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0 Download: 0

Clinical and genetic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ality in Korean patients with mood disorders

Title
Clinical and genetic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ality in Korean patients with mood disorders
Authors
최희연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수인
Abstract
Suicidality is a complex and multidimensional phenomenon, from suicidal ideation to suicide death, and is influenced by interactions among biological, individual, social, cultural, and environmental factors. Understanding the etiology of suicidality is an important step toward developing effective suicide prevention strategies. Suicidality is believed to manifest as a complex interaction among genetics, environmental stress factors, and neuropsychological factors. In this study, to deline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 suicidality,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of psychological variables, environmental factors, and genetic markers on suicidality of mood disorder patients in Korea. In total, 216 in- and outpatients who satisfied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IV diagnostic criteria for depressive disorders and bipolar disorders were recruited. Participants completed self-rating questionnaires for assessing the following suicidality-related features: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variables, psychological factors (depressive symptoms, hopelessness, anxiety symptoms, impulsivity, coping strategies, and resilience), environmental factors (social support and childhood trauma), and suicidality (suicidal ideation [SI] and lifetime suicide attempt [SA]). Family history of psychiatric disorder and suicide were also obtained. Association of the following gene polymorphisms with suicidality was also analyzed: COMT (rs4680), HTR1A (rs6295), TPH1 (rs1800532), BDNF (rs6265), SLC1A3 (rs2269272), and SLC1A2 (rs4755404). Patients in the high-SI group were more often diagnosed with depressive disorder, exhibited increased impulsivity, had more experienced childhood trauma, and showed less social support and problem-focused coping strategies. Patients in the SA group were younger, had a first-degree relative with a history of psychiatric illness and completed suicide, and exhibited higher current alcohol drinking. Patients in the high-SI and SA groups reported more depressive symptoms, hopelessness, and anxiety symptoms. They also reported less social support-seeking behavior coping strategies, and resilience.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depressive symptoms (ß = 0.29, p < 0.001) and social support (ß = −0.28, p = 0.035) were significant independent predictors of SI, and these two features accounted for 59.7% of the variation in the group.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djusting for covariates revealed that no variabl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A. The COMT (rs4680) AA genotype (χ2 = 7.371, p = 0.025) and the A allele (χ2 = 6.105, p = 0.013) were associated with the SA group. After adjustment for sociodemographics and clinical covariates, age (OR = 0.98, 95% CI 0.96–1.00, p = 0.026), current alcohol drinking (OR = 2.00, 95% CI 1.06–3.77, p = 0.033), and the COMT (rs4680) AA genotype (OR = 3.92, 95% CI 1.49–10.36, p = 0.006)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SA. These results indicate that younger age, current alcohol drinking, depressive symptoms, less social support, and the COMT (rs4680) AA genotype are associated with suicidality in patients with mood disorders in Korea. Moreover, the finding that COMT polymorphism is associated with suicidality suggests that dopaminergic signaling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uicidality, especially in SA, in Korean mood disorder patients.;자살경향성은 유전적, 환경적, 심리학적 요인이 복잡하게 상호작용하여 나타나는 현상으로 자살사고부터 자살로 인한 사망까지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자살경향성의 원인에 대한 이해는 자살을 예방하는 계획을 수립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단계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기분장애 환자에서 자살경향성에 대한 임상적 요인, 심리적 문제, 환경적 영향, 표지 유전자의 연관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우울장애 또는 양극성정동장애로 진단된 216명의 환자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자살경향성과 관련된 요인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심리적 요인으로는 우울증상, 무망감, 불안증상, 충동성, 대처방식, 회복탄력성을 측정하였고, 환경적 요인은 사회인구학적 변인, 사회적 지지, 소아기 외상을 평가하였다. 자살경향성으로는 자살사고와 자살 시도력을 조사하였고, 일차 친족에서의 정신질환의 병력 및 자살력도 조사하였다. 기분장애 또는 자살행동과 연관이 있다고 알려진 유전자 중 COMT (rs4680), HTR1A (rs6295), TPH1 (rs1800532), BDNF (rs6265), SLC1A3 (rs2269272), SLC1A2 (rs4755404) 여섯 개의 유전자 다형성을 분석하였다. 대상자는 자살사고의 심각도에 따라 자살사고가 높은 군과 자살사고가 낮은 군으로 나누었고, 자살 시도 유무에 따라 자살시도 군과 자살시도가 없는 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자살사고가 높은 군은 자살사고가 낮은 군에 비해 우울장애 환자가 많았고, 충동성이 높았고, 소아기 외상경험이 많았으며, 사회적 지지가 부족하였고, 문제중심 대처방식을 적게 사용하였다. 자살시도 군은 자살시도가 없는 군에 비해 어렸고, 일차 친족에서 정신질환의 병력과 자살력이 더 많았고, 음주하는 있는 경우가 더 많았다. 자살사고가 높은 군과 자살시도 군은 자살사고가 낮은 군과 자살시도가 없는 군에 비해 우울증상, 무망감, 불안증상이 심했으며, 사회적 지지를 찾는 대처방식을 적게 사용하였고, 회복탄력성이 낮았다. 다중선형회귀분석에서 자살사고와 연관성을 보인 변수를 보정했을 때, 우울증상 (ß = 0.29, p < 0.001), 사회적 지지 (ß = −0.28, p = 0.035)는 자살사고와 독립적으로 연관성을 보였고, 두 변수가 자살사고를 설명하는 설명력은 59.7%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자살시도와 연관성을 보인 변수를 보정했을 때, 자살시도에 독립적인 위험요인은 유의한 것이 없었다. 여섯 개의 유전자 중 COMT(rs4680) 유전자의 AA 유전형 (χ2 = 7.371, p = 0.025)과 A allele (χ2 = 6.105, p = 0.013) 는 자살시도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사회인구학적 및 임상적 공변량인 나이, 성별, 음주를 보정했을 때, 나이 (OR = 0.98, 95% CI 0.96–1.00, p = 0.026), 음주 (OR = 2.00, 95% CI 1.06–3.77, p = 0.033), COMT(rs4680) 유전자의 AA 유전형(OR = 3.92, 95% CI 1.49–10.36, p = 0.006) 이 자살시도에 독립적인 위험요인이었다. 본 연구는 한국인 기분장애 환자에서 젊은 나이, 음주, 우울증상, 낮은 사회적지지, COMT(rs4680) AA 유전형이 자살경향성과 연관성이 있음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인 기분장애 환자에서 자살경향성, 특히 자살시도에 도파민 신호전달체계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시사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