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숙향-
dc.contributor.author남주연-
dc.creator남주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7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691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51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6910-
dc.description.abstract최근 학교교육에서는「학생인권조례」제정에 따라 소수 학생의 권리를 보장하여 장애학생의 존엄성과 가치, 자유와 평등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등학교 통합교육 환경에서 장애학생의 교육권을 비롯한 직·간접적 차별에 의한 인권침해 발생률이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로 인해 장애학생들이 신체적, 정신적인 피해를 경험할 뿐만 아니라 비장애학생과 사회적 관계를 맺으며 학교생활을 적응해 나가는데도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어 결과적으로 사회적 통합에 심각한 영향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비장애학생들의 장애인의 인권에 대한 사회적 인식 부족으로 나타나는 결과로서, 비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생활 속 전반에서 장애인에 대한 인권감수성을 향상시키고, 장애학생을 수용할 수 있는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장애인권교육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권에 대한 태도 발달에 중요한 시기인 초등학교 고학년 비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우리 사회나 학교 생활 전반에서 일어나고 있는 장애인권침해 사례들을 다룬 인터넷 자원을 활용하여 학습자 주도적으로 장애인권과 관련한 프로젝트를 탐구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장애인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이러한 인터넷을 활용한 장애인권 프로젝트학습 프로그램이 장애인권감수성 및 장애학생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기도에 위치한 S초등학교 일반학급 6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한 실험집단 21명과 통제집단 21명의 총 42명의 비장애학생들이다. 인터넷 기반 장애인권 프로젝트학습 프로그램의 적용을 위해 실험집단 비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특수교사인 연구자가 컴퓨터실을 이용할 수 있는 창의적 재량활동 시간에 14회기에 걸쳐 인터넷 기반 장애인권 프로젝트학습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의 경우 학급의 담임교사가 사회 교과 시간에 일반적인 인권 내용으로 인권교육을 실시하였다. 중재를 마친 후 인터넷 기반 장애인권 프로젝트학습 프로그램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비장애학생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중재에 따른 장애인권감수성 척도와 장애수용태도 척도의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변화를 두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기반 장애인권 프로젝트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비장애학생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비장애학생에 비해 장애인권감수성의 전체 및 하위 영역 모두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며 이러한 변화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둘째, 인터넷 기반 장애인권 프로젝트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비장애학생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비장애학생에 비해 장애수용태도의 전체 및 하위 영역 모두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며 이러한 변화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인터넷 기반 장애인권 프로젝트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비장애학생의 장애인권감수성과 장애수용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장애이해교육과 목적, 내용, 방법적인 측면에서 차별화된 인터넷 기반 프로젝트학습 프로그램을 통해 비장애학생의 장애인권감수성과 장애수용태도를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최근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장애학생의 인권침해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Internet-based disability human rights project learning program, which was designed for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on their sensitivity to disability human rights and their attitudes toward disability. For this purpose, 42 students in two 6th-grade inclusive classes of S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 Several dependent variables were measured for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before intervention using the sensitivity scale to disability human rights and acceptance scale of students with disability. For the intervention, a Internet-based disability human rights project learning program was appli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 special education teacher as a researcher applied the program for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during 14-session while a general education teacher applied regular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for th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post-test was conducted using same measures that were used for the pre-test. The independent two samples t-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impact of the Internet-based disability human rights project learning program on sensitivity to disability human rights and attitudes toward disability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he results of analysis in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isability human rights project learning program improved the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of sensitivity to disability human rights. This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who joined the program were more conscious of disability human rights than the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traditional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Disability human rights project learning program was proved effective for improving sensitivity to disability human rights. And the project helps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understand the contextual problems in everyday lives caring disability human rights of them and others. In addition, this project encourages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o anticipate the consequences before acting in problematic situations, so that they came to have disability human rights-friendly attitudes. Also, disability human rights project learning program makes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responsible for their disability human rights friendly action, to place themselves in another’s place, and to have wills to practice the action. Second,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net-based disability human rights project learning program, showed positive changes in attitudes toward disability, and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bove findings suggest that the Internet-based disability human rights project learning program can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sensitivity to disability human rights and their attitudes toward disability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6 C. 용어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8 A. 초등학생을 위한 장애인권교육 8 1. 인권교육의 이해 8 2. 장애인권교육의 이해 16 3. 장애인권교육과 인권감수성 26 B. 프로젝트학습의 이해 30 1. 프로젝트학습의 개념 30 2. 프로젝트학습과 인권교육 35 3. 프로젝트학습과 인권감수성 및 장애수용태도 36 Ⅲ. 연구방법 39 A. 연구 참여자 39 B. 실험기간 및 장소 40 C. 종속변인 41 D. 독립변인: 인터넷 기반 장애인권 프로젝트학습 프로그램 46 E. 실험 설계 및 절차 62 F. 사회적 타당도 66 G. 중재 충실도 68 H. 자료 수집 및 처리 69 Ⅳ. 연구결과 70 A. 인터넷 기반 장애인권 프로젝트학습 프로그램이 비장애학생의 장애인권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70 B. 인터넷 기반 장애인권 프로젝트학습 프로그램이 비장애학생의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72 Ⅴ. 논의 및 제언 74 A. 논의 75 B. 연구의 제한점 82 C.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83 참고문헌 85 부록 96 ABSTRACT 13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8878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인터넷 기반 장애인권 프로젝트학습 프로그램이 비장애학생의 장애인권감수성 및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Internet-based Disability Human Rights Project Learning Program on Sensitivity to Disability Human Rights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Their Attitudes toward Disability-
dc.format.pageix, 13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