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99 Download: 0

도시 속 자연의 발견

Title
도시 속 자연의 발견
Other Titles
Discovery of city nature
Authors
정하늘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숙환
Abstract
인간은 언제나 자연과 함께 살아왔다. 인간의 삶에서 자연은 필수 불가결한 존재이다. 큰 의미의 자연인 공기, 물, 햇살이 없으면 인간은 존재할 수 없으며 그보다 작은 자연인 동물, 식물이 없으면 생명을 유지할 수 없다. 우리가 태어나 숨 쉬고 있는 지금의 이 세상을 살아가는 한 인간과 자연은 계속해서 상호작용하며 공존한다. 그러한 인간과 자연의 관계는 자연적으로 발생한 지형적 환경, 기후적 환경, 인간의 문명과 같은 여러 가지 요인들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자연현상으로 인한 자연재해를 대비하기 위해 기술적으로 연구를 하여 방지 대책을 마련하는 문명이 있는 반면 자연재해가 신의 노여움으로 인한 것이라고 생각하여 제사를 지내는 문명이 있었다. 자연을 인간 문명의 발전을 위해 사용하기도 하였고 인간의 삶을 자연의 흐름에 맡기기도 하였다. 또한 그러한 자연을 대하는 시각과 태도에 따라 자연을 다양하게 표현하기도 하였다. 자연현상, 동식물들의 모습을 바라보며 인간의 마음을 대입하기도 하였고 자연 그 자체에서 오는 미적인 감흥을 음악, 무용, 미술 등으로 표출하기도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크게 동양의 동아시아 문화권과 서양 문화권으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그러한 차이에 따라 동양과 서양의 미술작품들이 서로 어떤 특징을 가지는지 정리하였다. 그 중 서양과 제일 구분되며 동양의 자연관이 잘 드러나는 초충도를 집중적으로 연구해 보았다. 초충도는 풀꽃과 풀벌레를 대상으로 하여 그린 그림이다. 초충도에서와 같이 자연을 주제로 한 산수화에서는 속세에서 벗어난 삶, 이상향을 그려낸 반면 초충도에서는 평범한 삶 안에서 접할 수 있는 일상적 자연의 모습을 그려내었다. 초충도가 독립적인 분야로 세분화되고 전문화됨에 따라 기법과 표현 방식 또한 다양하게 발전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초충도는 조선시대의 많은 작가들에 의해 즐겨 그려졌고 다양한 초충도 작품들이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다. 초충도는 일상적 자연의 풍경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당시의 삶의 모습과 당시 작가들의 자연을 보는 시각까지도 엿볼 수 있다. 현재 본인이 살고 있는 21세기 서울의 도시 속에서는 조선시대와 달리 일상 속에서 풀꽃과 풀벌레들을 접하기 힘들다. 그러나 삶의 모습이 달라졌을 뿐 지금의 도시 속 일상에서도 자연의 모습을 찾아낼 수 있다. 본인은 그러한 자연의 모습을 본인만의 시각으로 발견하여 작품에 옮기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본인이 표현하려고 하는 일상의 자연의 모습을 먼저 작품으로 표현한 조선시대의 초충도 작가들의 정신과 기법을 연구하여 이를 본인의 작품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결과로 초충도에서 느낄 수 있는 자연친화적이고 여유로운 삶의 자세를 본인의 작품을 대하는 태도에도 접목시켜 앞으로의 작품창작의 방향을 확고히 하는 것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A human being is lived with nature. Nature is a vital element to human's life. Humanity do not exist without air, water and sunshine-kind of great nature and animals and plants like smaller than great nature. As long as we live lifes now, human coexist and interact with nature continually. Those relationships of human and nature occured that variety cause of physiographic feature, climatic environmental and civilizations. Whereas one civilization studied technological measures to prevent natural disaster, another civilization regarded natural disaster is caused by anger of nature's God that performed ancestral rites for God. They made use of nature resources to civilization development or adapted to nature. Therefore those diversity sights and attitudes to nature made various expressions. Humans had empathy between their feelings and natural phenomenon or plants and animals. Also they expressed inspirations from nature itself with music, dance and painting. In this thesis, relationship with human and nature is analyzed and compared East Asian culture and Western culture. Then described features that works of arts in East Asian and Western based on cultural differences. Above all, Chochungdo-painting of grass and insects- is studied intensively that emerged an Eastern view of nature and distinguished with Westerns. Chochungdo is an painting style drawed grass, flowers and insects. There is Sansuhwa-painting of landscape that main topic is nature like Chochungdo. While important subjuects of Sansuhwa are utopia and forsake the world-life, Chochungdo treated about small nature in everyday life. Chochungdo is independent as granular and in $accordance with the specialized techniques and expression also developed variously. In Korea, Chochungdo is mostly painted by many artists of Chosun Dynasty. Also plenty of Chochungdo-art works have been passed down to the present. Chochungdo is daily dealing with nature's scenery. Therefore we can find the view of nature of the way of life and artists at that time. Unlike Chosun Dynasty era, it's hard to face natural plants and insects in city of Seoul, 21C. There's only difference that just changed the way of life, we can discover the appearances of nature in everyday city life. I tried to discover my own perspective and reflect that appearances of nature in my painting. In this thesis, I studied the mind and techniques of the Chosun Dynasty era's artists, where I first expressed the daily images of nature that I am trying to express myself, and compared it with my work. And as a result, I intend to resolutely attach significance to the direction of creation of coming art works by grafting the attitude of nature-friendly and leisurely life that I can feel in Chochungdo to the attitud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