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47 Download: 0

공기업 구성원의 혁신행동과 사회적 자본, 개인-조직간 목표일치성, 혁신냉소주의의 관계 검증

Title
공기업 구성원의 혁신행동과 사회적 자본, 개인-조직간 목표일치성, 혁신냉소주의의 관계 검증
Other Titles
A Study of Relationship among the Innovative Behavior, Goal Congruence between Individual and Organization, and Cynicism in Public Enterprises
Authors
이효림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공학·HRD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일현
Abstract
기업은 생존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끊임없이 혁신을 요구받는다. Schumpeter가 혁신의 중요성을 언급한 이래, 혁신은 경제학ㆍ사회학ㆍ공학ㆍ심리학 등의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어 왔다. 혁신은 기업의 생존과 성장, 수익성, 경쟁우위 확보를 통해 조직의 장기적인 생존을 가능하게 하는 원동력으로, 단순히 최고 경영자의 책임만이 아닌 기업의 모든 수준에서 동시 수행되는 것으로서 전체 구성원들의 주도적인 노력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공기업의 경우, 혁신을 하지 않더라도 즉각적으로 경영상 위기가 닥치거나 다른 경쟁자로부터 위협받지 않기 때문에 혁신을 위한 전단계인 위기감 조성에서부터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공기업 구성원은 사기업과 비교할 때 집단주의적ㆍ관계중심적ㆍ권위주의적 특성이 강하며 조직 내 구성원과의 조화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혁신행동을 유발하기 위해서는 조직차원에서 접근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혁신행동의 빈도는 일반적으로 구성원 간 신뢰도가 높을수록, 변화인식 수준이 높고 개인-조직간 목표일치도가 높을수록 더 많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혁신실패의 경험이나 변화인식 필요성에 대한 이해부족, 의사소통 부족, 혁신의 결과가 개인의 불이익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낮아졌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혁신행동과 관계된 변인이 공기업 조직에서도 동일하게 작용하는지 확인해보고자 하였으며 이에 따라 아래와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사회적 자본, 개인-조직간 목표일치성, 혁신냉소주의는 공기업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를 위해서 E공사에 근무하는 정규직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고 2016년 4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사회적 바람직성을 의식한 응답을 방지하기 위하여 2회로 나누어 실시되었으며, 1회 차와 2회 차 모두에 성실히 응답한 73명의 응답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통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가설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행동과 사회적 자본의 하위변인인 신뢰, 네트워크 간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신뢰는 r = .233(p < .05)로 나타나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네트워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혁신행동과 개인-조직간 목표일치성의 상관관계에서는 r = .391(p < .01)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혁신행동과 혁신냉소주의의 하위변인인 냉소적 태도, 실패경험과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두 변인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둘째, 혁신행동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갖는 변인들에 대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신뢰는 혁신행동에 대하여 5.5%(adjR2 = .054, p < .05)의 설명력을, 개인-조직 간 목표일치성은 15.3%(adjR2 = .141, p < .01)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직급ㆍ직위ㆍ학력 등의 통제변수와 신뢰, 개인-조직혁신 목표일치성을 함께 투입한 모형에서는 직위와 개인-조직혁신 목표일치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확인되었으며, 해당 모형은 혁신행동에 대하여 21.0%(adjR2 = .151, p < .05)의 설명력을 가졌다. 이상을 바탕으로 연구가설을 검증하면, 신뢰는 단일변수로서 혁신행동에 대하여 5.5%(adjR2 = .054, p < .05)의 낮은 설명력을 갖고, 통제변수와 개인-조직혁신 목표일치성을 함께 투입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면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개인-조직간 목표일치성은 단일변수로서 혁신행동에 대하여 15.3%(adjR2 = .141, p < .01)의 설명력을 갖고, 통제변수와 신뢰를 함께 투입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을 때, 직위와 함께 혁신행동에 대하여 21.0%(adjR2 = .151, p < .05)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때 신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자가 연구대상과 같은 조직의 구성원으로 혁신냉소주의와 같은 민감한 주제를 기명으로 조사할 때 응답을 거부하거나 이름을 적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이후 연구에서 무기명으로 설문을 실시하거나 또는 외부자로서 연구할 때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와 차이가 있는지 확인해볼 것을 제안한다. 다음은 기업 구성원의 집단주의적 성향을 고려하였을 때, 사회적 자본과 사회적 네트워크가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분석 결과, 네트워크는 공기업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혁신냉소주의와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은 점 또한 냉소주의에 대한 혁신실패의 원인이 되는 주요 태도요인으로서 혁신냉소주의를 제시하는 여러 선행 연구(설홍수ㆍ지성구, 2006; 하민철, 2009; Armenakis & Bedeian, 1999; Dean et al., 1998; Reichers et al, 1997; Wanous et al., 2000)와도 상이한 결과였다. 따라서 이와 관련하여 사기업 구성원과 대비되는 공기업 구성원의 특성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E공사는 공기업이지만 방송국이기도 하므로 제작인력의 경우, 혁신행동을 구성하는 아이디어의 생산, 인적ㆍ물적 재원의 확보, 적극적 홍보가 프로그램 제작이라는 개인의 업무단위 안에서 소화되는 경향이 있다. 다시 말해, PD의 경우 혁신행동이 있어야만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개인의 업무차원의 혁신행동이 조직혁신의 성공으로 이어지는 지는 추가적으로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In order to win the survival competition, companies were constantly required to be innovative. Since Schumpeter referred to the importance of the innovation, it has been actively studied in diverse fields such as economics, sociology, engineering, and psychology. As a driving force that enables the long-term survival of the company through securing its competitive edge, profitability, growth, the innovation that should be carried out simultaneously at all levels of the enterprise is not just the sole responsibility of Chief Executive Officer but requires autonomous efforts of entire members. However, in the case of public enterprises, since they would not face immediate management crises or get threatened by other competitors even they don't make innovations, it is even difficult to create a sense of crisis which is a pre-stage for innovation. Also, the members of the public