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0 Download: 0

기프트 서비스에 관한 연구

Title
기프트 서비스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gift service : focusing on service value improvement strategy through design
Authors
최은솔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에코크리에이티브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혜선
Abstract
사람들이 선물을 주고받은 가장 오래된 기록은 기원전 700년 전의 것이지만, 아마도 그전부터 선물은 존재했을 것이다. Mauss(1924)는 선물의 기원을 원시사회의 생산을 위한 노동과 생산물 분배의 줄 의무, 받을 의무, 되갚을 의무로 형태로 설명했다. 선물 증여는 문화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더라도 모든 사회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의례이다. 이전부터 다양한 학자들이 사회학, 경제학, 인류학 측면에서 선물을 연구해왔다. 그러나 연구의 대부분이 서양 사회를 중심으로 진행되었고, 국내 선물 연구의 대부분은 소비학적 측면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선물은 다양한 상품을 포함하여 빈번하게 소비됨에도 불구하고 디자인 관점에서 고찰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디자인 연구로는 포장이나 패키지 디자인에 그 연구 주제가 한정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물 시장과 기존 기프트 서비스에 대해 살펴보고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 기프트 서비스의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기프트 서비스의 필요성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 소비자의 일반적 선물 증여 행위 과정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니즈를 찾아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Literature Review)와 실증연구(Empirical Research)를 병행하였다. 먼저 우리나라의 선물 증여 상황에 대해 기존 문헌을 검토함으로써, 시기별 특성과 유래, 주고받는 선물 품목과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선물 증여 과정에 대한 기존 문헌을 고찰함으로써 단계별 구매행동과 그 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국내외 선물시장 현황을 통해 기프트 서비스의 시장가능성을 모색하고 국내외 기프트 서비스 사례와 그 한계점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음은 실증연구로, 선물 소비자 군집 설정을 위해 사전연구로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조사를 통해 선물 구매 패턴과 선물 구매 과정에 따른 행동과 느낌을 살펴보고 요인 분석을 통해 네 가지 선물 증여 집단(전문적인 증여자, 즐기는 증여자, 의무적인 증여자, 비증여자)으로 분류했다. 분류된 집단의 구매 특성과 니즈를 심도 있게 알아보기 위해 1:1 심층 인터뷰를 실시했다. 자발적 동기와 사회적 의무에 따른 선물 상황에서의 차이에 따라 두 가지 상황을 나누어 질문하고, EBM 모델을 참고한 선물 구매 과정에 따라 질문하였다. 마지막으로, 문헌연구와 실증연구 결과를 토대로 소비자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그에 따른 솔루션으로서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기프트 서비스 모델을 제안했다. 서비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첨부하여 9개의 주요 사업요소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했다. 본 연구가 제안하는 모델을 통해 디자이너의 새로운 역할로서 기프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The earliest record of exchanging gifts is 700 years B.C., but perhaps there were gifts before that time. Marcel Mauss(1924) described the origin of gift in the form of duty from giving, taking and repaying of labor and production distribution for the production of the primitive society. Giving gift is a common ritual in every societies, despite some differences from culture. Many scholars have studied gift in sociology, economics, and anthropology. However, most of the study has been practiced on western societies, and most of the domestic gift research has been focused on terms of consumer science. Despite the fact that gift includes frequent consumption with various products, there is a lack of research that has been studied from a design point of view. Design research has limited subject on gift package design. This study examined gift market and existing gift services and sought the possibility of gift service based on design. Moreover,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gift service, this study analyzed the general gift giving process of domestic consumers and found their needs for it.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research were conducted for this purpose. First, time-variant characteristics, the origins, and items to be exchanged as gifts were figured out by examining the existing literatures on gift giving situation in Korea. Next, by reviewing existing literature on gift giving process, the steps for purchasing behavior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confirmed.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market potential of gift service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gift market, and examined cases of gift services and its limitations. The following is an empirical research, which conducted a survey as a preliminary study to establish a gift consumer cluster.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gift purchase patterns and behavior and feelings over purchasing process.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classify respondents into four gift giving groups(professional givers, enjoyable givers, constrained givers, non–giver).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to deepen the purchasing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classified groups. Interview asked the purchasing process based on the EBM model in two different gift giving situations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voluntary motivation and social obligations. Finally,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empirical research results, new gift service model based on design was proposed as a solution to detect consumer needs. A gift service model designed from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new role for designers in gift indust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에코크리에이티브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