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재삼-
dc.contributor.author오유진-
dc.creator오유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6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843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520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8435-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service education perceived by the childcare teachers, who completed in-service education courses contracted out b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childcare centers and teacher efficacy with the effects of in-service education, whereby proposing a strategy for enhancing the effects of in-service education. For achieving this purpose, this study sets teacher efficacy as the variable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ulture as the variable of organizational environment’s characteristics, respectively, and aims to comprehensively analyze whether any direct or indirect effects exist between variables. Detailed research questions are following: 1. Does the proposed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the effects of in-service education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teacher efficacy and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a childcare center? 2. Does any direct effect exist among the effects of in-service education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teacher efficacy and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a childcare center? 3. Does any indirect effect exist among the effects of in-service education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teacher efficacy and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a childcare center? Our hypotheses were set and the proposed research model was devised from the survey and analysis on previous related researches. The input data for this study was the self-report survey data collected from 400 childcare teachers in Seoul who completed in-service education within the recent 3 years (174 questionnaires from national and public childcare centers, 226 questionnaires from private childcare centers), and was analyzed using SPSS 22.0 and AMOS 18.0. The following analysis steps were applied. First,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the research subjects were calculated to find out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m. Then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to confirm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easuring instruments, as calculated Cronbach's α. Secon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also carried out to investigate whether the measuring variables measured the concept of the latent variable meaningfully, by calculated Cronbach's α. In addition, the KMO and Bartlett’s test were carried out to verify the adequacy of variable selection. Thir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structural model, an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between variables were verifi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is study intend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in-service education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and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childcare center’s organizational culture and teacher efficacy with the effects of in-service education, by using the measuring instruments, of which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verified in the previous studies. For this, the short form of Teachers’Sense of Efficacy Scale developed by Tschannen-Moran & Woolfolk Hoy (2001) and translated by Won Hye-kyung (2013) was used as the measuring instrument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Kim Bo-hwa’s (2015) instrument was used to measure the effects of in-service educa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testing the proposed hypothes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latent variabl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and the goodness-of-fit of the hypothesis model was confirmed. As for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 hypothesis 1: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a childcare center will have effects on teacher efficacy', and hypothesis 2: 'A direct effect exists among the effects of in-service education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teacher efficacy and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a childcare center' were accepted. In the results of specific hypotheses test, accepted hypothesis 2-1: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a childcare center will have direct effects on in-service education' showed a similar result as Kim Jin-mo, Lee Jin-wha and Gil Dae-whan's (2006) findings that organizational factors affected the transfer of in-service education, and No Eun-ho's (2012) results that supporting the professionality of childcare centers contributed the devolepoment of childcare teachers' professionality. These findings imply that teacher efficacy in a childcare center can be enhanced by developing the positiv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childcare center. Accepted hypothesis 2-2 agreed with Won Hae-young's study (2013) show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teacher efficacy were positively correlated, and the results from the studies of Ryu Geun-ha (2012) and Park Jong-min (2014) that organizational culture had effects on teacher efficacy. Also, the results as accepted hypothesis 2-3 were similar to Cho Il-hyun and Lim Gyu-youn's (2002) conclusions that high self-efficacy caused the transfer of in-service education. Finally, hypothesis 3: 'A indirect effect exists among the effects of in-service education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teacher efficacy and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a childcare center' were also accepted. This tells that organization culture had indirect effects on in-service education mediated by teacher efficacy.