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8 Download: 0

Mapping Identity

Title
Mapping Identity
Authors
ROBINSON, JENNY LEE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애란
Abstract
One's environment and relationships with others has a profound influence on an individual's identity. Thus, one's home, the most intimate and familiar individual's environment, plays an integral role in one's identity development. However, one's relationship with home can be made complicated migration. After one uproots their life to find a new home elsewhere, they still bring with them the culture and emotional ties of the home left behind. This can lead to a less fixed concept of home for the migrant and their descendants, and questions over the idea of home. Is home one's place of birth, or the place one experience the most personal growth? Is it where one feels a sense of belonging? For myself, the daughter of a Korean immigrant, it led to questions over whether home was the place where I was born and raised, the United States, or my mother's land, South Korea, where half of my ancestry lies, and where I currently live. This then led to further questions over where my identity belonged, was I Korean or American, or was it possible to be both? All these queries and considerations of my identity stemmed from my mother's immigration to the United States from Korea, and my own Ethnic return migration to Korea. Therefore, migration has directly impacted on my sense of self and my place in society, and in short, my identity. Themes of migration and home in relation to my identity, are subjects that are the main focus of my artwork. Through my art practice, I attempt to collapse the complex themes through the process through the use of cartography to map out my identity. The development of my identity has gone through multiple transformations. This begins with the inheritance of cultural and social identity practices of my Korean immigrant mother. Through her resilience and insistence, she and my father passed down an appreciation of Korean culture. This was done by fostering a love of Korean food at home, their involvement in Korean communities in our hometown in Minnesota, frequent family trips to Korea, and by maintaining my Korean linguistic skills. The Korean cultural and language education my parents fostered in our family gave me the tools of legitimacy in my Korean identity. They also instilled a sense of pride in my Korean heritage to offset any sense of isolation or experiences of marginalization felt in our predominantly white homogeneous community in Minnesota. My family's participation in both Korean communities, and white American communities also taught skills in how to navigate two different social spheres. It also set the example of how to build my own smaller Korean American communities. However, the separation of these two social environments led to the development of two separate identities that allowed me to comfortably exist in both. This dual identity appeared to work as long as these two communities remained largely separate. Yet, I began to long for an environment that offered social acceptance and belonging to both sides of my selves rather than one or the other. Alternating between two