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2 Download: 0

사이버대학의 수업중심 학습공동체에서 지식공유태도,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습성과의 관계

Title
사이버대학의 수업중심 학습공동체에서 지식공유태도,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습성과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Sharing Attitud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Outcomes in Class Learning Community in Cyber University : Mediating Effect of The Interaction among Learners
Authors
곽신정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공학·HRD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규연
Abstract
The possibility of education in distanc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has been widely spread to our society thanks to the importance of lifelong education and the eye-opening progress of information technology. Following the tendency as mentioned above, cyber university provides the learners with e-learning focused on online contents, online learning is characterized by just-in-time(JIT) which provides learners with flexibility in learning schedule. However, there are issues such as one way interaction from the teaching group to the learners. That is why we ne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online based education thoroughly, considering learners’knowledge level. Classroom learning community formed by class, which learners take, tends to avoid the traditional class-oriented mechanism, which means class room learning aims to constitute communities between within-learners, within-teachers and within learners-and-teachers, followed by improvement in online learning and finally enhancing the quality of cyber university. Meanwhile, it is required to have following aspects for the successful results in classroom learning community: sharing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between members in learning community. In other words, it is explained as knowledge sharing attitude as learners in vigorous manner and self-regulating learning ability as active performers. As you will see the research result in this thesi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is very crucial in estimating learning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Looking into advance research, knowledge-sharing-attitude and self-control-learning-ability is forecasted in accordance with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However, there are no research how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ers functions between knowledge-sharing attitude and self-control-learning-ability within classroom learning community.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following topics. 1. Do students’ knowledge-sharing-attitude and self-regulating learning ability expect learning outcomes accordingly? 2. Does students’ knowledge-sharing-attitude and self-regulating learning ability within Classroom Learning Community expect the degree of learning satisfaction accordingly? 3. Does th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either intrinsic or extrinsic oriented) within Classroom Learning Community take control regarding students’knowledge-sharing-attitude and degree of learning achievement? 4. Does th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either intrinsic or extrinsic oriented) within Classroom Learning Community take control regarding students’self-regulating learning ability and degree of learning achievement? To figure out the correlation of the topics aforementioned a survey targeting the students who participate in the course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Enterprise Ethics” as class learning community in S Cyber University located in Seoul has been carried out. For clarity, the research has been preceded among 135 out of 195 participants who duly and appropriately answered the questions excluding. Based on the sampling data from the survey the hypothesis has been verified by hierarch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nly the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utonomous motivation, controlled motivation) takes effect on the learning outcomes. Second, the students’ knowledge-sharing-attitude and self-regulating-learning within Classroom Learning Community are expected to be similarly with the degree of learning satisfaction. Third, there is no concrete correlation that neither intrinsic nor extrinsic self-regulating factors take effect on between students’ knowledge-sharing-attitudes and degree of learning achievement within Classroom Learning Community. Forth, intrinsic self-regulating-learning has not been excluded in consideration and extrinsic has been because it has little correlation between intrinsic self-regulating-learning and intrinsic degree of learning achievement within Classroom Learning Community. In other words, the degree of learning achievement within Classroom Learning Community is affected by extrinsic self-regulating-learning. Finally,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self-regulating-learning have been accepted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self-regulating-learning and the degree of learning achievement. In other words, it is revealed that a community with higher self-regulating-learning ability has more degree of learning achievement. Furthermore, the level of increase in self-regulating-learning outstands in a community with lower intrinsic self-regulating-learning than with higher. Based on the study above, the following implication can be suggested. First,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potential variables overall 8 weeks of one semester, which is presumably short period. For further in-depth research it is required to investigate the longer period for Classroom Learning Community and to analyze the interaction in a comparison-wise manner between the variables. Second, the property and degree of “interaction” was estimated mainly based on the number of postings in web page. For this reason there are possibilities that other types of interaction save aforementioned might not b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interaction. Finally, in consideration of the limitation of the above research it is suggested to proceed multi-dimension-oriented study, i.e. online/offline learning environment and academic level such as 4 years university, 3 years junior college, etc.;평생학습과 첨단 정보통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사이버대학의 교육적 가능성은 널리 확대되어 왔다. 