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50 Download: 0

임부의 음악 태교 중 피아노 태교에 대한 인식도 조사

Title
임부의 음악 태교 중 피아노 태교에 대한 인식도 조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erception on the ‘prenatal education by playing piano’ among various prenatal music educations
Authors
주보람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공연예술대학원 피아노교수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은성
Abstract
태교는 옛 선조들의 지혜에서부터 현대의 과학적 연구에까지 이르러 그 중요성이 강조돼왔으며, 그중 음악태교는 근래 몇 년 동안 태교의 필수 요소가 되었고, 가장 대표적인 태교 방법으로 꼽히게 되었다. 그러나 음악 태교에 관한 연구는 음악 감상 태교법에만 편중되어 이루어졌을 뿐, 상대적으로 노래 태교법이나 악기 태교법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임부들의 음악 태교 중 피아노 태교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여 피아노 태교의 올바른 실천 방법과 학습자에 대한 교육적 기반 마련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먼저 음악 태교의 이론적 배경에 대한 문헌연구와 국내외 피아노 태교 수업의 실태 조사를 통해 문헌적, 실질적 이론을 정립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전국의 임부 135명을 대상으로 임부들의 일반적 특성, 음악태교 실천도, 피아노 태교에 관한 인식도, 피아노 태교 프로그램 구성 요소에 관한 내용의 설문을 작성하여 조사연구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부들의 태교에 대한 방법으로는 음악 태교가 가장 많았고, 피아노 교육경험이 있는 임부의 수치는 93.3%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임부들의 음악 태교 실천도는 76.3%로 나타났고, 앞으로 태교로 배우길 희망하는 악기는 피아노, 오르간 등의 건반악기가 가장 많았다. 셋째, 피아노태교의 인식도는 58.5%로 나타났고, 피아노태교의 영향에 대해서는 긍정적 인식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피아노 태교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교사의 자질과 전문성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비율이 약80%로 나타났고, 피아노 태교 프로그램의 참여의사는 참여하겠다 수준의 의견이 74.1%로 나타났다. 피아노 태교의 인식은 아직 부족해 보이나, 영향력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수치가 나온 것으로 보아 피아노 태교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높이고 효과적인 태교 방법과 실천에 관한 보급이 이루어진다면, 피아노 태교 분야의 발전 가능성은 높다고 볼 수 있겠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피아노 태교 수업의 교사 교육, 교재 연구, 수업 프로그램 연구 등의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으며, 더 나아가 피아노 태교 수업의 교육적 가치와 중요성을 인정받고 실질적으로 활성화되기를 기대해본다.;The importance of prenatal education has long been highlighted ranged from the ancient society to contemporary scientific studies. Recently, prenatal music education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means of prenatal educations among a verities of prenatal educations. Researchers have paid sparse attention to the prenatal education by songs and musical instruments, however, while they are quite interested in studying the prenatal education by listing music.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ducational foundation of prenatal education practices and their learners by investigating the perception of the ‘prenatal education by playing piano’ as new means of prenatal music educations. The dissertation examines the literature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prenatal music education. Then, the dissertation analyses a survey data on ‘prenatal education by playing piano’ collected solely for this study. The survey was completed by 135 respondents who were being pregnant.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investigate personal information, the frequency of practice of the ‘prenatal education by playing piano’, the respondents’ perception of it and components of its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majority of respondents use musical means for prenatal education rather than others. Especially, over 90 percent of respondents who have leant piano practise prenatal music educations. Second, three quarters of respondents perform prenatal educations by various musical means. The majority of respondents desire learning keyboard instruments such as piano and organ. Third, around 60 percent of respondents recognize the ‘prenatal education by playing piano’ as a way of prenatal educations and most of them have a positive perception of it. Fourth, around 80 percent of respondents take tutors’ ability and specialty seriously when they choose the program. Three quarters of respondents are willing to take part in the program of the ‘prenatal education by playing piano’. Although it seems that the recognition on the ‘prenatal education by playing piano’ is not strong,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significant improvement of it, considering the positive perception on it. In addition, the diffusion of effective methods of practices and the promotion of the ‘prenatal education by playing piano’ could increase the possibility. Lastly, this study would make significant contributions on the practical activation of class on ‘prenatal education by playing piano’ as well as future studies on teaching methods, instructors and textbook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공연예술대학원 > 피아노교수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