identities and cultures, while offering the benefit of acquiring social skills maneuver and adapt between the two different cultures, also led to a sense of not wholly belonging in either culture. While during the best of times my self seemed to encompass two countries and two cultures, other times there was a sense that my Korean or American self was lacking or incomplete. Thus, this sense of inadequacy, led to the feeling of having no country or home. This emotion was particularly felt in after return migration to Korea. First, when I was a teenager, studying abroad in Korea in 2003, and then later in 2011 after I moved to Korea after graduating from college. Jumping from a majority white environment with pockets of Korean communities, to the exact opposite was a jarring experience that led me to question my Korean and American identity. Living in the United States, where persons of Asian ancestry often are not seen as genuinely American, and then moving to Korea where in which I discovered the cultural ways I was not considered Korean by others in Korean society. The contradiction of not being seen as American enough in the United States, and not Korean enough in Korea led to a sense of homelessness. This was a sense that there was no place for me in a society or nation that would accept the combinations that challenged my previously held notions of my identity. The next transition in my identity, had to do with the terminology used to categorize identity. Specifically, words I would use to label myself. "Biracial" or "half Korean", were terms that reinforced the polarized identity that did not align with how I wished to see myself. The term that offered a sense of belonging and identification was "hapa." The word "hapa," a Hawaiian term to describe those of a mixed ethnic background that included Asian and/or Pacific Islander ancestry, acknowledged the existence of others like myself that are caught between multiple cultures and homes. The discovery of this term not only gave me the tools to describe myself and a new term for my identity, it acknowledged that I was not isolated in my complicated relationship with identity. I came across the book from artist Kip Fulbeck's (2001-present) which shares the stories of other "hapas" all around the world through photography and written testimonials. The project offered a community and a sense of belonging. This was also aided by my participation in Asian American communities that also included other hapas. This word transformed how I described my identity, as well as how I saw myself. No longer does the Korean and American parts of myself feel segregated, this word allows for both my cultural backgrounds to exist together. While I am a mix of ancestries, and cultures, I am also 100% "hapa" The world offers a sense of feeling whole rather than half. These changes and developments in my identity, indicate that my sense of self will always change and evolve, in reaction to my surroundings and place in larger society. The previously mentioned developments in identity are reflected in my artwork. The complexity of collapsing bo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n my identity and my artwork are presented in my artwork through the process of mapping. My