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6 Download: 0

상호작용적 글쓰기가 유아의 자모지식과 쓰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

Title
상호작용적 글쓰기가 유아의 자모지식과 쓰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Interactive Writing on Young Children's Korean Alphabet Knowledge and Writing Development
Authors
강너울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순환
Abstract
본 연구는 상호작용적 글쓰기가 유아의 자모지식과 쓰기 발달에 어떠한 영향이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유아의 자모지식과 쓰기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상호작용적 글쓰기 과정과 교육현장에서의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상호작용적 글쓰기가 유아의 자모지식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상호작용적 글쓰기가 유아의 쓰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상호작용적 글쓰기가 유아의 자모지식과 쓰기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S구에 위치한 사립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4세반 2학급의 유아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각 25명의 유아들로 구성되어 있다. 실험처치는 2016년 9월 12일부터 2016년 11월 4일까지 8주에 걸쳐 총 24회의 활동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개별이나 소집단 별로 상호작용적 글쓰기 활동을 통해 자모지식과 원리를 이해하고 글자를 만들며 나아가 단어 및 문장 쓰기까지 실시하였다. 비교집단은 생활주제에 따라 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언어활동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쓰기 기초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연섭, 김성일(1981)의 유치원 아동의 학습준비도 검사도구와 박혜경(1988)의 검사도구를 안은희(2007)가 일부 수정·보완한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자모지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유아의 알파벳 이름 회상, 소리 재인, 쓰기 능력을 측정한 Dodd와 Carr(2003)의 연구와 유아의 알파벳 이름 재인, 암송, 쓰기 능력을 측정한 Bloodgood(1999)의 연구를 한글 체계에 적용하여 자모지식을 총 4가지 소검사로 구성한 최나야(2009)의 검사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유아의 쓰기 발달 단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영자, 이종숙(1990), 이문옥(1997), 조선하, 우남희(2004), IRA와 NAEYC(1998), Sulzby(1985)를 참고하여 한글에 적합한 자유 쓰기 발달 단계를 개발한 최나야(2009)의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집단 간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작용적 글쓰기는 유아의 자모지식을 증진시켰다. 자모지식 중에서 자·모음 쓰기, 자·모음 소리 재인, 자·모음 이름 회상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상호작용적 글쓰기는 유아의 쓰기 발달을 증진시켰다. 결론적으로 상호작용적 글쓰기는 유아의 자모지식과 쓰기 발달을 증진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상호작용적 글쓰기는 유아의 자모지식과 쓰기 발달 향상을 위해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interactive writing on young children's Korean alphabet knowledge and writing development.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presenting a process for interactive writing that allows young children to improve their Korean alphabet knowledge and writing ability, and providing basic data applicable to education practice. The following are the research questions that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1. How does interactive writing affect Korean alphabet knowledge of young children? 2. How does interactive writing affect writing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This study conducted experimental research to identify the effects of interactive writing on young children’s Korean alphabet knowledge and writing development. Two classes comprised of 50 children at the age of four in a private kindergarten located in the S-gu, Seoul were chosen as subjects for this research. One experimental group and one control group were formed each with 25 children. For the experiment, 24 activities were conducted in the span of eight weeks from September 12 to November 4, 2016.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as an individual or in small groups in interactive writing to comprehend the knowledge and fundamentals of the Korean alphabet. Furthermore, they not only formed Korean letters, but also formed words and sentences.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group engaged in language activities with topics that were provided by the kindergarten. To assess the basic writing ability of the young children, tools for assessing learning readiness of kindergarten children suggested by Lee and Kim (1981) and tools for assessing suggested by Park (1988) that was partially modified and complemented by An (2007) were used. Dodd and Carr (2003) measured the ability of young children to recall the name of the alphabet, to recognize the sound, and to write. Bloodgood (1999) measured young children's ability to recognize the name of the alphabet, to recite, and to write. Studies by Dodd and Carr (2003) and Bloodgood (1999) were applied to the Hangul (Korean alphabet) system and the assessment tool by Choi (2009), which divided the Korean alphabet knowledge into four sub-tests, were modified and complemented to use it for this study. To determine the writing development stage of the young children, Lee and Lee (1990), Lee (1997), Jo and Woo (2004), IRA and NAEYC (1998), and Sulzby (1985) were referenced by Choi (2009). Choi (2009) established development stages of free writing that were suitable for Hangul. Pre-tests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o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hile independent sample t-tests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from each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First, interactive writing enhanced the Korean alphabet knowledge of young children. Among the Korean alphabet knowledg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present for writing vowels and consonants, recognizing the sound of vowels and consonants, and recalling the names of vowels and consonants of the Korean alphabet. Second, interactive writing enhanced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writing. In conclusion, interactive writing had a positive effect on enhancing young children's Korean alphabet knowledge and writing development. Therefore, interactive writing can be appli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advance young children's Korean alphabet knowledge and writing develop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