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경아-
dc.contributor.author안선진-
dc.creator안선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9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834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52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8346-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The educational analysis,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an important method for developing ability and forming identity of the art therapist, holds great significance for the masters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art therapy. The purpose of this study, hence,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the nature of educational-analysis experiences for masters students in art therapy. This study employed Max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and conducted a phenomenological research using the following steps: paying attention to the nature of lived experience(orienting to the phenomenon, formulating the question, and explicating pre-understandings), examining experience as we live it(using personal experience and reviewing phenomenological literature), doing phenomenological reflection(operating thematic analysis and deciding essential themes), and writing phenomenologically(focusing on the speaking, using various examples, writing, and rewriting). A total of 8 graduate students who enrolled in masters courses at four universities located at Seoul and Gyeonggi Province of Korea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who had experienced 10 or more educational analyses during their enrolling period. The intensive-interview data, have been collected from March to May 2016, include sufficient experiential materials for grasping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participants’ educational-analysis experience. We determined 7 essential themes from analyzing the data: 1) starting the educational analysis to understand oneself and verbal counseling, 2)feeling comfortable with an acceptance by the analyst after overcoming avoidance of self disclosure, 3) experiencing the power of art-making, 4) ending the educational analysis with satisfaction, fear and sorrow, 5) being satisfied with changes by the analysis, 6) recognizing an educational-analysis experience as one of therapists’ resources, 7) learning the impact of the educational analysis and knowing that continuous analysis experiences are necessar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ee conclusions were made on the educational-analysis experience for masters students in art therapy. First, the master students in art therapy extend their understandings of themselves through the experiences of self-exploration and self-reflection. This self-acceptance allows the students find the comfort in their lives. Second, the master students in art therapy better understand their clients by being a client of the educational analysis. This practice allows the students learn the therapy and build a therapist’s resource. Lastly, the master students in art therapy achieve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cognize that such experiences are continuously nee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on educational analysis and art therapy as follows. Lively showing educational-analysis experiences provides actual knowledge of art therapy to the students. And the nature and the meaning of educational-analysis experiences for masters students in art therapy have been revealed by Max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The educational-analysis experience is a very difficult subject to deeply analyze. This study might become a baseline material for future research on the educational analysis, a key for developing ability and forming identity of the masters students in art therapy.;교육분석은 미술치료사의 자질 함양하고 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다. 이러한 이유로 예비미술치료사인 미술치료전공 석사학위과정생들의 교육분석도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교육분석 경험의 의미와 본질이 무엇인지를 밝혀내는 데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치료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교육분석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보다 심층적으로 탐구하기 위해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체험의 본질에 집중, 경험한 그대로의 탐구,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의 11단계의 연구 절차 순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한 4개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과정을 수학한 8명으로 재학 기간 동안 10회기 이상의 교육분석을 경험하였다. 2016년 3월부터 5월까지 심층면담의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가 포화되는 상태에서 수집을 종료하였다. 자료의 분석 결과 총 7개의 대주제와 20개의 하위 주제를 도출하였다. <나 자신과 언어상담에 대해 알고 싶어 교육분석을 시작함>, <두려움과 불안정한 감정을 분석가에게 수용 받고 편안해짐>, <미술작업의 강한 힘을 체험함>, <종결을 통해 두려움과 아쉬움, 뿌듯함의 다양한 감정을 느낌>, <교육분석으로 인해 변화된 나의 모습에 흐뭇함>, <교육분석 경험이 치료사로서의 자원이 됨>, <교육분석의 긍정적인 영향을 발견하고 지속적 필요성을 깨달음> 이상이다.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의 단계에서는 1인칭 시점의 글쓰기를 통해 도출된 주제를 보다 생생하게 드러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미술치료전공 석사학위 과정생의 교육분석 경험은 다음의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미술치료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은 교육분석 경험을 통해 자신에 대해 탐구하고 미해결 문제와 마주하며, 스스로에 대해 성찰한다. 이를 통해 미술치료전공생들은 스스로를 수용하게 되어 보다 안정된 마음의 여유를 가지게 된다. 둘째, 미술치료전공 석사학위과정생에게 교육분석 경험은 내담자가 되어봄으로써 내담자를 보다 잘 이해하고, 심리치료가 어떤 것인지를 경험적으로 배우는 기회이다. 이들 통해 미술치료전공생은 치료사로서의 자원을 갖게 된다. 셋째, 미술치료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은 교육분석 경험을 통해 인간으로서의 성장과 전문가로서의 성장을 하게 된다. 이를 통해 미술치료전공생들은 지속적인 교육분석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지하게 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미술치료전공에 기여할 것이다. 본 연구는 다른 연구방법을 통해서는 심층적 분석이 어려운 미술치료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교육분석 경험을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방법을 사용하여, 그 본질과 의미를 드러내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전공 석사학위과정생에게 교육분석이 어떻게 경험되는지를 생생하게 보여주어, 이를 준비하는 미술치료전공생들에게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 석사학위과정생의 미술치료사로서의 자질과 정체성의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육분석에 관한 앞으로의 연구에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3 Ⅱ. 문헌고찰 4 A. 미술치료사 4 1. 미술치료 4 2. 미술치료사 8 3. 미술치료전공 석사학위과정생 13 B. 교육분석 17 1. 교육분석 17 2. 미술치료에서의 교육분석 21 Ⅲ. 연구방법 24 A.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24 B. 체험의 본질 27 1. 현상에 대한 지향 27 2. 현상학적 질문 형성 28 3. 가정과 선 이해 28 C. 경험한 그대로의 탐구 29 1. 연구자의 개인적 경험의 기술 29 2. 어원 추적 35 3. 문학작품으로부터의 경험적 조사 39 4. 연구 참여자의 개별 체험 진술 45 Ⅳ. 연구결과 및 해석 53 A.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53 1. 주제 분석 53 2. 본질적 주제 54 B.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 82 Ⅴ. 결론 및 제언 100 A. 결론 100 B. 제언 105 참고문헌 107 부록1. 연구 참여자의 동의서 114 ABSTRACT 11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4642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미술치료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교육분석 경험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Lived Experience of Art Therapy Major Master’s Degree Program Students Context on Educational Analysis-
dc.format.pagevi, 117 p.-
dc.description.localremark석1377-
dc.contributor.examiner강애란-
dc.contributor.examiner문리학-
dc.contributor.examiner한경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