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9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선종-
dc.contributor.author김주연-
dc.creator김주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7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53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521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53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 목동병원에서 MRONJ (Medication 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 유발 관련 약제를 처방 받아 투여하는 환자에 대한 약물투여 현황과 MRONJ 발생 위험 요인과의 연관성 분석 및 본원 구강악안면외과에서 MRONJ로 확진 된 환자의 발생률을 규명하여 잠재적 환자의 원인요소 인식과 발생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2003년 1월1일부터 2016년 2월29일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 목동병원에서 MRONJ 유발 관련 약제를 처방 받은 7058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에 기초하여 발생 위험요인에 따라 인구 통계학적 특성, 처방약물에 관한 특성, 악골괴사증과 약물과의 관련 특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MRONJ 발생률, 생존분석,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성분별 약물축적량(Weight dose deposited)을 평가하여 MRONJ의 발생 위험 정도를 분석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SPSS version 20.0 program(SPSS,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Incidence rate(95% CI), Kaplan-Meier analysis 및 Chi-square test를 실시하였고, Linear & Logistic regression을 시행하였으며 보정을 위해서 연령, 성별, 투여방법을 고려하였다. 유의수준 p<.05에서 검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약물 투여환자 전체의 평균 나이는 70.78세, MRONJ 발병환자의 평균 나이는 71.1세이며, 70세 미만과 70세 이상 그룹간의 MRONJ 발생 위험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2. MRONJ 발병에 대한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재의 Incidence rate은 환자 1000명 당 3.26명(95% CI, 1.83-4.68)으로 나타났으며,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재의 투여 방법 별 Incidence rate은 경구투여 시 2.52명(95% CI, 0.65-4.38), 정맥투여 시 4.03명(95% CI, 1.74-6.30)으로 나타났다. 3.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재의 투여 기간에 따른 비교에서, 약물을 3년 이상 투여 받은 그룹과 3년 미만 투여 받은 그룹의 MRONJ 발생 위험에 대하여 그룹 간의 투여기간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p>.05). 향후 MRONJ 발생 환자에 대한 추가적인 데이터 축적을 통해 투여기간에 따른 MRONJ 발생 위험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재의 투여방법에 따른 MRONJ 발생 위험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4.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재의 성분별 약물축적량(weight dose deposited)에 따른 MRONJ 발생 위험은 Pamidronate(β= 0.197, 95% CI 0.004-0.391; p=.045) Zoledronate(β= 0.011, 95% CI 0.009-0.012;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MRONJ 발병 한 군의 약물축적량이 발병하지 않은 군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MRONJ 발병에 대한 명확한 치료 지침이 정립되지 않아 발생 위험에 대한 뚜렷한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악골 괴사 유발 관련 약물을 이용한 치료 시에는 해당 과의 전문의와 치과전문인력과의 협진이 매우 중요하다. MRONJ 발생 감소 및 예방을 위해 발생 위험 요소에 대한 인식과 이에 관련한 지식을 습득해야 하며, 발병 시에는 초기 진단 및 시기 적절한 치료가 진행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교육 및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MRONJ 발생 예방 및 명확한 치료지침 마련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scriptions of patients’ who took medicine for osteonecrosis of the jaw in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and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MRONJ occurrence. The incidence of MRONJ was also investigated and served as basic education data for awareness of MRONJ risk factors and prevention. The study evaluated 7,058 patients who used drugs that could increase the risk of MRONJ, based on their medical records in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between January 1st 2003 and February 29th 2016. The risk factor data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pati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dministrated drug, and the MRONJ-inducing property of the drug. The following results were acquired by analyzing the risk factors of MRONJ on the basis of the incidence rate of MRONJ, survival analysis data, and weight dose deposited of bisphosphonates.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0.0 (SPSS, Chicago, IL, USA). The frequency, percentage, and incidence rate (95% CI) were calculated and a Kaplan-Meier analysis, Chi-square test, and linear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performed; the data were adjusted for confounding factors such as age, sex, and route of administration. A p value of <0.05 wa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prescribed was 70.78 years, while the average age of patients with MRONJ was 71.1 years. The incidence of MRONJ in patients aged ≥70 years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that in patients aged <70 years (p>.05), and the age did not affect the incidence significantly (p>.05). 2. In patients administered bisphosphonates, the incidence rate of MRONJ was 3.26 per 1,000 patient-years (95% CI, 1.83-4.68). The incidence rate of MRONJ was 2.52 per 1,000 patient-years (95% CI, 0.65-4.38) for patients exposed to oral bisphosphonates, and 4.03 (95% CI, 1.74-6.30) for patients using intravenous bisphos¬phonates. 3. After adjusting for route of bisphos¬phonate administration, the risk of MRONJ occurrence between patient group with ≥3 years of bisphosphonate exposure and patient group with <3 years of drug exposure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p>.05).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incidence and risk of MRONJ taking into account more data of patients and risk factor depending on duration of administration. The incidence of MRONJ according to route of administration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p>.05) in the current study. 4. Risk of MRONJ occurrence associated with weight dose deposited of bisphosphonat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pamidronate (β= 0.197, 95% CI 0.004-0.391; p=.045) and zoledronate (β= 0.011, 95% CI 0.009-0.012; p=.001). In addition, the weight dose deposited for patients with MRONJ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for others. There are no definite treatment guidelines for MRONJ, and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incidence of MRONJ.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dental specialists collaborate with medical attendants to build a cooperative system when considering drug treatment that could increase the incidence of MRONJ. It is believed that recognizing the risk factors of MRONJ can reduce the incidence and allow for its prevention. Continued education and research would be needed to bring about these changes, aid in early diagnosis, and in provide proper timely treatment. These results would be helpful to establish definite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RONJ.-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연구대상 및 방법 3 A. 연구대상 3 B. 연구방법 5 C. 자료분석 방법 5 D. 통계적 검증 8 Ⅲ. 연구결과 9 A. 인구 통계학적 특성 9 1. 약물 처방환자의 성별 및 연령 분포 9 2. 약물관련 악골괴사증 환자의 연도별 분포 10 B. 처방약물에 관한 특성 11 1. 처방약물 주성분에 따른 처방코드 종류 11 2. 연도별 처방코드에 따른 처방환자의 분포 13 3. 투여방법별 처방코드에 따른 처방환자의 분포 14 4. 진료과별 약물 처방비율 분포 17 5. 진료과별 약물관련 악골괴사증 환자의 분포 18 C. 악골괴사증과 약물과의 관련 특성 19 1. 약물의 제재별 투여방법간 악골괴사증의 발생률 19 2. 투여기간별 약물 처방환자의 발생률 20 3. 비스포스포네이트의 투여기간별 악골괴사증 발생 위험 22 4.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성분별 악골괴사증 환자의 분포 23 5.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약물축적량에 따른 악골괴사증 발생 위험 24 Ⅳ. 고찰 27 Ⅴ. 결론 31 References 33 ABSTRACT 3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8349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dc.subject.ddc617.6-
dc.title비스포스포네이트 및 골 흡수 억제 약물을 투여 받은 환자에서의 악골괴사증 발생률-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Incidence of medication-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 in patients administered bisphosphonates and antiresorptive drugs-
dc.format.pagevii, 3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구강보건학과치위생학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치위생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