enterprises, when compared to those of private ones, are more collectivistic, authoritative, and relationship-focused. Since they tend to put more emphasis on harmony within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m at the organization level to induce innovative behaviors. In this context, the precedent studies suggest that the higher frequency of innovative behaviors results in the higher general reliability among members, the level of understanding changes, and the degree of goal congruence between individual and organization. Also, the frequency was lower in the case of experiences of innovation failur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need of changes, lack of communication, and when the result of the innovation is expected to bring about the disadvantages of the individuals. In the present study, we tried to examine whether the variables related to innovative behaviors derived in the precedent studies equally apply to the public enterprises. The following is our research question. What effects social capital, goal congruence between individual and organization, and innovation cynicism have on innovative behaviors of members of the public enterprises? For this study, I set the regular workers in E public enterprise as the subject of study and conducted a survey in April 2016. In order to avoid responses conscious of social desirability, the survey was conducted in two sets and the response data of 73 people who honestly responded to both of the first and second survey was used in the final analysi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technical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verification result of the hypothesis is as follows: Firstly, as I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liability and network both of which are the subvariables of the innovative behavior and social capital, while reliability(r = .233, p < .05) showed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the network didn't show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Accordingly, only the correlation between reliability and innovative behavior among social capital was founded. The goal congruence between individual and organization and innovative behavior(r = .391, p < .01) showed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The correlation between cynicism and experience of failure both of which are the subvariables of the innovative behavior and innovation cynicism, didn't show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As a result of conducting simple regression analysis on variables that have static correlation with the innovative behavior, it was found out that reliability accounts for innovative behavior by 5.5%(adjR2= .054, p < .05) and the goal congruence between individual and organization by 15.3%(adjR2= .141, p < .01). Also, the model that input the control variables such as rank, position and educational attainment along with the goal congruence between individual and organization accounted for 21.0%(adjR2= .151, p < .05). As we confirmed earlier in the correlation analysis that the innovation cynicism and innovative behaviors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the reliability and the goal congruence between individual and organization that have an effect on the innovative behavior in hypothesis was partially adopted.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limitations and the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researcher who conducts the open survey on sensitive issues such as innovation cynicism is the same member of the subject organization, few were found not to write their names or reject the survey. Accordingly, we recommend to conduct a secret survey or to confirm the differences in results between this study and the study of which researcher is from outside. Next, while we expected that the social capital and network will be the major variables that influence innovative behaviors considering their collectivistic tendency,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the social network is not the variable that affects the innovative behaviors of members of the public enterprise. In addition, the fact that it h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innovative cynicism was dissimilar to multiple previous studies(Seul HongsuㆍJi Sungku, 2006; Ha minchul, 2009; Armenakis & Bedeian, 1999; Dean et al., 1998; Reichers et al, 1997; Wanous et al., 2000) that present cynicism as one of the major behavioral variables that cause innovation failure. Thus, in this context, it seems necessary to conduct a detailed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enterprise members that are contrast to those of private enterprises. Thirdly, as E public enterprise is also a broadcasting company, in regards to its production staff, there is a tendency that creation of an idea, procurement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and active promotion all of which constitute innovative behaviors are handled within the production work of individuals. In other words, since PD can produce the program once there are innovative behaviors, it is necessary to study further on whether these business aspects of individual behaviors can lead to the success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