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소현-
dc.contributor.author신윤재-
dc.creator신윤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7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64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511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645-
dc.description.abstract발달지체 유아가 독립적인 시민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영아에서 성인기까지 다양한 교육을 받는다. 이때 교육적 배치의 이동을 전이(transition)라고 하는데, 발달지체 유아는 전이 과정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유아교육기관에서 공교육 체계의 첫 관문인 초등학교 배치로의 전이는 발달지체 유아뿐 아니라 부모에게 긴장과 스트레스를 안겨준다. 따라서 학교생활에 요구되는 학교생활 적응기술, 사회성기술, 의사소통기술, 학업기술, 일상생활기술과 그에 대한 부모 지원이 필요하다. 통합교육의 수가 점차 증가하면서 초등학교의 성공적인 전이를 위해서는 발달지체 유아와 부모의 참여, 학교와 지역사회 모두의 협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달지체 유아의 현행수준을 가장 잘 알고 있는 유아교육기관 교사와 어머니 요구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을 연계하여 초등학교 전이 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발달지체 유아의 학교 준비도를 살펴보았다. 또한 초등학교 전이에 대한 어머니 지원을 위해 부모교육을 실시하고 자녀의 초등학교 진학이 스트레스가 아닌 자신감을 얻는 기회가 되도록 어머니 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 참여자는 2016년 초등학교 입학 예정인 발달지체 유아와 어머니 24쌍이며, 실험집단 12쌍에게는 초등학교 전이 프로그램을 4개월 동안 총 16회기 제공하고 통제집단에게는 실시하지 않았다. 초등학교 전이 프로그램은 가족의 어려움 및 요구와 학교 준비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평가와 요구, 초등학교 1학년 교과 활동과 초등학교 전이 지원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 바탕으로 구성하여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실험은 6명씩 두 개의 소집단으로 학교 교실환경과 유사한 교실에서 매 회기 3교시로 이루어진 학교 적응 주제와 교과활동, 사회성 향상 수업을 실시하고 수업 후 어머니들에게 학교 전이과정에 필요한 부모 교육과 개별 상담을 제공하였다. 초등학교 전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발달지체 유아의 학교 준비도 척도의 사전-사후검사의 차이점수에 대한 두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고, 어머니 양육 효능감의 사전-사후검사의 차이점수에 대한 두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지체 유아의 초등학교 전이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은 학교 준비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초등학교 전이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발달지체 유아보다 더 높은 수준의 학교 준비도를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준비도의 세부 영역에서 기능(대․소 근육 운동 , 신변자립, 표현 기능)과 태도(학교나 학급의 규칙 지키기, 기본생활습관)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적응(분리불안, 또래와의 적응, 학교와 교실 환경에 적응, 활동참여의 적응, 부적응행동)과 성향(학습 및 학교에 대한 태도, 흥미와 활동 참여의 의지, 정서적 안정, 자신 및 타인을 이해하고 적절하게 감정 표현하기)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초등학교 전이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어머니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은 수치상으로는 실험집단이 증가하고 통제집단이 감소하였지만,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 본 연구는 전이와 관련한 증거 기반의 실제가 부족한 실정에서 초등학교의 성공적인 전이를 위하여 발달지체 유아와 어머니,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요구와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을 연계한 전이 지원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발달지체 유아의 학교 준비도를 유의미하게 향상시켰다는데 그 의의를 지닌다. 또한 발달지체 유아에게는 전이에 필요한 학교생활 적응기술, 학업기술, 일상생활기술, 또래와 교사와의 사회적 상호작용기술, 의사소통기술 중심의 교육을 제공하고, 어머니에게는 전이에 필요한 정보와 자녀 지도 방법, 개별 상담 등의 지원을 제공하여 어머니 양육 효능감을 높이고자 하였다. 발달지체 유아의 성취와 사회·정서 발달에 중요한 전이가 이루어지는 초등학교 입학이 더 이상 긴장과 스트레스가 아니라 기대와 축하의 장이 되기 위해서는 효과가 검증된 체계적인 전이 지원 프로그램이 부모, 유아교육기관과 초등학교 교사, 관련서비스 전문가, 지역사회 간의 협력을 통해서 제도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receive a variety of education during life to be an independent citizen. Transition is the movement of educational placement in which transition process they confront with difficulties. It is very tensed and stressful for not only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but also their parents to be at the first gateway to the transition from a preschool education institution to an elementary school as a public education system. They therefore require school adaptation skill, social interaction skill, communicative skill, academic skills, daily living skills with parent support. As the number of an inclusive education has been increasing, it requires participation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and their parent and the cooperation of school and community for successful transitions to an elementary school. In this study, hence, a transition support program to elementary school had been conducted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grade curriculum at elementary school based on teachers in young children education institute and their mother’s demands, who are the most familiar with the current level of the young children and identified the school readines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Also in this study, a family support program was carried out as a transition support program to elementary school for their mothers and their mother’s parenting efficacy was measured with the intention of helping their mother not to have huge stress but to have opportunities to boost confidence when they are faced with their child’s getting into an elementary school. 