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206 Download: 0

국내 자살예방 공익광고 내용분석

Title
국내 자살예방 공익광고 내용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in suicide prevention in Korea : Focusing on applying health belief model
Authors
윤선경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정책과학대학원 언론홍보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순태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자살예방 공익 광고를 건강신념모델의 5가지 변인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자살예방과 관련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실시하는 공익적 차원의 커뮤니케이션에 초점을 두고, 2004년부터 시행된 국내 자살예방 공익광고가 우울증과 자살 예방의 메시지를 제시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지금까지의 이론적 논의에 근거하면, 헬스커뮤니케이션 차원의 공익광고는 공익적 목적이 우선시 되는 건강정보를 제공하고 나아가 건강행동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해야 한다. 나아가 대중의 건강행위를 직접적이면서도 적극적으로 유도하는 건강정보를 전달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강신념모델의 5가지 주요 요인을 분석틀로 사용하여 자살예방 공익광고의 메시지와 자살 예방간의 상호작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공익광고와 공모전을 통해 입상한 UCC를 분류하고, 공익광고 중 자살예방대책 5개년 계획의 1차년도와 2차년도에 따라 그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공익광고를 실증분석하기 위하여 광고의 음성메시지를 중심으로 하였으며, 건강신념모델의 5가지 요인(지각된 취약성과 심각성, 혜택과 장애, 행위단서)을 조작화 하였다. 취약성은 크게 일반적 취약성과 집단별 취약성으로 구분하였고, 세부적으로는 우울증과 자살에 대한 취약성으로 나누었다. 심각성은 우울증과 자살에 대한 심각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혜택은 자살예방에 대한 강조와 그 외의 혜택으로 구분하였고, 장애는 심리적 장애물과 물리적 장애물로 나누었다. 행위단서는 전문가 상담 등의 적극적 행위단서와 그 외의 방법을 소극적 행위단서로 조작화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단위는 광고이며, 모든 항목들은 메시지에 제시되었는가와 아닌가의 여부로 코딩하였다. 분석결과, 취약성을 제시한 광고는 전체 광고 중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었으나, 심각성의 요인은 취약성에 비해 2배에 가까운 수로 강조하고 있었다. 우울증 치료 및 자살예방에 대한 혜택이나 장애에 대한 정보 역시 크게 제시되지 않고 있었고, 행위단서 또한 전문가의 치료가 필요하다는 적극적 정보제시에 비해 운동, 주변의 관심 등의 소극적인 방법을 주로 제시하고 있었다. 심각성에 대한 지나친 강조와 더불어 취약성이 상대적으로 저조하게 제시되었고, 심리적 불안감 해소 등의 요소가 거의 제시되지 않고 있어 자살 및 우울증 치료에 대한 낙인을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5가지 요인에 해당하는 정보를 모두 언급한 광고는 전체 28편 중 단 2편에 불과했다. 5가지 중 1가지를 제시한 광고는 4편, 2가지는 10편, 3가지는 8편이었고, 4가지는 3편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강신념모델의 5가지 요인은 UCC보다는 공익광고에서 더 잘 드러나고 있었으며, 1차 년도의 공익광고보다는 2차 년도의 공익광고에서 더 많은 수로 나타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정부 차원의 자살예방 캠페인을 공익광고를 통해 실증적으로 검증하였으며, 특히 주체와 시기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델의 항목을 공익광고에 적용하였으므로 헬스커뮤니케이션 연구에 있어 공익캠페인의 중요성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자살예방 공익광고가 건강신념모델의 요인이 더 구체적으로 드러났고, 2차 년도에서 구체적 요인이 더 많은 수로 제시되었으므로 자살예방캠페인에 있어서 국가는 매체의 전문성과 더불어 장기적인 전략사업으로 기획 및 실행해야함을 시사한다. 이를 바탕으로 그 대상을 선택하고 집중하여 공익광고 캠페인 메시지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Korean public service advertisement(PSA) based on five variables of the Health Belief Model(HBM). The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Korean PSA of suicide prevention implemented since 2004 has effectively delivered the message of depression and suicide prevention. Based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s so far, PSA at the level of health communication should consider the various factors that give priority to public interest and health behavior. In addition, PSA should provide health information that directly and positively influences public health behavior. As such, the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essages of suicide prevention manifested by PSA and its effects on prevention of suicide, utilizing five main factors of the HBM as an analytical framework. The study analyzes User Created Contents(UCC) as a separate variable. In addition, it analyzes differences between first year and second year of the government-sponsored 5 – year plan of suicide prevention effects among various PSA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voice message of the advertisement to analyze the actual effects of PSA and manipulated the five factors of the HBM(perceived susceptibility and severity, benefits and barriers and cues to action). Five factors of the HBM were classified and customized as needed. Susceptibility was classified into general susceptibility and group – specific susceptibility, which was then divided into depression and susceptibility to suicide in detail. Severity was divided into severity of depression and suicide. Benefits were classified as an emphasis on suicide prevention and other benefits, barriers were classified as psychological barriers and physical barriers. Cues to action were customized into aggressive cues such as expert counseling and other passive cues. The analysis unit is an advertisement, and all factors were coded dependent on whether or not they are presented in the messag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dvertisement that showed the factor of susceptibility was less than half of all advertisements, but the factor of severity was emphasized to be nearly twice as much as the susceptibility. In addition, information on the benefits and barriers of depression treatment and suicide prevention were not presented effectively. The cues to action also suggested passive methods such as exercise and the interest of the surroundings, as opposed to aggressive methods. Excessive emphasis on severity, weakness in susceptibility, and lack of psychological barriers may increase the stigma of suicide and depression treatment. In particular, out of the total tested 28 PSAs and UCCs, only 2 advertisements included all of the five factors. 4 advertisements included one of the five factors, 10 advertisements included two of the five factors, 8 advertisements included three of the five factors, and 3 advertisements included four of the five factors. Additionally, five factors of health belief model were more visible in PSAs than UCC and more apparent in the PSA which was initiated in the second year than that of the first year. It is meaningful that the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suicide prevention campaigns at the government level through PSAs. In addition, this study reaffirmed the importance of public interest campaigns in health communication research as factors of the Health Belief Model were applied to PSAs. The result suggested that five factors of the model were more apparent in suicide prevention PSAs. As specific variables were suggested through the PSAs and of those which initiated in the second year of the governmen-sponsored Five Year Plan were more effective, the study emphasizes that the government must create a long-term policy that promotes media expertise in suicide prevention campaign. Based on this, it will be possible to effectively deliver the messages of public service campaign, strategically selecting and focusing on the target audie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정책과학대학원 > 언론홍보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