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서은경-
dc.contributor.author송나영-
dc.creator송나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5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10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519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109-
dc.description.abstract현대 우리 사회에서 맞벌이 부부가 보편적인 가정의 모습으로 자리 잡아 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여성은 직업 활동에도 남편, 가정, 사회로부터 전통적 성 역할 태도를 요구 받으며 가사 일을 병행해야 하는 이중적인 부담에 시달리는 모순에 처해있다. 이러한 상황은 기혼 여성의 직업 생활을 방해하고, 나아가 여성을 노동시장에서 이탈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직업에 대한 심리적 애착과 직업을 지속하기 위한 노력으로 경력몰입을 개념화하고 기혼취업여성이 그들의 경력이 중단되지 않고 직업을 지속하는 데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혼취업여성의 경력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구사회학적 요인, 심리 요인, 직업 요인, 가족 요인으로 파악하고 이들의 차별적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해 대기업, 중소기업, 금융기관, 학교 등에 종사하는 기혼취업여성 387명을 대상으로 경력몰입, 직업정체성, 셀프리더십, 직업만족도 및 일-가족 다중역할 갈등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와 그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취업여성들의 경력몰입과 그와 관련된 변인의 경향성을 살펴본 결과, 직업만족도, 셀프리더십, 직업정체성, 경력몰입 모두 보통 이상의 비교적 원만한 수준을 나타내었고, 일-가족 다중역할 갈등은 보통을 약간 상회하는 수준으로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수 간 상관관계에서는 교육수준, 현 직업에서의 종사기간, 월 평균 가구소득, 직업정체성, 셀프리더십, 직업만족도의 경우 경력몰입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일-가족 다중역할 갈등은 경력몰입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라 기혼 취업 여성의 경력몰입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 직업 분류 요인에서는 관리자와 전문직 종사자가 사무직, 서비스직 종사자보다 경력몰입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용형태 요인에서는 고용주·자영업자가 경력몰입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 요인에서는 자녀가 있는 경우 경력몰입 수준이 더 높다는 결과를 보였는데, 이는 유자녀 기혼여성은 남성과 마찬가지로 양육비, 교육비 등의 지출에 대한 책임과 부담감을 가지고 더욱 경력에 대한 몰입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셋째, 기혼취업여성의 관련 변인들이 경력몰입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체 요인들을 투입했을 때 경력몰입을 40% 설명하였으며, 투입 요인 중 직업정체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 요인 측면에서 일-가족 다중역할 갈등이 경력몰입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 요인 측면에서 직업만족도가 경력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심리 요인 측면에서는 직업정체성과 셀프리더십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혼취업여성의 경력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였다. 기혼여성의 진로 성취 과정에서 양육 및 가사노동을 비롯한 가정생활을 조화롭게 영위하면서도 자신의 삶에 대한 질적인 개선을 위한 여성 진로 상담 개입 방안을 마련함에 있어서 시사점을 제공한다.;Today, double-income families have become universal in our society. Nevertheless, working women are still forced to play traditional gender roles by husband, family, and society and face dual burdens of working and of housekeeping. The circumstance impedes married women’s career life and ends up making women leave the labor marke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career commitment which is psychological attachment for jobs and an effort to keep working, and fi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married working women’s job continuity without career discontinuity. This study found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career commitment of married working women were social demographic factor, psychological factor, job factor, and family factor, and examine the differentiated influence of each one. The study subjects were 387 married women working in large companies, small and medium businesses, financial institutions, and schools. They participated in the online questionnaire survey about career commitment, occupational identity, self-leadership, occupational satisfaction, and work-family multiple role conflict. The study issues and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career commitment of married working women and inclination of relevant variabl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ccupational satisfaction, self-leadership, occupational identity, and career commitment had a relatively acceptable level higher than a middle level. Work-family multiple role conflict had a little higher level than a middle level. With regard to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occupational identity, self-leadership, and occupational satisfaction had th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commitment, and work-family multiple role conflict had the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career commitment. Secondly, the difference in career commitment of married working women was analyzed according to social demographic factors. As a result, the higher education they had, the more they worked as manager and expert, and the higher family income they had, the higher a level of career commitment was. This study revealed that when they had a child, a level of career commitment was high. It indicates that married working women with a child have as many responsibilities and burdens of child-rearing cost and education cost as their husbands, and consequently commit themselves more to career. Meanwhile, age, career years, their income, their spouse’s child-caring hours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the influence on career commitment. Thirdly, to find the relative influence of married working women’s relevant variables on career commitme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when all factors were injected, career comment had 40% of explanatory power. Among the injected factors, occupational identity was the most influential.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logical factors, occupational identity and self-leadership were positively influential. From the perspective of job factors, occupational satisfaction positively influenced career commitment. From the perspective of family factors, work-family multiple role conflict negatively influenced career commitment. This study explored the variables that influenced career commitment of married working women. This study made a suggestion for preparing a consulting intervention plan for women’s career, which is aimed at harmonizing married women’s child-rearing and household labor in the process of their career achievement and improving their quality of lif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3 C. 용어의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6 A. 기혼취업여성의 경력몰입 6 1. 기혼취업여성의 취업특성 6 2. 기혼취업여성의 경력몰입 7 B. 기혼취업여성의 경력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0 1. 심리 요인 11 2. 직업 요인 19 3. 가족 요인 23 Ⅲ. 연구방법 27 A.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7 B. 측정도구 27 C. 자료 분석 33 Ⅳ. 연구결과 34 A. 자료의 기초분석 34 1.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34 2. 주요 변수에 대한 기술적 통계치 36 B. 기혼취업여성의 경력몰입 영향요인 37 1. 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 37 2. 경력몰입의 차이검증 40 3. 기혼취업여성의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42 Ⅴ. 논의 및 제언 46 A. 요약 및 논의 46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52 참고문헌 53 부록 64 ABSTRACT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0592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기혼취업여성의 경력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career commitment of married working women-
dc.format.pageiv, 7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