현재 대부분의 사이버대학에서는 온라인 학습 형태의 이러닝 콘텐츠를 중심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온라인 학습은 적시성, 즉시성으로 대표되는 특징이 있으나, 한편으로는 획일적인 전달 위주의 강의 등의 문제들이 한계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사이버대학생들의 수업중심 학습공동체가 지니는 교육적 효과에 대하여 검토할 필요가 있다. 수업중심 학습공동체는 수업을 중심으로 학습공동체를 구성하는 형태로 기존의 개별적인 강좌 중심의 수업을 탈피하고자 한다. 즉 강좌 내의 학습자간, 교수자간, 학습자와 교수자간 공동체를 형성하고 이들간의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증가시켜, 궁극적으로는 학습효과를 높이고 대학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전략 지원이 가능하다는 것이다(김진실, 2007). 한편, 수업중심 학습공동체가 긍정적인 학습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학습공동체 환경에서 적극적인 학습 구성원으로서 정보 또는 지식을 공유, 공존하는 측면이 요구된다. 이는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자로서의 지식공유태도와 능동적인 수행자 역할로서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의미한다. 또한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은 학습 만족도와 성취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선행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지식공유태도,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학습자간 상호작용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그러나 사이버대학에서 수업중심 학습공동체의 지식공유태도, 자기조절학습전략과 학습성과의 관계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이 조절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확인할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수업중심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사이버대학생의 지식공유태도,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습성과(만족도, 성취도)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간 상호작용(내향중심성, 외향중심성)이 지식공유태도,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습성과(만족도, 성취도)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수업중심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사이버대학생의 지식공유태도,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학습성과(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가? 2. 수업중심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사이버대학생의 지식공유태도,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학습성과(성취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가? 3. 수업중심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사이버대학생의 지식공유태도와 학습성과(만족도, 성취도)의 관계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내향중심성, 외향중심성)은 조절효과를 가지는가? 4. 수업중심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사이버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습성과(만족도, 성취도)의 관계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내향중심성, 외향중심성)은 조절효과를 가지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 소재 S사이버대학교 사회적 책임과 기업윤리 수업중심 학습공동체에 참여하는 사이버대학생 19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2주간 실시하여 151명으로부터 회신을 받았다. 이중 미응답자, 불성실 응답자, 극단적 응답자 16명을 제외한 135명의 응답자료가 최종 분석을 위하여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기술통계 및 변인들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중심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사이버대학생의 지식공유태도, 자기조절학습능력 중 자기조절학습능력만이 학습성과(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수업중심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사이버대학생의 지식공유태도, 자기조절학습능력은 모두 학습성과(성취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셋째, 지식공유태도와 학습성과(성취도, 만족도)의 관계에서 내향중심성, 외향중심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내향중심성, 외향중심성 모두는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업중심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사이버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습성과(만족도)의 관계에서 내향중심성과 내향중심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내향중심성은 자기조절학습능력과 내향중심성 수준의 상호작용항이 유의하지 않아(p > 0.5) 내향중심성의 조절효과는 기각되었다. 반면, 동일한 조건 하에서 외향중심성의 조절효과는 채택되었다. 즉 수업중심 학습공동체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학습자간 상호작용인 외향중심성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수업중심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사이버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습성과(성취도)의 관계에서 내향중심성과 외향중심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모두 채택되었다. 구체적으로 학습자 스스로 학습을 주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을수록 내향중심성과 외향중심성이 낮은 학습자 집단보다 높은 학습자 집단에서 성취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자기조절학습능력은 내향중심성, 외향중심성이 낮은 학습자 집단에서 상대적으로 내향중심성, 외향중심성이 높은 학습자 집단보다 성취도 상승폭이 더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가지는 제한점과 차후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총 8주간의 학사일정 기간 동안의 상호작용을 분석한 것이다. 그러므로 수업중심 학습공동체의 성과를 파악하기에는 8주라는 기간이 부족할 가능성이 있다.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수업중심 학습공동체의 특성을 검증하는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 대상으로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참여한 135명의 사이버대학생 중 실제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참여한 학생이 91명(67.4%)이었다. 본 연구결과로는 사이버대학생의 모집단을 대표하기에 무리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추후 다양한 학습 환경의 특성, 연구대상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보다 실증적인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의 학습자간 상호작용 분석은 수업중심 학습공동체와 관련한 협력학습활동 중의 웹 게시판 메시지 수를 근거로 하였다. 따라서 연구자가 통제하지 못하는 동시 메시지, 면대면 접촉, 오프라인 특강 등의 상호작용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구체적인 학습자간 상호작용 패턴, 양상 등의 분석을 확인하는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수업중심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사이버대학생의 지식공유태도,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성과와의 관계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이는 사이버대학생의 학습자간 상호작용의 수준에 따라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성과의 관계에서 상이한 양상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므로 앞으로 관련 실무자들이 수업중심 학습공동체 운영을 통해 학습효과를 달성하려고 할 때 학습자들의 학습자간 상호작용의 수준을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본 연구결과가 현장에서 수업중심 학습공동체 운영을 고민하는 교수자 또는 실무자에게 시사점을 제공하고 관련 기관이 학습자간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학습자간 상호작용 지원을 하는 데 실증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