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선옥-
dc.contributor.author이은지-
dc.creator이은지-
dc.date.accessioned2017-08-27T11:08:00Z-
dc.date.available2017-08-27T11:08:00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835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835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124-
dc.description.abstractThe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 of 『Dongdaegeum』, which is an old music score of the 19th century and it aims to identify the melody aspect, which has changed within the same musical piece by producing similarity between two music scores, after comparing melody from Sangreongsan to Garaktteori of Hyunak Yeongsan hoesang and current geomungo score. The results after comparing the rhythm, scale, movement division and melody of two music scores are as follows. Firstly, after comparing the rhythm from Sangreongsan to Garaktteori of two music, the rhythm of Sangreongsan and Joongreongsan of 『Dongdaegeum』 was same with the current score within the 1st, 7th, 11th, 15th jeonggan(box) And the rhythm of Sereongsan and Garaktteori appeared same in the 1st, 3rd, 4th, 6th, 8th jeonggan(box). Secondly, after comparing the scale from Sangreongsan to Garaktteori of two music, the scales, which are 㣳(d♭) and 㑲(c¹) were erased, while 㣮(c) was added in the scale of Sangreongsan. In the scale of Joongreongsan 仲(a♭¹) was added, and scale 㑲(c¹) was erased in Sereongsan, and 太(f¹) was added in Garaktteori. Thirdly, after comparing the movement division from Sangreongsan to Garaktteori of two music, the 1st movement of 『Dongdaegeum』 Manreongsan became 1~2gak(line) of the 1st movement of current Joongreongsan, and the 1st movement of 『Dongdaegeum』 Sakreongsan became 2~4gak(line) of the 5th movement, and the 5th movement of Sakreongsan became the 1st movement 1~2gak(line) of current Garaktteori, and『Dongdaegeum』 Garaktteori starts from the 3gak(line) Garaktteori and finishes at the same rhythm. Through this, it was identified that the division of movement has changed with the change of rhythm in each score. Fourth, the aspect of melody change from Sangreongsan to Garaktteori of two music, it was found that 108 daegang(bar) were the same melody, 117 daegang(bar) were similar melody, and 11 daegang(bar) were dissimilar melody, among the entire 236 daegang(bar) comparison unit. Each score’s similar melody were 117 daegang(bar) in total, and among them, daegang(bar) of which melody was changed were 82 daegang(bar), 11 daegang(bar) for rhythm change, and 24 daegang(bar) for the change in both melody and rhythm together. With these results that show the similarity of 『Dongdaegeum』 and the current score, it can draw a conclusion that the opening part of Hyunak Yeongsan hoesang which is similar with the current score was played in the 19th century and its aspect of change was displayed in terms of pitch change rather than melody's rhythm. Fifth, after examining the aspect of melody change of each score, while in the process of successive Sangreongsan, it was found that the change in pitch was more frequent than the melody’s poetry. It also identified the similarity of the entire melody direction of Sangreongsan, since the melody line is similar despite its dissimilar melody line with frequent melody transition. Unlike Sangreongsan, Joongreongsan showed aspect of change only in melody’s poetry, through the change aspect of integrated or divided rhythm. It revealed the similarity between『Dongdaegeum』and current score, through the parts in which melody line of similar line showed parallel motion. In particular, aspect of change in which the advent of 㒇 was decreased, while that of 黃 was increased can be explained by the development of Yeokanbeop which is one of the geomungo playing method or by the fact that the division of jing¹and jing²became ambiguous