24 pair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their mothers who are planning to enter elementary school in 2016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12 pair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their mothers) was provided with 16 sessions of a transition support program to elementary school for 4 months and no support was provided to the control group. The transition program to elementary school was formed based on families’ current issues and needs, an evaluation and needs from teachers in young children education institute on school readiness, the first grade curriculum activities at elementary school, support for entering elementary school based on relevant literature and advance research and validity was verified. The experiments were provided to two sub-groups of 6 under classroom-like environment analogous to that of school. Topics and curriculum activities for school adaptation and lesson for sociality enhancement were provided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for 3 periods. After the lesson, parent education on transition process at school and an individual counseling were provided for their mothers. To measure the effects of a transition program to elementary school, with a pretest-posttest control-group experimental design,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conducted to see if there was any differences in school readiness scale(Bang, 2013)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their mother’s parenting efficacy between two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in school readines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in which young children exposed to the transition program to elementary school and the control group in which young children was not exposed to the transition program to elementary school. The experimental group in which young children exposed to the transition program to elementary school showed more higher level of school readines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functions in detail domain of school readiness(gross and fine-motor skill, the cleanliness and attiring function, utterance functions) and attitude(keeping class or school rules, basic life habi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in adaptation(separation anxiety, adaptation to peers, adaptation to the class and school environment. activities participation adjustment, maladjustment) and disposition (attitude on learning and school, willingness to interests and participating, emotional stability, understanding others and one's own self and expressing emo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econd, parenting efficacy of mother who wa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involved to the transition program to elementary school was increased and parenting efficacy of mother who was in the control group was decreased numerically however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in circumstance where there is little evidence based intervention in transition field, for successful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the transition program that was verified by elementary teachers was made up and applied to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by connecting with demand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eir mothers, teachers in young children education institute and the first grade curriculum at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the transition program to elementary school enhanced the school readiness of them significantly. In addition, this study sincerely desired to support school adaptation skill, academic skills, daily living skills, social interaction skills with peers and teachers, communicative skill based education for transition to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provide their mothers for programs that consist of information on transition, children guidance and individual counseling so that improve the mother's parenting efficacy. In order for entering elementary school that is the most important transition to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in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domain to be an expectation and celebration which is not tension or fear any more, verified systematic transition support programs are necessary with cooperative activity between parents,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lated service professionals and the community in the institutional aspec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C. 용어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7 A. 초등학교 전이 지원의 필요성 7 1. 발달지체 유아의 전이 지원 필요성 7 2. 부모 및 가족의 전이 지원 필요성 8 B. 발달지체 유아를 위한 초등학교 전이 지원의 실제 10 1. 유아의 학교 준비도 10 2. 부모 참여와 양육 효능감 17 3. 학교 참여와 지역사회의 협력 19 4. 전이 지원 프로그램의 선행연구 22 Ⅲ. 연구방법 27 A. 연구 참여자 27 B. 실험기간 및 장소 29 C. 독립변인: 초등학교 전이 지원 프로그램 29 1. 프로그램의 구성 30 2. 프로그램의 내용과 실시 44 D. 종속변인 측정도구 48 E. 실험 설계 및 절차 49 F. 사회적 타당도 54 G. 자료 분석 56 Ⅳ. 연구결과 57 A. 초등학교 전이 지원 프로그램이 발달지체 유아의 학교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57 B. 초등학교 전이 지원프로그램이 발달지체 유아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58 Ⅴ. 논의 및 제언 60 A. 논의 60 1. 학교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논의 60 2.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논의 62 B. 제한점 64 C. 제언 66 참고문헌 70 부록 82 ABSTRACT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4852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초등학교 전이 지원 프로그램이 발달지체 유아의 학교 준비도와 어머니 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a Transition Support Program to Elementary School on School Readiness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Their Mother’s Parenting Efficacy-
dc.format.pageiv, 106 p.-
dc.contributor.examiner박지연-
dc.contributor.examiner김유리-
dc.contributor.examiner이소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