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7 Download: 0

라오스 40-59세 성인의 거주 지역과 식품불안정에 따른 식행동과 건강상태 비교 연구

Title
라오스 40-59세 성인의 거주 지역과 식품불안정에 따른 식행동과 건강상태 비교 연구
Authors
김지연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영양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유리
Abstract
Chapter 1은 라오스의 성인을 대상으로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에 따른 식행동 및 최근의 식생활의 변화와 이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라오스의 수도 비엔티안(VTE Capital-Chanthabuly, Xayseththa)과 교외 농촌지역(VTE Province-Phonhong, and Tholakhom)에 거주하는 40-59세의 성인 979명(남성 435명, 여성 5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 조사는 교육 수준, 직업, 가정의 경제적 형편 등 사회경제적 수준 등 일반사항, 전반적인 건강의 상태, 식행동, 최근의 식생활 변화와 식품군별 섭취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였다. 그 결과 도시집단이 농촌집단에 비해 읽고 쓸 수 있는 비율(p = 0.000), 고학력 비율(p = 0.000), 가정 내 소유 물품이 많은 비율(p = 0.000), 정부 기관이나 사 기관에 근무자의 비율(p = 0.000)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인 건강 상태에서는 도시집단이 농촌집단에 비해 체중(p = 0.000), 허리둘레(p = 0.000), 이완기 혈압(p = 0.009), 일주일에 적어도 하루이상 음주하는 비율(p = 0.000), 자가인식 건강상태에서 ‘매우 좋음’의 비율(p = 0.001), 비만의 비율(p = 0.000)이 유의하게 높았다. 하지만 현재 흡연율은 농촌집단이 도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 = 0.023). 도시집단에서는 농촌집단에 비해 높은 외식 빈도, 고지방 육류와 튀기거나 볶은 음식의 많은 섭취를 통해 식습관에서 서구화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였다. 또한 도시집단이 농촌집단에 비해 비교적 균형 잡힌 식사를 하고 있었으나, 하루 세끼의 식사를 섭취하지 못하였으며 불규칙적인 식사를 하였다. 과일(p = 0.000)과 유제품(p = 0.000)의 섭취는 도시집단이 농촌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나 채소의 섭취는 농촌집단이 도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 = 0.000). 결론적으로 라오스의 도시는 농촌에 비해 식습관에서 전통적인 식사가 건강하지 않은 서구화된 식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비전염성질환을 증가 시키는 위험 요소로 작용 할 수 있다. 또한 도시지역과 농촌지역 모두에서 높은 만성질환율을 보이므로 건강한 식행동으로의 변화와 라오스의 만성질환율의 감소 및 예방을 위해 지역의 차이에 따른 차별화된 개별적 맞춤형 영양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Chapter 2는 라오스의 성인을 대상으로 남녀에 따른 불안정이 일반적인 특성, 신체적인 특성, 식행동과 식품 섭취의 차이에 미치는 영향과 남성에서의 식품불안정에 따른 고혈압과 그 위험요소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라오스의 수도 비엔티안(VTE Capital-Chanthabuly, Xayseththa)과 교외 농촌지역(VTE Province-Phonhong, and Tholakhom)에 거주하는 40-59세의 성인 979명(남성 435명, 여성 5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 조사는 식품불안정 상태, 교육 수준, 직업, 가정의 경제적 형편 등 사회경제적 수준 등 일반사항, 건강의 상태, 식행동, 최근의 식생활 변화와 식품군별 섭취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였다. 미국농부무(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에서 개발한 가정 식품안정 설문문항(household food security survey module)을 사용한 결과 전체 대상자의 58.4%가 식품불안정(51.9%는 low food security, 6.5%는 very low food security)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사항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식품안정군이 식품불안정군 비해 도시 거주자의 비율, 읽고 쓸 줄 아는 비율, 높은 교육 수준의 비율, 높은 가정 내 소유 물품 정도의 비율, 자녀의 수가 적은 비율이 식품불안정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 < 0.05). 식품불안정 상태에 따른 건강상태는 남성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허리둘레, 엉덩이둘레의 평균은 식품이 안정한 남성이 식품이 불안정한 남성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 < 0.05). 또한 남성에서의 고혈압의 비율은 식품안정군(45.5%)에서 식품불안정군(FI 1: 32.9%, FI 2: 17.9%)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 = 0.003). 간이 식생활 진단표(Mini dietary assessment, MDA) 10문항은 점수가 클수록 전반적인 식사의 질이 좋음을 나타내며, 이에 대한 총점은 남녀 모두에서 식품안정군이 불안정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p = 0.000), 튀기거나 볶은 음식의 섭취도 식품안정군이 식품불안정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 = 0.000). 남성에서 식품불안정의 정도에 따른 고혈압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는 도시에 거주, 중등학교나 대학교 이상의 학력, 높은 가정 내 소유 물품, 정부기관이나 사 기관에 근무자, 과체중이나 비만인 경우, 복부 비만인 경우, 일주일에 적어도 하루이상 음주가 고혈압의 위험 요소로 작용하였다. 식품불안정과 고혈압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변수를 보정하여 그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식품의 불안정이 가장 심한 군의 남성에 비해 식품안정군의 남성에게서 고혈압의 위험도가 커졌다. 본 연구는 처음으로 기존의 미국의 식품불안정 문항을 사용하여 라오스의 식품불안정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개발도상국의 남성에서 높은 음주, 고지방 식품의 섭취 등 생활습관 요인으로 인해 식품안정군에서 식품불안정군에 비해 높은 고혈압의 위험도를 가지고 있다고 보고한 의미가 있는 연구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지역 사회 복지 프로그램 및 보건 영양 프로그램과 정책과 고혈압 및 만성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 할 수 있을 것이다. ;Chapter 1.