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수근-
dc.contributor.author서예지-
dc.creator서예지-
dc.date.accessioned2017-08-27T11:08:41Z-
dc.date.available2017-08-27T11:08:41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93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935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056-
dc.description.abstractIn this study, the legislation process of the Special Act on The Corporate Revitalization established in February 2016 which was created to reorganize corporations and encourage competitiveness in business is mainly analyzed. In analysis, the comparison between said act and Japan's incentive system in order to reorganize business is shown in this study. By doing so, it will explain the significa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Special Act on The Corporate Revitalization and suggests future legislative improvements. The study focuses on the legislative process of the law and examines the process in which various discourses and arguments became research proposals, initiatives, and eventual legislature. In addition, the study illuminates the debate on the incentives provided for business reorganization by the Act and contrasts it to Japan's Corporate Reorganization Incentive System. Through this, it was able to extrapolate the following. First was the purpose of the existence of this Act. In previous financial legislature there were support systems for corporate reconstruction without legal precedents such as Industrial Rationalization Policy. There are currently various laws, such as Commercial Law, in place that are related to corporate reconstruction. However, the Special Act on The Corporate Revitalization is able to create virtuous circle where companies can reconstruct, workout, and use an insolvency procedure depending on their financial status, creating a sustainable recovery system. As such, its significance lies in its functionality as a platform that attempts the various special support granted by previous legislature. Second is the legislative process of this law. Disregarding the controversy against the Act, it can be a clear indicator of the continuing discourse to balance the contrary values of deregulation to support corporation while protecting stakeholder through regulations. Third is the originality of this law. When it is compared to Japan’s Corporate Reorganization Support System, it is clear that the Special Act on The Corporate Revitalization did not modeled after the system of Japan, yet it contains several factors unique to Korea such as the Deregulation Act for Fair Trade Commissions. As shown above, some instances that should be improved are singular small scale divisions without legal precedent and the inconsistency in procedural length between business days and natural days. In addition, in comparison to Japan's Corporate Reorganization Support System there should be consideration for laborers as well as legal consideration for potential violation of fair competition.;이 연구에서 필자는 기업의 사업재편 및 그에 따른 경쟁력 강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2016년 2월 제정된 기업활력제고특별법의 입법과정을 분석하고, 동법 제정에 참고가 된 일본의 사업재편 지원제도를 비교하여, 기업활력제고특별법이 가지는 의미와 특성을 설명하고 향후 입법적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필자는 법의 입법과정에 주목하여, 여러 논의와 주장이 연구안, 발의안, 실제 법률로 확립되는 변화를 살펴보았다. 사업재편에 관한 특례 지원에 대한 쟁점을 분석하고, 일본의 사업재편지원제도와 비교, 정리하기도 했다. 이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이 법의 존재 의의이다. 종래 제정법상 근거 없이 사업재편 지원제도(산업합리화조치)가 존재했었고, 현재에도 상법 등 각기 다른 법률에서 사업재편과 관련한 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업활력제고특별법은 기업의 상태에 따라 사업재편, 워크아웃, 법정관리를 활용하는 선순환적 회복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에 관한 기존 법제도의 다양한 특례를 시도하는 플랫폼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 둘째, 이 법의 입법과정이다. 재벌특혜법 등 사회적인 논란은 차치하고라도, 이 법은 기업에 대한 규제완화와 이해관계자 보호를 위한 규제강화라는 상충되는 가치를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에 대한 논의를 잘 보여주고 있다. 셋째, 이 법의 독창성이다. 일본 사업재편 지원제도와 비교해 보면 기업활력제고특별법이 일본 사업재편 지원제도를 그대로 모델링하지 않았으며, 공정거래법상 규제완화 등과 같이 한국의 실정에 맞는 많은 내용을 담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살펴본 결과, 예컨대 소규모 분할을 아무런 입법적 근거 없이 1회만 인정하거나, 절차에 소요되는 기간이 특례에 따라 영업일과 자연일로 혼재되어 있는 점은 향후 개선되어야 할 점이다. 일본 사업재편 지원제도와 비교했을 때 근로자에 대한 배려와 공정경쟁 침해 가능성에 대한 입법적 고려 등도 요청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 론 1 A.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B. 선행연구 4 C. 연구의 범위와 내용 5 II. 사업재편 일반론 7 A. 기업활력제고특별법상 사업재편 일반론 7 1. 사업재편의 개념 7 2. 사업재편 관련 법률 11 B. 산업경쟁력강화법상 사업재편 일반론 18 1. 사업재편의 개념 18 2. 사업재편 관련 제도 21 III. 한국 기업활력제고특별법상의 사업재편제도 26 A. 기업활력제고특별법의 입법과정 26 1. 기업활력제고특별법의 제정 이전 26 2. 기업활력제고특별법의 입법과정에서의 논의 30 3. 연구안, 발의안과 최종 법률 내용의 비교 37 B. 기업활력제고특별법상 사업재편의 체계 및 지원내용 45 1. 기업활력제고특별법상 사업재편지원의 체계 45 2. 기업활력제고특별법상 사업재편지원의 지원내용 61 C. 기업활력제고특별법을 둘러싼 법적 쟁점 97 1. 기업활력제고특별법과 기존 법체계와의 정합성을 들러싼 논의 97 2. 기업활력제고특별법상 지원제도와 시장원리와의 조화 99 3. 사업재편계획 승인에 관한 법적 성질 103 D. 기업활력제고특별법상 사업재편지원의 사례 107 1. 한화케미칼(매도인)과 유니드(매수인) 107 2. 국제종합기계(매도인)과 동양물산(매수인) 108 3. 기타 사례 109 4. 시사점 110 IV. 일본의 산업경쟁력강화법상 사업재편 제도 112 A. 산업경쟁력강화법의 입법과정 112 1. 산업경쟁력강화법의 연혁 112 2. 산업경쟁력강화법 제정의 경위와 취지 114 3. (구)산활법과 산업경쟁력강화법의 차이 116 B. 산업경쟁력강화법상 사업재편지원의 체계 및 지원내용 130 1. 산업경쟁력강화법상 사업재편지원의 체계 130 2. 산업경쟁력강화법상 사업재편지원의 지원내용 134 C. (구)산활법 및 산업경쟁력강화법상 사업재편지원의 사례 145 1. (구)산활법상 사업재편지원의 사례 145 2. 산업경쟁력강화법상 사업재편지원의 사례 148 3. 시사점 149 V. 양국법의 비교분석 153 A. 기업활력제고특별법과 산업경쟁력강화법의 비교분석 153 1. 적용 대상 153 2. 지원 내용 156 3. 정부 및 기업의 책무 160 4. 사업재편계획 승인 심사 요건 161 5. 고용 안정 관련 163 B. 시사점 165 VI. 결 론 168 참고문헌 172 부록 1. 기업활력제고특별법 연구안, 발의안 및 최종법률 대조표 178 부록 2. 기업활력제고특별법 및 산업경쟁력강화법 대조표 223 ABSTRACT 2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0625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한·일 사업재편 지원 제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기업활력제고특별법과 산업경쟁력강화법의 비교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comparative study on incentive system for the restructuring of business in Japan and Korea : based mainly on Special Act on The Corporate Revitalization and Industrial Competitiveness Enhancement Act-
dc.format.pagex, 281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법학전문대학원 법학과-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법학전문대학원 > 법학과 > Journal paper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