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9 Download: 0

다문화 학생의 토론 전략 및 토론 표현 향상을 위한 한국어 토론 교재 개발

Title
다문화 학생의 토론 전략 및 토론 표현 향상을 위한 한국어 토론 교재 개발
Authors
이슬비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한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최근 한국 사회는 외국인 근로자나 결혼 이민자 등의 증가로 인해 빠른 속도로 다문화 사회로 변모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이들의 자녀, 즉 다문화 가정의 자녀수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다문화 가정 자녀를 다문화 가정 생성 배경에 따라 국제결혼 가정 자녀와 외국인 가정 자녀로 구분하였으며, 모두를 일컬어 다문화 배경 학생 또는 다문화 학생이라고 정의하였다. 교육과학기술부에 의하면 일반 학령인구(초·중·고)는 매년 감소하는 반면에 다문화 학생 수는 증가 추세에 있어, 2014년에는 다문화 학생이 전체 초·중·고 학생의 1%를 넘어섰다고 한다. 다문화 학생 수가 2010년에는 31,788명으로 전체 학생 대비 0.44%에 불과했지만, 2015년에는 82,536명으로 1.35%까지 상승했다. 특히 2015년 6세 미만의 미취학 아동은 약 12만 명으로 집계되어 향후 초·증등 교육에 진입할 다문화 학생의 수가 큰 폭으로 증가할 것임을 전망할 수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로 인해 다문화 학생을 위한 교육 지원은 초기에 비해 조금씩 체계화되고 있다. 2012년에는 교육과학기술부에서 한국어가 서투른 다문화 학생 지원을 위해 단계별 KSL(Korean as a Second Language) 교육과정을 도입하였으며, 기초학력 제고를 위한 1:1 멘토링 지원도 확대하였다. 이에 따라 국립국어원에서는 체계적인 한국어 교육 지원을 위해 다문화 학생을 위한 한국어 표준 교재도 개발하였다. 또한 2015년에는 한국어 집중 교육이 필요한 다문화 학생들에게 한국어와 한국문화 적응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다문화 예비학교를 종전 80교에서 100교로 확대 운영하기로 발표했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 마련 등의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다문화 학생을 위한 교육이 실질적이고 합리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다양한 언어적, 문화적 배경을 갖고 있는 다문화 학생들이 다문화 예비학교에서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학습하더라도, 결국에는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지 못해서 학업을 중단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다문화 학생들은 사회, 국어, 수학, 과학 등의 과목에 취약했으며(최보련, 2013), 학업 내용이 심화되는 고등학생 시기에 학업을 중단하는 비율이 높다. 이는 아무리 다문화 예비학교를 통해 일상적이고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인 ‘생활 한국어’를 습득한 학생일지라도, 교과의 지식을 담고 있는 언어적 능력인 ‘학습 한국어’ 습득에는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결과이다. 따라서 다문화 학생들이 ‘학습 한국어’ 능력 부족으로 야기되는 학업 부진을 극복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한국어 교육 방안과 교재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그리하여 본 포트폴리오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한 다문화 학생들의 요구 분석을 시작으로, 다문화 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 현황을 살펴보겠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다문화 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 내용 중에서, 필요성은 크지만 활발히 다루어지지 않은 토론 교육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알아볼 것이다. 특히 다문화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자신의 의사를 적극적으로 표현하여 한국 사회의 일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토론 교육의 장점과 교육과학기술부에서 고시한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교재를 개발하여 그 실제를 제시할 것이다. 또한 본 포트폴리오에서 개발한 교재의 효과적인 사용을 위해서 교사 지도서도 함께 제시하고자 한다.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 한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