with the development of the six score. In Sereongsa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the most frequent change in melody compared to other scores, since oblique motion was frequent and melody with oblique motion was shown among dissimilar melody. In Garaktteori, every melody was same or similar with the current score and the form of integrated rhythms among rhythm transition type were increased compared to other scores. Through the study, the difference of 『Dongdaegeum』and Hyunak Yeongsan hoesang of current score of the 19th century, in terms of rhythm from Sangreongsan to Garaktteori, scale, movement division and melody was identified. It clarified the necessity of the comparative study of 『Dongdaegeum』 and current score, and it also revealed the similarity between two music scores, which is regarded as a necessary research to examine old music scores to promote development and succession of Jeongak.;본 논문은 19세기의 고악보인 『동대금보』를 역보하면서 나타난 특징을 분석하고, 현악영산회상 중 상령산부터 가락덜이까지의 선율을 현행 거문고보와 비교한 후 두 악보간의 유사도를 산출하여 동일한 악곡 내에서 변화한 선율의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과거에 사용한 악보를 해석하여 그 음악의 변화와 확대과정을 추적하는 작업을 통해 전통음악을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데에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두고 있다. 두 악보의 장단, 출현음, 악장구분, 선율을 비교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악보의 상령산부터 가락덜이까지의 장단을 비교한 결과, 『동대금보』 상령산과 중령산의 장단은 1번째·7번째·11번째·15번째 정간이 현행보와 동일하다. 세령산과 가락덜이의 장단은 1번째·3번째·4번째·6번째·8번째 정간에서 동일하게 나타난다. 둘째, 두 악보의 상령산부터 가락덜이까지의 출현음을 비교한 결과, 상령산의 출현음은 㣳(d♭)와 㑲(c¹)이 삭제되었고 㣮(c)이 추가되었다. 중령산의 출현음은 仲(a♭¹)이 추가되었고 세령산의 출현음은 㑲(c¹)이 삭제되었으며 가락덜이는 太(f¹)가 추가되었다. 셋째, 두 악보의 상령산부터 가락덜이까지의 악장구분을 비교한 결과, 『동대금보』 만령산의 제5장이 현행 중령산의 제1장 1~2각이 되었고 『동대금보』 삭령산의 제1장은 현행 중령산의 제5장 3~4각, 삭령산 제5장은 현행보 가락덜이의 제1장 1~2각, 『동대금보』가락드리는 현행 가락덜이 3각부터 시작하여 같은 장단에서 끝난다. 이를 통해, 각 악곡의 장단 수가 변화하면서 악장의 구분이 달라진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두 악보의 상령산부터 가락덜이까지의 선율변화 형태는 비교단위 전체 236대강 중 108대강이 동일선율, 117대강이 유사선율, 11대강이 상이선율로 나타났다. 각 악곡의 유사선율은 총 117대강이며 이 중 음이 변화한 대강은 82대강, 리듬이 변화한 대강은 11대강, 음과 리듬이 함께 변화한 대강은 24대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19세기 초에는 현행과 유사한 현악영산회상 초입부를 연주하였다는 결론을 도출 할 수 있으며, 그 변화 형태가 선율의 시가보다 음고의 변화로 더 많이 진행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각 악곡의 선율변화 양상을 분석한 결과, 상령산은 계승되는 과정에서 선율의 시가보다 음고의 변화가 더 많이 진행되었으며 선율의 변화가 많은 상이선율이어도 선율선의 진행이 유사진행하므로 상령산 전체 선율 진행 방향은 유사하다는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중령산은 상령산과 달리 선율의 시가만 변화하는 양상이 나타났고 유사선율 중 선율선의 진행이 병진행하는 부분을 통해 『동대금보』와 현행 악보의 유사관계를 더욱 명확하게 입증하였다. 특히 㒇의 출현이 감소하면서 대신 黃의 출현이 증가하는 변화양상을 통해 거문고 연주법 중 역안법의 발전으로 나타난 현상, 또는 육보의 발전으로 징¹과 징²의 구분이 모호해져 생겨난 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세령산은 반진행의 출현이 잦으므로 다른 악곡에 비해 가장 많은 선율이 변화하였으며 상이선율 중 사진행하는 선율이 나타났다. 가락덜이는 모든 선율이 현행과 동일하거나 유사하였으며 리듬변화형 중 리듬이 통합된 형태가 다른 악곡에 비해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19세기의 악보인 『동대금보』와 현행보의 현악영산회상 중 상령산부터 가락덜이까지의 장단, 출현음, 악장구분, 선율에서 차이를 확인하였다. 『동대금보』와 현행 악보 비교연구의 필요성이 나타났으며 정악의 발전과 계승을 위한 고악서 분석에 필요한 연구로서 두 악보간의 유사관계를 밝혔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B.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4 Ⅱ. 본론 7 A. 17세기부터 20세기 초 영산회상이 수록된 고악보 7 B. 『동대금보』의 개관 10 C. 『동대금보』와 현행 『거문고정악보』비교 분석 12 1. 장단 12 2. 출현음 14 3. 악장구분 20 4. 선율변화 형태와 양상 22 Ⅲ. 결론 82 참고문헌 85 부록악보 87 ABSTRACT 1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77772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동대금보』와 현행보의 거문고선율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현악영산회상 중 상령산부터 가락덜이까지-
dc.title.translatedA Study of Geomungo Melody in 『Dongdaegeum』comparison between current score : from Sangreongsan to Garaktteori of Hyunak Yeongsan hoesang-
dc.creator.othernameLee, eun ji-
dc.format.pageviii, 103 p.-
dc.contributor.examiner안현정-
dc.contributor.examiner류정연-
dc.contributor.examiner원영석-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