work in essence maps out my identity, by piecing together visual elements that represent Korea and the Unites States, places I consider home in one image that represents my sense of self. These visual elements come from actual maps and cartography, of continents, countries, states, and cities, and bodies of water. But they are placed together in the picture plane without regards their actual location and scale. Rather than realistically attempting to represent them as they are in cartography, they are pieced together in a visual collage. The element of cartography was preceded by my geographic , handmade and altered books with pages that are cut and carved to form pieces of geography that I started in 2011. The ambiguous form land masses the books are transformed into, represented the intangible imagined homeland or place of belonging I sought during the periods I felt homeless. Aside from Kip Fulbeck, other artists such as Julie Mehretu and Maya Lin were integral in their influence on my work. Mehretu's paintings, with include layers of imagery borrowed from maps, architectural renderings, CAD drawings, and countless other elements, are a complicated and intricate visual assemblage similar to my collage-like approach to painting. This use of layering and piecing together of disparate elements creates a unique sense of space and place, that I am also exploring in my own paintings. The artist describes her work to be a process of self-ethnographic mapping of her identity. Apart from the similarities of mapping and layering in my work and Mehretu's work, Mehretu is also an artist of color of mixed ancestry, and complexities of origin. Maya Lin, as an Asian American, has also gone through issues of examining her identity as American and reckoning with the Asian influences in her artwork. Lin's use of geography and mapping in her installations such as Folding Chesapeake, in which she recreates the Chesapeake Bay with blue marbles, is similar to how I directly integrate geography in my own work. Japanese artist Noriko Ambe's own abstracted geographical landscapes created from many accumulated layers of cut paper was a key influence in my , with the books and texts made for the dealing with the prevalent themes of migration, homelessness, and identity that weave a common thread through my overall body of work. The overriding themes of my work deal with how personal migration has affected my identity, this migration includes my mother's immigration to the United States from South Korea, and my return migrations to Korea from the United States. The results of this migration, shaped my relationship with both countries in relation to my ethnic and national identity, the first strengthened my relationship to Korean culture and identity, while the second challenged and forced me to re-evaluate how I saw myself after experiencing a rejection of both countries which led to a sense of homelessness. However, Kip Fulbeck's (2001-) shed light on a new way to identify my mixed identity by providing me with the word "hapa," which has been the most accurate terminology to describe my personal identity, and has revealed a community of other hapas across the globe also navigating similar issues of identity. These issues of