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서은경-
dc.contributor.author김정미-
dc.creator김정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9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697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51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697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청소년동반자의 직무환경 위험요인 척도를 개발하고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는 기존의 상담자용 직무환경 척도가 청소년동반자의 직무환경 독특성은 구체적으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진행한 자료 분석 절차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번의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청소년동반자의 경험적 자료를 토대로 문항의 내용을 구성하였고 선행연구의 내용을 참고하여 문항을 수정 ․ 보완하였다. 청소년동반자를 대상으로 사례 슈퍼비전을 수회~수십 회 실시하고 있는 전문가(대학교수, 현장실무자) 5명과 청소년동반자로 2년 이상 활동(최저 2년~최고 7년, 평균 4년) 중인 14명에게 문항내용의 적합성을 검증 받아 예비척도에 사용할 127문항을 선별하였다. 둘째, 예비척도 127문항에 대해 전국에서 활동 중인 청소년동반자 264명의 데이터를 토대로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내적신뢰도(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상관계수, 바틀렛(Bartlett)의 단위행렬 점검, 스크리 차트(scree chart)를 사용하여 척도의 문항이 요인분석에 적합한지 검토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36문항으로 구성된 7개의 요인을 추출하였다. 7개 요인의 상관분석 결과, 사례의 독특성과 자원연계( r= .14), 상담환경과 자원연계(r= .16)는 유의수준 0.05에서 유의하였다. 나머지 요인들은 상관계수 r= .19~.49로 대체로 적절한 값을 보이며 유의수준 0.01에서 유의하였다. 셋째, 전국에서 활동 중인 청소년동반자 221명으로 새로운 표본을 구성하여 문항의 내적신뢰도(Cronbach’s α)를 산출하였고, 7요인으로 이루어진 모형의 적합도 검증과 요인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Cronbach’s α= .90, χ²=901.19, df =573, p<.001, CFI=0.89, TLI=0.87, SRMR=0.07, RMSEA=0.05로써 모형 적합도지수가 비교적 양호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본척도의 준거관련 타당도 증거를 확보하기 위해 선행연구에서 상담자를 대상으로 개발된 직무환경척도와 PANAS, 진실성척도, 직무만족척도, 이직의도척도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척도와 상담자를 대상으로 개발된 기존의 직무환경척도는 .70으로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고(수렴), 부정정서는 .46, 이직의도척도는 .56으로 상당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정서와 직무만족척도는 -.37과 -.56으로 본척도와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진실성척도는 상관이 -.16이하의 값을 보여 관련이 없는 것(변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가 타당도 증거를 확보하기 위해 사용한 다른 척도의 하위요인을 얼마나 잘 설명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정서에 대한 설명력은 37%로, 긍정정서 36%, 부정정서 30%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은 44%, 이직의도는 43%로 대체로 양호한 설명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척도를 구성하는 하위 7요인과 직무만족, 이직의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통해 재확인함으로써 타당도 증거를 확고히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청소년동반자 직무환경 위험요인척도(YC-JERFS)의 사용은 국가지원 사업으로 운영되는 청소년동반자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활성화와 청소년동반자의 인력이탈과 관련한 대처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다른 상담관련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청소년동반자의 직무환경 개선을 위한 객관적인 근거자료로 사용됨으로써 청소년동반자 프로그램의 실질적인 서비스의 수혜자인 위기청소년들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여, 청소년동반자 프로그램이 효율적인 프로그램으로 활성화 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This study is aimed to develop the 'scale for risk factor in youth companion's job environment' and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This is one that is focusing on existing consultation edition job environment is a measure does not reflect the uniqueness of specific job environment of youth companion.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carried out data analysis and propose the result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nducted FGI (Focus Group Interview) twice to construct the question items based on the actual experiences of youth companions. And it had those items verified by 5 experts (professor, practitioner) who had provided case supervision to youth companions up to tens of times and 14 youth companions with more than 2 years of experience in the field (2 years to 7 years, with 4 years as average). Finally, 127 items were verified and selected for preliminary study. Second, 127 preliminary items were answered on 264 youth companions working nationally and the items were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their internal reliability (Cronbach’sα) were tested. The scale items were also tested for their fitness to factor analysis. For this, coefficient of correlation, Bartlett's unit matrix and scree chart were us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und 7 sub-factors of 36 items for the scale of this study. When the correlation of 7 sub-factors were tested, it turned out that all the factors were correlated to each other.