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6 Download: 0

학교생활 부적응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Title
학교생활 부적응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Other Titles
A Single Case Study on Art Therapy for a Maladjusted School Child
Authors
전숙인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하연
Abstract
본 연구는 아동의 학교부적응 문제에 관하여 개인미술치료가 학교생활 적응에 어떤 영향 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학교부적응을 보이는 대상아동의 미술작업을 통해 얻은 시각적 결과물을 매개로 본 연구자와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 대상아동은 서울 소재의 C초등학교 3학년 남학생으로 학교생활 부적응 문제로 학교 내 지역사회교육전문가를 통해서 의뢰가 되었고 2015년 6월1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주 1회 60분씩 총23회기 개인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회기별 질적 분석하였고 투사그림검사(K-HTP, KFD)를 사전·사후 실시하고 질적 분석하였으며, 학교생활 적응력, 학습동기, 자아존중감 검사를 사전·사후·추후 실시하여 그 변화의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학교생활 부적응 아동을 대상으로 개인미술치료를 수행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생활에 있어 학교생활 적응력 향상의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개인미술치료가 아동으로 하여금 풍성한 자기표현을 통해 자신에 대해 알아가며 통합해가는 자기화 과정을 경험하게 하여 자신감이 향상되고 학교생활 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학교생활 적응력 검사에서 사전검사 결과 총점 93에 비해 사후검사 결과 총점 109점으로 16점 상승하였고, 추후 검사에서도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수업 등 모든 영역에서 적응력이 유지, 지속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교사 및 교우관계 등 대인관계의 증진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미술치료를 통해 자신감이 향상되어 대인관계가 증진되었고 학교생활에서 교사 및 또래관계의 증진은 학교수업과 활동 등의 학교환경과의 관계에서 지속적으로 적응해 가도록 하는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정서 및 행동의 변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정서적 안정감을 줄 수 있는 공감적이고 반영적인 미술치료 환경을 제공하여 대상아동으로 하여금 미술활동을 통해 감정을 표출하고 부정적 정서를 해소할 수 있게 하였다. 이를 통해 긍정적 자아상을 형성하고 학교생활에 자신감을 갖고 적응해 갈 수 있게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통해 개인미술치료가 학교생활의 부적응 행동을 보이는 아동의 정서 및 행동의 변화와 대인관계 증진의 긍정적 영향을 가져옴으로써 학교생활 적응력을 향상시키고 유지, 지속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본 사례연구가 학교생활에 부적응을 호소하는 아동을 대상으로 개인미술치료를 실시하여 아동의 학교생활적응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으며 학교 환경에서 부적응을 보이는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향상을 위해 치료적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This study aims at finding what effect Personal Art Therapy has on adapting to schools for a maladjusted child. For this,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was implemented with a student who showed signs of misfit over his visual art works. The observed boy was in 3rd grade of C elementary school in Seoul and a community educationalist requested for counsel with his school misfit problem. A total of 23 times of Personal Art Therapy were treated once a week for 60 minutes of each from June 11th to December 31 in 2015. In order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is study, each session was analyzed qualitatively through pretest and posttest analysis on the K-HTP and KFD. Tests for adaptation to school life, academic motivation and self-esteem were conducted in 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test to compare the change between them. The study results on the effectiveness of Personal Art Therapy for maladjusted school children are as follows. First, Personal Art Therapy has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adapting to school. Personal Art Therapy helps a child know who he or she is through relentless self-expression, and improves self-confidence by experiencing self-affirmation, which leads to a positive impact on school life. In the test for adaptation to school life, the pretest score was 93 and the post test was 109, 16 points higher. Follow-up tests also revealed that adaptability to school life improved in every area, such as school life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friends. Second, Personal Art Therapy has a positive impact on personal relations with teachers and peers. Art Therapy strengthened self-confidence, and promot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friends at school. Relationships with peers played a positive role in adapting to the school environment, including classes and school activities. Third, Personal Art Therapy has a significant impact on a child’s emotional and behavioral changes. By providing empathy and a reflective art healing environment, emotional feelings were expressed and negative emotions were relieved. This enabled the child to form a positive self-image and to adapt to school life with confidence. This study showed that Personal Art Therapy has a positive impact on developing and improving school adaptability by vitalizing personal relations, and fostering emotional and behavioral changes for a misfit student. In conclusion, Personal Art Therapy is effective in improving adaption to school life for a maladjusted child. Therefore, Personal Art Therapy can be put into practice in schools to treat a student suffering from maladjust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