many teachers say that the assessments of infants' social/emotional developments are conducted to understand individual infants' social/emotional development level and their own traits, and the levels of their recognitions of the goal of infants' entire assessments on social/emotional developments are high. They recognize that both formal and informal assessments on them should be simultaneously conducted, and that it is proper to use observation recordings and checklists. On the other hand, they think that the combination of standardized test instrument and assessments is less proper. In addition, lack of assessment time due to excessive tasks and high teacher-infant ratio are recognized as the most significant challenge to the assessments. They note that it is necessary to educate objective assessments of infant's social/emotional development levels, interpretations and recordings of the findings, and introductions of them into the curriculum, through training contents they need. Third, as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assessments, teachers often plan the periods, contents and methods of assessments, rather than uses of the assessments, when they design them. In the actual field, anecdote recordings and checklists are often used for the assessments. In addition, teachers are less likely to use the findings, according to goals of the assessments.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drawn. First, teachers' understandings of infants' social/emotional areas, who have evaluated their social/emotional developments are important and substantially essential in the assessments, so difficulties related with the process in which infant's social/emotional growth and developments are understood and applied to the assessments, are thought to be alleviated, if opportunities for re-education for teachers and pre-education for helping systematic understandings of infants' social/emotional areas are provided. Second, although teachers in child education fields highly recognize the necessity of the assessments on infant's social/emotional developments, the assessments are not often used because they seem to feel the huge burden in using the assessments in the fields. Thus, assessment data which specifically guide utilizations and interpretations of the assessments and simple assessments that can be actively applied to the field should be produced and distributed. In addition, opportunities for case sharing are necessary, through teacher training in which they directly attempt to use the assessments of infants' social/emotional developments. Moreover, their burden of the assessments may be reduced by improving the assessment program of infants' social/emotional developments in child education institu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