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숙정-
dc.contributor.author하지혜-
dc.creator하지혜-
dc.date.accessioned2017-08-27T11:08:49Z-
dc.date.available2017-08-27T11:08:49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928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928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594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of nurses towards permanent pacemaker patient care.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performed involving 100 nurses who work at Cardiology ICU(CCU), Cardiology Surgical ICU(HICU), Cardiology Ward, and Cardiology Outpatient Clinic in South Korea. Data was collected from nurses from October 7th to November 15th, 2016. The nurses had more than three months of experience with the permanent pacemaker. The questionnaire was based on research about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for permanent pacemaker patients, and was modified accordingl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3.0 to identify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e's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97 females aged 30.16±6.18 on average and 83.0 percent of them had bachelor's degree. The average length of their clinical career was 6.82±6.04 years. Even though it was only 72 percent of the subjects who answered that they had already had the pacemaker education, 97 percent of them insisted they required the pacemaker education. 2. The mean score for knowledge of permanent pacemaker was 18.9±.24, and the average score for educational needs was 3.79±.53. The educational needs were subdivided into 4 sections; general information, medical treatments, medications, and activities after pacemaker implantation. The average scores for each section were as follows: 3.43±.75 for general information, 3.63±.59 for medical treatments, 3.69±.61 for medications, and 3.60±.71 for activities after pacemaker implantation. 3. The working environment (F=3.181, p=.017), the total length of clinical experience (F=4.761, p=.004), and the nurse's previous pacemaker education experience (t=3.451, p=.001)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knowledge. There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knowledge of pacemakers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Nurses working at Cardiology Wards or Cardiology ICU(CCU), for example, have a higher level of knowledge than those at Cardiology Surgical ICU(HICU) nurses. In instances where pacemaker experience is a factor, it has been shown that the greater the amount of clinical experience, the greater the knowledge of pacemakers. The research suggests that the knowledge of pacemakers i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the total length of clinical experience, and the nurse's previous educational experience in pacemaker. Educational needs for pacemakers was high in general. As a results, the working environment, the total length of clinical experience, and the nurse's previous educational experience in pacemaker need to be consider when educating nurse who cares patients with permanent pacemaker. Especially, the developing a systematic education plan for permanent pacemakers is highly expected to improve the nurse's knowledge and their ability.;본 연구는 심혈관 관련 부서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이식형 심박동기에 대한 지식과 교육요구도를 파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서울 지역의 2개 상급 종합병원에서 심혈관 관련 부서에 해당하는 심혈관병동, 심혈관외과 중환자실, 심혈관내과 중환자실, 심혈관외래 간호사 1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6년 10월 7일부터 11월 15일까지 진행되었다. 연구 도구로 사용된 심박동기에 대한 지식 및 교육요구도는 유양숙, 이선경, 조옥희, 정혜선(2004)이 환자 대상으로 개발한 도구를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심장내과 교수 2인, 간호학과 교수 1인, 심박동기 클리닉 간호사 1인, 석사 이상의 임상 전문 간호사 1인 등 5인의 전문가에게 내용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등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심박동기에 대한 지식은 총점 23점 중 평균 18.2±2.28점으로 나타났다. 심박동기에 대한 교육요구도는 4점 만점에 평균 3.56±.47점이었으며, 4가지 하위 영역의 평균 점수는 4점 만점에 일반적인 사항 3.43±.53, 활동 3.60±.54, 치료 및 예후3.63±.49, 약물 3.69±.61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심박동기 관련 지식은 근무부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혈관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심박동기에 대한 지식이 심혈관외과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보다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F=3.181, p=.017). 심박동기 지식을 4가지 하위 항목으로 구성하여 분석한 결과 시술 후 일상생활에 관한 지식은 근무 부서(F=4.571, p=.002)와 총 근무 기간(F=4.761, p=.004)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심박동기 관련 교육을 이수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심박동기 시술 후 합병 증에 관한 지식이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t=3.451, p=.001). 3. 대상자의 심박동기 관련 지식과 교육요구도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r=.108, p=.285). 그러나 대상자의 96.0%(96명)가 심박동기 관련 교육을 받기원하는 것으로 나타나 심박동기 관련 교육요구도는 지식수준과 무관하게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심혈관 관련 부서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심박동기 지식은 근무부서와 총 근무 경력, 심박동기 교육 이수 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사를 위한 심박동기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시 근무 부서를 고려한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국내에 심박동기 관련 간호 교육이 많지 않은 것을 감안하여 본 연구를 통해 궁극적으로 심박동기 환자 간호의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의 정의 5 Ⅱ. 문헌 고찰 7 A. 심박동기 시술환자와 간호 7 B. 심박동기 관련 지식과 교육요구도 10 Ⅲ. 연구 방법 12 A. 연구 설계 12 B. 연구 대상 12 C. 연구 도구 13 D. 자료 수집 방법 15 E. 자료 분석 방법 15 F. 윤리적 고려 16 G. 연구의 제한점 16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17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7 B. 대상자의 심박동기 관련 지식과 교육요구도 21 C.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심박동기 관련 지식과 교육요구도 28 D. 대상자의 심박동기 관련 지식과 교육요구도 간의 상관관계 36 Ⅴ. 결론 및 제언 37 A. 결론 37 B. 제언 40 참고문헌 41 부록 48 ABSTRACT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496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병원간호사의 이식형 심박동기 관련 지식과 교육요구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related to Permanent Pacemaker in Hospital Nurses-
dc.format.pagevi, 65 p.-
dc.contributor.examiner이건정-
dc.contributor.examiner신수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보건융합대학원 임상간호학전공-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