identity are in my painting maps out my identity; and my book arts discuss the broader themes of home and homelessness in migration, beyond my individual experience. Overall, the artwork reveals the complex layers of identities in the modern world of migration and the resulting mixed ethnic cultural intersections.;한 사람이 타인과 맺는 관계와 환경은 개인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안정성의 토대를 형성하는 곳이자 개인의 발전을 이루는 공간으로서의 '홈'(home)은 정체성의 발전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나 '홈'과 개인의 관계는 현대 사회의 이주 문제로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문화, 정서적으로는 여전히 두고 온 땅에 매여 있으면서 다른 곳으로 새 집을 찾기 위해 떠나는 하나의 사건으로 인해 집과 가족, 민족이라는 개념은 이전과는 다른 무언가로 변모하는 것이다. 이는 곧 '홈'에 대한 재정의의 필요성으로 연결된다. '홈'은 누군가가 태어난 곳인가? 혹은 누군가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준 곳인가? 아니면, 누군가가 안정적으로 소속되거나 강한 유대 관계를 맺는 곳인가? 한국인 이민자의 자녀인 본인은 본인이 태어난 미국과 어머니의 고향인 한국 중 어느 곳에 본인의 진짜 '홉'이 위치한 것인지에 대한 필연적인 의문을 갖게 되었다. '홈'에 대한 고민은 또한 본인이 어떤 문화권과 사회에 속해 있는지에 대한 물음으로 이어졌다. 즉, 본인이 한국인인지 미국인인지, 또는 둘 다인지 의심되는 것이다. 본인의 정체성에 대한 이러한 모든 의심과 고민은 두 차례의 이주로 인해 촉발되었다. 두 차례의 이주는 각각 한국인 어머니의 미국으로의 이주와 본인이 미국에서 나고 자라서 한국에 온 이주다. 이렇듯 이주는 본인의 지각, 감각, 사회적 위치와 정체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자연스레 본인의 작품을 형성하는 주제가 되었다. 본인은 지도와 지도적 요소들을 이용하여 본인의 정체성을 매핑(mapping)하는 예술적 시도를 통해 이러한 주제에 다가서고자 한다. 본인은 몇 차례의 사건을 통해 본인의 정체성에 대한 생각이 달라지게 되는데, 그 첫 번째는 본인이 한국계 이민자인 어머니로부터 한국의 문화, 사회적인 관습을 교육받으며 시작되었다. 아버지는 어머니의 나라인 한국을 존중하고, 어머니가 한국 문화를 본인에게 가르치도록 배려해 주었다. 집에서 한국 음식을 즐겨 먹었고, 미네소타에 있는 한인 커뮤니티에 참여했으며, 한국으로 자주 가족 여행을 떠나기도 하는 등의문화와 언어 교육은 본인에게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에 있어 정통성을 부여해 준 것이나 다름없었다. 부모님은 또한 본인이 미네소타의 백인 사회 내에서 경험할 수 있는 소외와 주변화를 염려하여 한국 문화유산에 대한 자부심을 심어주기도 했다. 이렇듯 본인의 가족이 한국 사회와 미국 백인 사회에 모두 참여하는 과정을 통해 본인은 서로 다른 두 사회를 각각 대면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하게 되었다. 이는 또한 이후 본인 자신의 작은 한-미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데 좋은 모델이 되었다. 다만 너무나도 이질적인 두 사회는 각각 미국인으로서와 한국인으로서의 본인의 두 정체성을 형성하게끔 했고, 처음에는 본인이 이 둘 모두에 안착했다고 믿었다. 이 두 가지 정체성은 이 두 사회가 따로 존재할 때는 각각의 안에서 잘 작동하는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점차 서로 다른 문화권 중 어느 하나에 속하기보다는 둘 모두에 소속되고 인정받고 싶다는 생각이 들기 시작했다. 울타리를 넘나들며 각각의 이점을 취하면서 교류하는 것은,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완전한 소속이 결여되어 있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본인은 본인의 삶에 두 개의 나라와 두 개의 문화권이 존재하는 유익한 시기를 보내면서도 그 안에서 결핍된 무언가를 느꼈다. 따라서 이 불충분한 무언가는 결국 본인 자신에게 진짜 '홈'도, 나라도 없다는 느낌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감정은 특히 한국으로 온 뒤 강하게 느껴졌다. 본인은 2003년 에 한국에서 유학한 적이 있었고, 미국에서 대학교를 졸업한 뒤 2011년 말 즈음 한국으로 다시 오게 되었다. 백인 문화가 팽배했던 미국에서 벗어나 한국에 온 본인은 이전과 정반대의 끔찍한 경험을 통해 본인의 정체성에 대해 다시금 의심하기 시작했다. 일반적으로 아시아 계통의 사람들이 미국인으로 간주되지 않는 미국에 살던 본인은, 한국 사회에서조차 본인이 한국인으로 인정받지 못한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었다. 미국에서는 진짜 미국인이 아니고, 한국에서 또한 진짜 한국인이 아니게 되는 이 모순적인 상황은 마치 본인에게 아무것도 남아있지 않은 것처럼 느껴지게 했다. 이는 본인에게 국가나 사회에서 본인을 위한 자리가 그 어디에도 없다는 느낌이었고,정체성에 대한 개념에 강한 의문을 품게 되었다. 그러던 중 본인의 정체성에 대한 생각이 변화하게 된 지점은 본인의 정체성(신원)을 분류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들과 관련이 있다. 특히 본인 스스로에게 붙이는 용어가 그러하다. 'Biracial(두 인종으로 이루어진, 혼혈의)'은 본인이 스스로를 바라보고 싶어했던 방식과 합치하지 않는, 즉 양극화된 정체성이 한층 강화된 용어인 반면 'Hapa(아시아계와 혼혈인 미국인, 이하 하파)'는 본인에게 있어 소속감을 주는 용어였다. 