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2 Download: 0

어린이집의 오후일과 운영에서 유아의 참여 지원 방안에 관한 실행연구

Title
어린이집의 오후일과 운영에서 유아의 참여 지원 방안에 관한 실행연구
Other Titles
The Action Research on a Plan for Supporting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in Operating Afternoon Routines at a Childcare Center
Authors
허솔미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순환
Abstract
본 연구는 어린이집의 오후 일과 운영에서 유아들의 참여를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지원 방안이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린이집 오후 일과 운영에서 유아들의 참여를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은 어떤 것이 있는가? 2. 어린이집 오후 일과 운영에서 유아들의 참여를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의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S직장어린이집 만 5세 학급 햇님반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햇님반 유아 7명, 담임교사 1명, 보조교사 1명이었다. 연구기간은 2016년 2월부터 5월 28일까지였으며, 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어린이집에서의 오후 일과 운영에 유아의 참여 현황에 대한 문제점에서 출발하였다. 따라서 유아교육기관의 오후 일과에서 유아의 참여 지원에 대한 기초 방안을 모색하고 실행하였다. 연구는 1차 실행, 1차 실행 평가 및 2차 실행 방안 모색, 2차 실행, 2차 실행 평가 및 최종평가 순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기간 동안 비디오 녹화, 녹음기 녹음, 사진, 현장약기를 현장 노트로 작성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를 실행하는 동안 유아의 반응, 연구자의 느낌이나 해석과 새롭게 알게 된 점을 관찰자 코멘트로 적으며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후 이를 범주화 하고 코딩한 후 연구문제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의 오후 일과에서 유아의 참여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실행하였다. 1차 방안으로 1:1 면담으로 오후 일과에 대한 유아의 인식 및 요구를 경청하였고, 토의를 통해 낮잠 시간의 운영을 유아와 협의하여 운영하였으며, 오전 일과에서 선정된 2가지 놀이를 오후 시간에 연계하여 실시하였다. 1차 방안을 평가한 결과, 유아 한 사람에게 집중된 의사결정권으로 인해 모든 유아가 참여할 수 있는 의사결정방법의 필요성과 유아와 토의를 통한 일과 운영에서 하원시간에서의 유아 참여를 지원할 필요성이 있어 방안을 모색하였다. 2차 실행에서는 1차 실행 평가를 반영하여 모든 유아가 참여할 수 있는 의사결정방법을 선정하고 실행한 후 평가 해 보면서 일과 운영에서 모든 유아가 참여할 수 있었고, 토의를 통해 하원시간을 운영하여 유아의 참여를 지원하였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의 오후 일과에서 유아의 참여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의 효과를 살펴보면, 일과에 대한 유아의 동기가 강화되고, 유아가 긍정적으로 일과를 인식하게 되며, 유아-유아, 유아-교사간의 공동체 의식이 함양 되고, 마지막으로 유아 부모간의 의사소통 기회가 마련되었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오후 일과 운영에서 유아의 참여 지원의 필요성을 제기 하는 한편, 1:1 면담을 통한 유아의 인식 및 요구 경청, 토의를 통한 일과 운영, 오전일과에 선정된 2가지 놀이를 연계하여 놀이하기, 다양한 의사소통 기회 마련을 통해 오후 일과 중의 유아의 참여를 지원하였다. 유아의 의견을 수용하고, 의사를 표현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를 마련하고, 함께 협의하며, 실행하고 평가하는 과정을 통해 오후 일과 운영에서 유아의 참여를 지원하는 과정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현장의 교사들이 오후 일과를 계획-실행-평가함에 있어 유아의 참여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고려하여 운영하는데 있어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nd execute a plan for supporting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in operating afternoon routines at a childcare center and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plan.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1. What is the plan for supporting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in operating afternoon routines at a childcare center? 2. How effective is the plan for supporting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in operating afternoon routines at a childcare center? This study was conducted in 7 five-year-olds, 1 class teacher, and 1 assistant teacher of Haennim Class at an S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 in Seoul from February to March 28, 2016. It started with the problems with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status in operating afternoon routines at a childcare center, as perceived by teachers. So a basic plan for supporting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in operating afternoon routines at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was developed and executed. The first execution was followed by assessment of the first execution and development of the second execution plan, the second execution, and assessment of the second execution and the final assessment. During the course of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videotaping, tape-recording, photographing, and taking memos in the field. The data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observer's comments about young children's responses, the researcher's feelings or interpretation, and a new understanding during the course of the research. Then, they were categorized, coded, and analyzed in terms of the questions.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 plan for supporting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in operating afternoon routines at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was developed and executed. The first plan involved listening to young children's awareness and needs of afternoon routines through one-to-one interview, decision on the nap time through discussion with young children, and operation of two plays for morning routines in association with the afternoon course. The assessment of the first plan suggested the need of decision-making in which every child could participate and of routine operation based on discussion with children to support their right for participation until time to leave the center because the right to make a decision was restricted to a single child. In the second execution, decision-making in which every child could participate was chosen, executed, and assessed by reflecting the assessment of the first execution so that every child could participate in routine operation and time to leave the center was decided on through discussion to supporting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Second, as for the effects of the plan for supporting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in operating afternoon routines at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it reinforced young children's motive for routines, gave them positive awareness of routines, promoted a sense of community both among children and between children and a teacher, and gave chances for child-parent communication.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to support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right in operating afternoon routines at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and supported their participation during afternoon routines on the basis of listening to their awareness and needs through one-to-one interview, routine operation through discussion, play operation in association with two plays for morning routines, and creation of many chances for communic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presented a process of supporting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in operating afternoon routines by accepting their opinions, by creating many chances to express their ideas, and through the course of discussion, execution, and assessment.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help incumbent teachers become aware of the need of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in planning, executing, and assessing afternoon routines and operate the routines, taking their participation into accou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