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and compare dietary behavior and food intake in different regions of Lao PDR. The survey was conducted on 979 people aged 40-59 years old living in 25 urban provinces and 25 rural provinces in four district (VTE Capital-Chanthabuly, Xayseththa, VTE Province-Phonhong, and Tholakhom) of Laos. General demographic information, health status, and dietary behavior were surveyed using a questionnaire. The literacy ratio (p = 0.000), education level (p = 0.000), asset ownership level (p = 0.000), and government and private employee ratio (p = 0.000) were higher in urban subjects than those of rural subjects. The mean value of weight (p = 0.000), waist circumference (p = 0.000),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p = 0.009) and alcohol consumption (p = 0.000), self-rated health status (p = 0.001), and the rate of obesity (p = 0.000)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urban subjects than those of rural subjects. However, the rate of current smok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rural group (p = 0.023). Meals are becoming more westernized by higher eating-out frequency, consumption of fatty meat and fried or stir-fried food in urban area compared to rural area. The urban subjects had relatively better balanced meals compared to rural subjects whereas they consumed insufficient meals per day and consumed meals irregularly compared to rural subjects. The intake of fruit and milk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urban subjects than those of rural subjects. However, the intake of vegetabl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rural area than urban area.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raditional Lao diet is being replaced by unhealthy western dietary pattern, which may be one of risk factors for increasing development of non-communicable disease (NCD) in Lao PDR. Proper personalized nutritional intervention and education in each area need to be planned to decrease the health risks of NCD. Chapter 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d compare health status, dietary behavior, and hypertension risk factors between food security group and food insecurity groups in Lao PDR.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979 people aged 40-59 years old living in 25 urban provinces and 25 rural provinces in four district (VTE Capital-Chanthabuly, Xayseththa, VTE Province-Phonhong, and Tholakhom) of Laos. Food insecurity status, general demographic information, health status, and dietary behavior were surveyed using a questionnaire. Using the adopted 18-item USD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od insecurity questionnaire, 58.4% of total participants reported food insecure (51.9% of mildly food insecure, 6.5% of moderately and severely food insecure). Food secure household had higher living in urban, literacy, education attainment, item ownership, lower number of children, and health enhancing physical activity (p < 0.05). Health status differences among food insecurity groups were significant only in men. The mean values of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 (BMI),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waist circumference, and hip circumferenc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food secure men than food insecure men (p < 0.05). In addition, prevalence of hypertension in me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ood secure group (45.5%) than that of food insecure groups (FI 1: 32.9%, FI 2: 17.9%) (p = 0.003). Dietary quality score using mini dietary assess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and consuming fried or stir fried foo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ood secure group than that of compared groups (p = 0.000). Hypertension was associated with som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ing men living in urban area, college or university education level, having high item ownership, employee work status, obesity, waist obesity, and alcohol consumption at least once per week. After adjusting for factors that are related to hypertension and food insecurity, men from food secure households were more likely to have hypertension than men from severely food secure household. In conclusion, this study is the first to access household food insecurity using the USDA household food security survey module and it indicates that food secure men living in developing countries have significantly higher degree of hypertension risk. Based on our study, community public health campaign, public nutrition program, and public policy are needed to reduce the burden of NCD risk factors and the futur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Lao PD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영양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