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33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은진-
dc.contributor.author류민정-
dc.creator류민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8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810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521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810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인접면 치아우식증 진단 시 레이저형광 측정 기술을 사용한 QLF-D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igital Biluminator™ 2, Inspektor Research Systems BV, Amsterdam, Netherlands), DIAGNOdent (KaVo DIAGNOdent laser, KaVo, Biberach, Germany)가 기존의 교익방사선사진 촬영법과 비교하였을 때 유용한 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 부속 목동병원에 발치를 목적으로 내원한 교정 환자 및 치주 환자 중 연구에 동의한 만 20세 이상 환자의 발거된 소구치 102개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구강 내 인접치아를 재현하기 위해 길이, 형태, 크기가 유사한 소구치 2개의 인접면을 접촉시켜 석고 블럭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가지 인접면 치아우식증 진단 방법, 즉 교익방사선사진 촬영법, QLF-D, 그리고 DIAGNOdent가 사용되었으며, 모든 검사는 한 사람의 검사자에 의해 1주일 간격으로 2차례 실시되었다. 교익방사선사진 촬영 후 한 명의 방사선 전문의가 판독하였으며, 교익방사선사진 판독 결과를 기준으로 하여 QLF-D, DIAGNOdent의 진단 결과를 비교하였다. 통계 분석은 PASW (PASW statistics ver.18.0, SPSS, Chicago, USA)와 MedCalc (MedCalc Software, Ostend, Belgium)를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001과 0.05로 설정하였다. 모든 치아는 교익방사선사진 촬영 후 우식진행 4단계로 분류하였고, QLF-D 형광소실량(ΔF) 및 DIAGNOdent 최고값을 구하여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 진단법의 검사자 내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교익방사선사진 촬영법, QLF-D, DIAGNOdent의 세 가지 진단법 모두 매우 신뢰할 만한 수준을 보였다(p<0.001). 2. 각 진단법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교익방사선사진 촬영법과 QLF-D, DIAGNOdent간의 상관계수는 각각 -0.644, 0.448으로 QLF-D가 더 높은 관련성을 나타냈다. QLF-D와 DIAGNOdent간의 상관계수는 -0.382로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p<0.001). 3. 각 진단법의 진단 기준에 따라 작성된 분류표를 이용하여 교익방사선사진 촬영법과 QLF-D, DIAGNOdent 각각의 진단 일치도를 평가한 결과, 교익방사선사진 촬영법과 QLF-D가 교익방사선사진 촬영법과 DIAGNOdent보다 더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p<0.001). 4. QLF-D와 DIAGNOdent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분석한 결과, 교익방사선사진 촬영법의 진단 기준을 ‘건전치’와 ‘우식치아’로 분류하였을 때, 각각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QLF-D에서 78.12%, 86.84%였고, DIAGNOdent에서는 53.13%, 92.11%였다. 또한, 진단법의 정확성은 QLF-D는 매우 정확한 수준(AUC (Areas Under Curves) = 0.908), DIAGNOdent는 중등도의 정확한 수준(AUC = 0.784)이었다. AUC 비교 결과, QLF-D가 DIAGNOdent보다 더 유용하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5. 교익방사선사진 촬영법의 진단 기준을 ‘건전치 또는 법랑질 치아우식증’과 ‘상아질 치아우식증’으로 분류하였을 때, 각각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QLF-D에서 69.57%, 79.75%였고, DIAGNOdent에서는 52.17%, 81.01%였다. 진단법의 정확성은 QLF-D는 중등도의 정확한 수준(AUC = 0.753), DIAGNOdent는 덜 정확한 수준(AUC = 0.622)이었다. AUC 비교 결과, QLF-D가 DIAGNOdent보다 더 유용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모든 진단법 중에서도 DIAGNOdent가 가장 높은 검사자 내 신뢰도를 나타냈고, 교익방사선사진 촬영법과 QLF-D, DIAGNOdent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으며, 특히 교익방사선사진 촬영법과 QLF-D가 더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각 우식 진행 단계에서 QLF-D가 DIAGNOdent보다 인접면 치아우식증진단에 더 유용한 것으로 나왔으나, 상아질 치아우식증 진단 시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p>0.05). 따라서, 인접면 치아우식증 진단 시 QLF-D는 전통적인 교익방사선사진 촬영법을 대체할 수 있는 유용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특히 법랑질 치아우식증과 같은 초기 우식의 발견에는 더욱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DIAGNOdent는 QLF-D보다는 유용성이 부족하지만, 재현성이 매우 높으므로 인접면 치아우식증의 정기검진 시 보조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usefulness of QLF-D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igital Biluminator™ 2, Inspektor Research Systems BV, Amsterdam, Netherlands), and DIAGNOdent (KaVo DIAGNOdent laser, KaVo, Biberach, Germany), which use laser fluorescence measurement techniques as compared to conventional bitewing radiography, for detecting proximal caries. A total of 102 extracted premolars were taken from orthodontic and periodontal department patients over 20 years of age who visited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Dental Center and signed consent form. To simulate the oral conditions, 2 premolars with similar lengths, and shapes were arranged in stone blocks that formed proximal contact surfaces. Three proximal caries detection methods (i.e., bitewing radiography, QLF-D, and DIAGNOdent) were used and one examiner performed all examinations twice with a 7-day interval. Bitewing radiographs were interpreted by a single oral radiology specialist and lesions were classified as one of four caries levels. PASW (PASW statistics, ver. 18.0, SPSS, Chicago, IL, USA) and MedCalc (MedCalc Software, Ostend, Belgium)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either 0.001 or 0.05.