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a childcare center has both direct effects and indirect effects on the effects of in-service education, and are similar to You Sun-ju and Choi Eun-soo’s (2013) findings that the teacher efficacy has both direct effects and indirect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investigation into structural relationships and indirect effects between variables showed the direct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effects of in-service education were greater. Further, investigation into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effects of in-service education showed that organizational culture had indirect effects on the effects of in-service education by the medium of teacher efficacy. The above findings carry the implications that although teacher efficacy acts as an important intervening variable in organizational culture, basically teaching culture is more important to resulting performance. Next, it is shown that although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a childcare center is positive, the effects of in-service education can be lowered without the mediation of teacher efficacy. Similarly, it is shown that even when an individual teacher’s teacher efficacy is high, the effects of in-service education can be rather reduced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a childcare center. It can be seen that improvement i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a childcare center is necessary before everything in order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in-service education for childcare teach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organizational culture is a variable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enhancing the effects of in-service education. This study, however, showed that although organizational culture is positive, the effects of in-service education are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d by teacher efficacy. Furthermore, it seems that future studies need to focus on in-depth research on methods for developing the positive organizational culture of a childcare center that creates smooth colleague relationships and cooperation among members of a childcare center in order to enhance teacher efficacy.;본 연구는 서울시에서 위탁 운영하는 보육교사 보수교육 과정을 이수한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인식한 보수교육의 효과를 알아보고, 어린이집의 조직문화와 교사효능감이 보수교육의 효과와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구조적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보수교육 효과의 향상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을 통해 개인특성으로서 교사효능감, 조직환경특성으로는 조직문화를 각각 변수로 설정한 구조적 관계 모형이 적합한지 알아보고, 각각의 변수들 간에 직·간접적인 효과가 존재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가 인식한 보수교육의 효과와 교사효능감, 어린이집 조직문화 간의 구조적 관계모형은 적절한가? 둘째, 보육교사가 인식한 보수교육의 효과와 교사효능감, 어린이집 조직문화 간에 직접효과가 존재하는가? 셋째, 보육교사가 인식한 보수교육의 효과와 교사효능감, 어린이집 조직문화 간에 간접효과가 존재하는가?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서 가설과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최근 3년 이내에 보수교육을 이수한 보육교사 400명(국공립보육시설은 174부, 직장보육시설은 226부)을 선정하여 자기보고식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AMO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의 일반적 배경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연구를 위한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Cronbach의 α계수를 산출하였다. 둘째, 측정변수들이 잠재변인의 개념을 유의하게 측정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Cronbach의 α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변수선정에 대한 적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KMO와 Bartlett의 검정을 실시하였다. 셋째, 구조모형의 검증을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이하 SEM)을 통해 변인들 사이의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측정도구는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측정도구들을 선정하여 보육교사가 인식한 보수교육의 효과를 알아보고, 어린이집의 조직문화와 교사효능감, 보수교육의 효과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조직문화를 측정하기 위한 Gruenert(1998)의 SCS도구와 Tschannen-Moran과 Hoy(2001)의 축소판 교사효능감 척도를 원혜경(2013)이 번안한 도구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였으며, 보수교육의 효과는 김보화(2016)의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인 가설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델을 검증한 결과 잠재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가설모델의 적합도가 확인되어, 보육교사가 인식한 보수교육의 효과와 교사효능감, 어린이집 조직문화 간의 구조적 관계모형은 적합할 것이라는 [연구가설 1]이 채택되었다. 또한, 보육교사가 인식한 보수교육의 효과와 교사효능감, 어린이집 조직문화 간에 직접효과가 존재할 것이라는 [연구가설 2]도 채택이 되었다. 각 가설의 세부 결과를 살펴보면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보수교육의 효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2-1>의 결과는 조직차원의 요인들이 교육훈련의 전이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는 김진모, 이진화, 길대환(2006)의 연구와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이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에 영향을 주는 변인이라는 노은호(2012)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긍정적인 어린이집 조직문화를 발전시킴으로써 어린이집의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가설 2-2>의 결과는 조직문화와 교사효능감이 정적 상관관계에 있다는 원혜경(2013)의 연구와, 조직문화가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한 류근하(2012)와 박종민(2014)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가설 2-3>의 결과는 조일현과 임규연(2002)의 연구에서 자기효능감과 같은 변인이 높을수록 전이 수준이 높았다는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결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보육교사가 인식한 보수교육의 효과와 교사효능감, 어린이집 조직문화 간에 간접효과가 존재할 것이라는 [연구가설 3]또한 채택이 되었다. 이를 통해 어린이집의 조직문화가 교사효능감을 통하여 보수교육의 효과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어린이집의 조직문화가 보수교육의 효과에 직접적인 영향과 간접적인 영향력을 모두 갖고 있는 것을 시사하는 것으로 교사효능감이 조직문화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모두 지니고 있다고 보고한 유선주와 최은수(2013)는 연구와 유사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및 간접효과를 살펴보면 조직문화가 보수교육의 효과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문화와 보수교육의 효과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이 조직문화와 보수교육 사이에서 간접적인 형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교사효능감은 조직문화 사이에서 중요한 조정 역할을 하지만 결과적인 성과는 근본적으로 조직문화가 더욱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다음으로 어린이집의 조직문화가 긍정적일지라도 교사효능감이 매개하지 않으면 보수교육의 효과 역시 떨어 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마찬가지로 보육교사 개인의 교사효능감이 높을지라도 어린이집의 조직문화에 따라 보수교육의 효과가 오히려 감소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어린이집은 보육교사의 보수교육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어린이집의 조직문화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조직문화가 보수교육의 효과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변인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조직문화가 양호할 지라도 보수교육의 효과가 교사효능감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어린이집 구성원들 간 원만한 동료관계 및 협동을 이루는 긍정적 어린이집 조직문화를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론 1 B. 연구문제 2 C. 용어의 정의 3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6 A. 보육교사와 보수교육 6 1. 보육의 개념 및 보육교사의 역할 6 2. 보육교사를 위한 보수교육의 의의와 필요성 7 3. 보육교사의 보수교육 유형 및 현황 8 B. 교사효능감 14 1. 교사효능감의 개념 14 2. 교사효능감의 구성요인 15 C. 조직문화 18 1. 조직문화의 개념 18 2. 조직문화의 구성요인 20 D. 선행연구의 고찰 23 1. 보육교사의 보수교육 효과 23 2. 보육교사의 보수교육과 교사효능감 25 3. 교사효능감과 조직문화 간의 관계 27 E. 연구모형과 가설 28 Ⅲ. 연구 방법 30 A. 연구대상 30 B. 측정도구 32 1. 보수교육 효과 측정도구 32 2. 조직문화 측정도구 33 3. 교사효능감 측정도구 33 4.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34 C. 자료분석 35 Ⅳ. 연구결과 37 A.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결과 37 B. 측정모형의 검증 39 C. 구조모형의 검증 41 D. 가설검증 결과 43 Ⅴ. 결론 및 제언 46 A. 결과의 논의 46 B.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48 C.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49 참고문헌 51 부록 71 ABSTRACT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920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보육교사가 인식한 보수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와 교사효능감, 어린이집 조직문화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ructural Analysis of Relations among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fficacy and Effectiveness in In-Service education for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
dc.format.pageviii, 82 p.-
dc.contributor.examiner조일현-
dc.contributor.examiner임규연-
dc.contributor.examiner정재삼-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