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between uniqueness of a case and resources linkage was r= .14 and that of counselling environment and resources linkage was r= .16 and bot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 p < 0.05). The coefficients of correlation of the rest factors ranged from r=.19 to r=.49, which was proper in general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01). Third, new samples were gathered with 221 youth companions working nationall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scale items were derived. the items were analyzed for internal reliability (Cronbach’sα). And the model consisting of 7 factors was tested for goodness of fi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to check factor structure. The result showed χ² =901.19, df =573, p<.001, CFI=0.89, TLI=0.87, SRMR=0.07, and RMSEA=0.05. It confirmed that the goodness of fit of the model was relatively proper. Fourth, to secure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scale, this study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scale of this study and the scales developed for counselor in precedent studies: 'job environmental scale', 'PANAS', 'authenticity scale', 'job satisfaction scale', 'turnover intention scale'. The result showed that the scale of this study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environment scale (r= .70), which was considerably high, and with negative emotion scale (r=. 46) and turnover intention scale (r= . 56). However, i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ositive emotion scale (r= -.37) and job satisfaction scale (r= -.56). It had a very low level of correlation with authenticity scale (r < .02), which the scale f this study was not correlated with authenticity scale from precious studies. Fifth,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scales developed in this study,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know how much the scales of this study can explain the sub-factors of other scales. It turned out that the scales of this study had 53% explanatory power for job environment power, 44% for job satisfaction, 43% for turnover intention, 36% for positive emotion, and 30% for negative emotion, which were relatively high. In discriminant validity, the explanatory power for 3 sub-factors of authenticity scale turned out 8~18%, which were relatively low. Last,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paths of 7 sub-factors of this study and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nd proposed a corrected model . The scale for risk factor in youth companion's job environment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activate the researches of youth companion program, which is operated as the government support project, to help design a preventive plan for youth companion's job burnout and frequent turnover.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be the basic data with which youth companion's job environment, which is poorer than other counselling fields, can improve. Therefo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help provide good quality of youth companion programs to teenagers in crisis situation and operate efficient youth companion's programs for the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청소년동반자 5 1. 청소년동반자와 위기청소년 5 2. 청소년동반자 프로그램 9 3. 지역사회 청소년통합지원체계 11 4. 청소년동반자 관련 선행연구 16 B. 청소년동반자 직무환경 위험요인 20 1. 직무환경 이론과 청소년동반자 20 2. 직무환경 관련 척도 25 Ⅲ. 연구 방법 28 A. 연구대상 및 절차 28 1. 문항제작 28 2. 문항평정 30 3. 예비연구 30 4. 본연구 33 B. 측정도구 35 1. 청소년동반자 직무환경 위험요인 척도 35 2. 정서 척도 36 3. 상담자 직무환경 척도 36 4. 진실성 척도 37 5. 직무만족 척도 37 6. 이직의도 척도 38 C. 자료분석 방법 39 Ⅳ. 연구결과 및 해석 41 A. 예비연구 분석 결과 41 1. 예비척도의 문항분석 41 2. 예비척도의 탐색적 요인분석 43 3. 본연구의 문항 확정 49 B. 본연구 분석 결과 51 1. 본척도의 문항분석 51 2. 본척도의 하위 요인 간 상관 54 3. 본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 54 C. 준거 관련 타당도 57 1. 본척도와 준거 변인들과의 상관분석 57 2. 본척도의 하위 요인과 준거척도의 회귀분석 59 3. 본척도의 준거타당도 확인을 위한 구조방정식 모형검증 63 Ⅴ. 논의 및 결론 67 참고문헌 74 부록 86 ABSTRACT 10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9946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청소년동반자 직무환경 위험요인 척도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Development of the Scale for Risk Factor in Youth Companion's Job Environment-
dc.creator.othernameKim, Jeong Mi-
dc.format.pageviii, 105 p.-
dc.contributor.examiner김수영-
dc.contributor.examiner박철옥-
dc.contributor.examiner서은경-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