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bitewing x-ray scale, QLF-D fluorescence loss (ΔF) values, and DIAGNOdent peak readings were as follows: 1. Analysis of the intra-examiner reliability for all detection methods revealed that excellent reliability for all three methods (p<0.001). 2.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bitewing radiography and QLF-D, DIAGNOdent were -0.644 and 0.448, respectively; thus, QLF-D had a higher correlation with the bitewing radiography than the DIAGNOdent did. The correlation between QLF-D and DIAGNOd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well (correlation coefficient = -0.382) (p<0.001). 3. The kappa statistics for bitewing radiography and QLF-D had a higher diagnosis consensus than those for bitewing radiography and DIAGNOdent (p<0.001). 4. When bitewing radiography was used for classification of ‘Sound’ or ‘Caries’,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QLF-D were 78.12% and 86.84%, respectively; the associated values for DIAGNOdent were 53.13% and 92.11%, respectively. QLF-D was highly accurate (AUC = 0.908), while DIAGNOdent was moderately accurate (AUC = 0.784). The difference in AUC between the QLF-D and DIAGNOd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5. When bitewing radiography was used for classification of ‘Sound or Enamel caries’ or ‘Dentin caries’,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QLF-D were 69.57% and 79.75%, respectively; the associated values for DIAGNOdent were 52.17% and 81.01%, respectively. QLF-D was moderately accurate (AUC = 0.753), while DIAGNOdent was less accurate (AUC = 0.622). The difference in AUC between the QLF-D and DIAGNOden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Considering the results above, all of three detection method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and especially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bitewing radiography and QLF-D. At each caries level, it showed that QLF-D was more useful than DIAGNOdent;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method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dentin caries detection(p>0.05). In conclusion, QLF-D is an appropriate alternative diagnostic method to conventional intraoral radiography for detection of proximal caries, and is particularly useful for detecting initial caries. Also, the reproducibility of DIAGNOdent is very high so, it can be used as an assistance method for periodic checkups of proximal car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연구대상 및 방법 5 A. 연구대상 5 B. 연구재료 및 방법 6 C. 통계분석 18 Ⅲ. 연구결과 19 A. 각 진단법의 검사자 내 신뢰도 19 B. 치아우식증 진단 기준에 따른 건전치 및 우식치아의 분포 20 C. QLF-D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igital) 형광소실량과 DIAGNOdent 최고값의 분포 21 D. 각 진단법 간의 상관관계 22 E. 교익방사선사진 촬영법과 QLF-D, DIAGNOdent 간의 진단 일치도 평가 23 F. QLF-D와 DIAGNOdent의 민감도와 특이도 24 Ⅳ. 고찰 28 Ⅴ. 결론 33 References 36 ABSTRACT 3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268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dc.subject.ddc617.6-
dc.title인접면 치아우식증 진단에 대한 교익방사선사진 촬영법,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igital, DIAGNOdent의 유용성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omparison of proximal caries detection among bitewing radiography,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igital, and DIAGNOdent-
dc.format.pagex, 41 p.-
dc.contributor.examiner마연주-
dc.contributor.examiner윤형인-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구강보건학과치위생학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치위생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