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58 Download: 0

외상 경험자의 정서인식명확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효과

Title
외상 경험자의 정서인식명확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s Emotional Clarity Has On Posttraumatic Growth for Individuals That Have Experienced a Traumatic Event : The Mediation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uthors
남여명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철옥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외상사건을 경험한 성인을 대상으로 정서인식명확성과 외상 후 성장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를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웹기반 설문조사를 활용하여 만 18세 성인 남녀 426명의 설문 자료를 수집하였고, 설문에 불성실하게 응답한 경우와 외상 사건 당시 고통에 대한 주관적 평가에서 고통의 정도가 보통 이하인 경우에 해당하는 52명의 자료를 제외한 총 374부를 연구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지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외상경험 질문지, 정서인식 명확성 척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K-CERQ), 외상 후 성장척도(K-PTGI)를 이용하였으며 측정도구의 문항분석 및 자료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Cronbach' 계수를 산출하고 기술통계, 상관분석, t-test를 실시하고 Mplus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모형 분석 이후 매개모형 검증을 위해 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간의 상관분석을 통해 정서에 대한 높은 인식이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외상 후 성장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외상유형을 대인외상 대 비대인 외상으로 나누어 정서인식명확성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외상 이후의 적응 수준의 정도 차를 알아보았다. -test 결과 대인간 외상을 경험한 집단이 유의하게 낮은 정서인식명확성을 갖고 있으며, 부적응적인 조절전략을 사용하고 낮은 외상 후 성장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인식명확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즉 외상을 경험한 사람 중 정서인식의 수준이 높은 사람은 실제 외상 후 성장을 경험하게 될 직접적인 가능성이 있으며 이때 적응적 전략을 사용할 경우 외상 후 성장을 경험하게 될 가능성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외상사건을 경험한 개인의 심리내적인 요소를 정서적, 인지적 요소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외상경험자의 정서인식과 인지적 처리기제에 따른 이후 적응 수준을 밝혀낸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외상경험의 종류를 비대인외상, 대인외상으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상담 장면에서 외상을 경험한 내담자의 정서인식수준을 외상경험의 종류별로 이해하고 그 수준에 따라 접근 하는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내담자는 단순히 감정에 대해 말하는 것보다 감정을 경험할 때 진전한다(Teyber, Mcclure, 2011)"는 말처럼, 상담 장면에서 충분히 감정을 경험할 수 있는 지지적 환경을 마련해 주며 정서에 대한 인식을 함양시켜주는 작업을 할 때, 이것이 외상을 경험한 내담자의 변화를 위한 시발점이 될 것이다.;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clarity,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posttraumatic growth along with the group difference of each factor according to the type of trauma, then look into the mediation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osttraumatic growth. A web-based questionnaire created based on the aim of this study was used to collect the data of 426 adults that are 18 years of age or older. A total of 374 questionnaire responses were used for analysis, eliminating the 52 that were answered without diligence or had pain levels that are lower than average in the subjective evaluation of pain at the time of trauma. The scales used in the questionnaire were: a questionnaire on traumatic experience, TMMS (Trait Meta Mood Scale), K-CERQ (the Korean version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and K-PTGI. SPSS 22.0 was used to analyze the items and data, calculating the Cronbach' coefficient and conduct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t-test. The Mplus 7.0 was used to analyze the structural model.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conducted on major factors revealed the fact that high emotional awareness is related to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and low emotional clarity is related to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econd, this study looked into the difference of emotional clarity,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adaptive level after experiencing a traumatic event by dividing the type of trauma into interpersonal trauma and non-interpersonal traum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t-test, the group with interpersonal trauma experience had significantly low emotional clarity, used maladaptive regulation strategies, and reported low levels of posttraumatic growth. Third, partial mediation effects were observed from the mediation effects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n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osttraumatic growth. In other words, if a person with high emotional awareness has a traumatic experience, the person will possibly experience posttraumatic growth, and when the person uses adaptive strategies, the possibility of experiencing posttraumatic growth increa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ignificance in the fact that it has investigated the adaptive level of an individual with traumatic experience in the aspect of posttraumatic growth, and that it has investigated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an individual by dividing the factors into emotional and cognitive factors. The study may also help understand a client’s level of emotional awareness and help approach the client according to the awareness level when counseling a client with traumatic experience. “A client makes progress when experiencing emotion rather than simply talking about it. (Teyber, Mcclure, 2011)” When a supportive environment that presents sufficient emotional experience is provided during counseling along with procedures that cultivate emotional awareness, the sessions will become the beginning stages of change in a client that has experienced a traumatic ev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