하파라는 말은 하와이에서 주로 사용되는데 아시아계 혹은 태평양계 조상을 지닌 혼혈 민족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러 문화와 가정 사이에 위치한 본인과 같은 사람들의 존재를 인정하는 용어다. 이 용어의 발견은 본인이 스스로와 본인의 정체성에 대해 소개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정체성의 복잡한 문제들 속에서 본인이 고립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 용인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 예로, 작가 킵 풀벡(Kip Flbeck)이 진행중인 '하파 프로젝트'는 전 세계의 하파들이 보내준 자신들의 이야기와 사진을 공유하는 것이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전 세계의 하파들은 하나의 공동체가 되는 것과 동시에 강한 연대감과 소속감을 형성한다. 실제로 이는 본인이 다른 하파들이 소속되어 있는 아시아계 미국인 커뮤니티에 참여하는 데 도움을 주기도 했다. 본인은 더 이상 본인을 구성하는 한국적이고 미국적인 부분들이 서로 분리되어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즉, 하파라는 용어를 통해서 본인의 두 문화적 배경들이 공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인은 민족과 문화가 혼합되고 융합된 사람인 동시에 100% 하파이다. 하파는 본인을 이루는 각 부분을 강조하는 대신 온전한 하나로서의 사유를 가능케 한다. 본인의 정체성의 이러한 변화와 발전은 주변 환경과 사회에 반응하여 본인 자신의 감각이 언제든 탈바꿈하고 진화할 수 있다는 것을 일깨웠으며, 이러한 변화는 본인의 작품을 통해 드러나게 된다. 한국과 미국 모두에 속한 본인의 정체성과 본인의 작품에서의 복잡성이 무너지는 것은 매핑의 과정을 통하여 제시된다. 본인의 작품은 양국을 상징하는 시각적 요소들을 결합하고 이미지 속에서 그것들을 본인이 '홈'이라고 생각하는 곳에 위치시키면서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심화해 나가는 것이다. 여기에 쓰인 시각적 요소들은 대륙, 국가, 도시, 바다 등 실제 지도와 지도 제작에 사용되는 범례들에서 추출해 낸 것인데, 이것들은 실제 위치와 크기에 관계없이 평평한 캔버스 위에 공존한다. 즉, 하나의 지도가 사실적으로 재현되는 것이 아니라 콜라주와 같은 방식으로 요소들이 결합되는 것이다. 지도적인 요소들은 본인의 이전 작품인 시리즈에서 연결된 것으로, 이 시리즈는 지도와 같이 구불구불한 모양으로 종이를 잘라 내고 조각해 만든 책들로 구성되어 있다. 모호한 형태로 마치 땅덩어리들처럼 보이는 이 책들은 본인이 오갈 데 없는 홈리스(homeless)라고 느꼈던 시기에 머물 수 있는 곳을 상상 속에서나마 찾고자 했던 시도의 결과물들이다. 한편, 킵 풀벡과 더불어 줄리 메흐렛(Julie Mehretu)과 마야 린(Maya Lin)과 같은 현대 작가들 또한 본인의 작품에 영향을 주었다. 줄리 메흐렛의 페인팅에는 지도에서 빌려온 겹겹의 이미지들, 건축물 렌더링, 캐드(CAD) 도면 등 수많은 요소들이 복잡하게 뒤얽혀 있는데 바로 이 점에서 본인의 콜라주처럼 보이는 페인팅과 유사점을 찾을 수 있다. 레이어링과 이질적인 요소들을 결합시키는 메흐렛의 방법론은 공간과 장소에 대한 독특한 감각을 만들어 내며, 본인 또한 본인의 작품에서 이러한 방법론을 탐구하고 있다. 실제로 메흐렛은 자신의 작품이 본인의 정체성을 자기-민족지학적(self-ethnographic)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이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또한 혼혈인이자 고향에 대해 복잡한 고민을 지닌 예술가라는 점에서 본인과의 또 다른 유사성을 찾을 수 있다. 아시아계 미국인 작가인 마야 린 또한 미국인으로서의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고민하고, 자신의 작품 속에서 아시아의 영향이 있는지 반추하는 과정을 겪었다. 미국의 체사피크만을 푸른 구슬들로 재구성한 작품 'Folding Chesapeake'와 같이 지리적인 요소와 매핑의 방법론을 사용하는 그녀의 설치 작업들은 본인이 본인의 작품 속에 지리학적 요소들을 직접적으로 편입시키는 방식과 유사하다. 또한, 일본인 작가 노리코 암베(Noriko Ambe)의 추상적 지형도는 수많은 종이들이 겹겹이 쌓여 층을 이루고 있는데 이는 본인의 'Book Landscapes' 시리즈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다만 암베와 달리 본인의 작품에 쓰인 텍스트들은 이주와 노숙자, 정체성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책에서 발췌한 것으로 작품의 의미와 일맥상통하게 된다. 본인이 탐구하는 작품의 가장 큰 주제는 개인의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이주이다. 본인의 이주에는 본인의 어머니가 한국에서 미국으로 간 이주와, 본인이 미국에서 한국으로 돌아온 이주가 모두 포함되는데, 이러한 두 차례의 이주는 본인의 민족적이고 국가적인 정체성을 바탕으로 양국과의 관계들을 형성시켰다. 어머니의 이주는 한국 문화에 대한 본인의 관계를 강화하고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갖게 한 반면 본인의 이주는 양국 모두에게 거절당하여 마치 홈리스가 된 것 같은 감정을 갖게 함으로써 본인 스스로를 재평가하게 하였다. 재평가의 과정 속에서 본인은 킵 풀벡의 하파 프로젝트에서 하파라는 용어를 빌려와 본인의 혼합된 정체성을 표현하는 가장 정확한 용어로 사용하였고, 전 세계의 하파 커뮤니티를 알리는 것은 물론 하파와 비슷한 다른 정체성의 문제들까지도 고찰하게 되었다. 이러한 정체성 문제는 본인의 정체성을 매핑해 내는 페인팅 작업과, 본인의 개인적 경험을 토대로 '홈'과 홈리스에 대한 보다 넓은 주제에 대해 말하고 있는 북 아트 작업을 통해 드러나며 이주와 혼혈 민족, 그리고 여러 문화가 혼재된 현대 사회 속 정체성 문제의 복잡한 층위들이 작업 전반에서 제시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