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9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용희-
dc.contributor.author지빛나-
dc.creator지빛나-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5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61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509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61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유치원 만 4세 학급 신입원아 적응 지원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지원 방안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만 4세 학급 신입원아 적응 지원 방안은 무엇인가? 2. 유치원 만 4세 학급 신입원아 적응 지원 방안이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인천시에 소재한 사립유치원인 행복유치원 만 4세 학급 신입원아 9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만 4세 학급 신입원아를 위한 적응 지원방안을 수립하고자 행복유치원의 만 4세 학급 담임 경력이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면담과 질문지 작성을 실시했으며, 미소반 신입원아들의 행동을 관찰 기록하고 분석했다. 신입원아들의 부적응 행동 양상을 파악한 이후 연구자는 문헌연구를 토대로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이에 대해 담임교사와 협의를 거쳤다. 연구기간은 2016년 1월 18일부터 2016년 5월 29일까지이며, 유치원 만 4세 학급 신입원아 적응을 지원하기 위해 유아-교사 간 친밀한 관계 형성하기, 유아-유아 간 관심 형성하기, 유아-기관 간 관심 형성하기, 교사-부모 간 관계 형성하기를 위한 활동을 실행했다. 연구는 유치원 만 4세 학급 신입원아 적응에 대한 문제 인식, 문제 해결 방안 모색, 1차 실행, 1차 실행 평가, 2차 방안 모색, 2차 실행, 1·2차 실행 평가 순으로 진행되었다. 교육활동은 연구자와 미소반 담임교사가 실시했으며, 이를 녹음 및 전사하여 현장노트로 작성하였다. 연구 기간 동안 유아 관찰 및 음성 녹음, 사진, 현장노트, 연구일지, 주간·일일교육계획안, 교사 면담 자료, 전화상담 기록부 등을 수집하여 이를 범주화하고 코딩한 후 연구문제별로 분석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만 4세 학급 신입원아 적응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실행했다. 1차 실행에서는 유아-교사 간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기, 유아-유아 간 관심 형성하기, 유아-기관 간 관심 형성하기, 교사-부모 간 관계 형성하기를 위한 활동을 실시했다. 구체적인 방안으로 유아-교사 간 친밀한 관계 형성을 위해 교사는 유아의 놀이를 관찰하고 놀이 시작과 참여를 도왔고,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소그룹으로 동화를 읽어주었으며, 우리 반 인사방법을 만들어 실시했다. 유아-유아 간 관심 형성을 위해 나를 소개해요, 도와줄 수 있어요, 친구의 날, 친구 모습 그리기, 칭찬 릴레이 활동을 실시했다. 유아-기관 간 관심 형성하기를 위해 유치원 둘러보기, 우리 반에 있어요, 우리 반 하루 일과표 활동을 실시했다. 교사-부모 간 관계 형성을 위해 주기적인 전화 상담을 통해 소통하기, 유치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유아의 활동사진 제공하기를 실시했다. 1차 실행 결과 유아들이 점차 정서적 안정을 찾아가며 기관 생활에 적응해 가고 있었지만, 긍정적 또래 관계 형성을 위한 지원의 필요성과 학급 규칙과 약속 지키기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기 위한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2차 실행에서는 1차 평가를 반영하여 긍정적 또래관계 지원을 위한동화 들려주기 및 사후활동, 우리 반 약속 정하기를 실시했다. 둘째, 유치원 만 4세 학급 신입원아 적응 지원 방안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유아와 교사 간 친밀한 관계가 형성되었으며, 또래에 대한 관심이 증진되고 긍정적 관계가 형성되었다. 또한 유치원 일과에 적응하고 약속 지키기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었으며, 부모와의 신뢰감 및 긍정적 관계를 형성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유치원 만 4세 학급 신입원아 적응을 위한 방안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이들이 유치원에 보다 원만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유아를 둘러싼 다양한 측면에서 지원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유치원 만 4세 학급을 맡게 되는 현장의 교사들에게 지침을 마련해주어 신입원아들의 적응을 위한 지원 방안 모색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This study intends to consider and implement an adaptation-supporting measure for newcomers at a 4-year-old class of a kindergarten, examining its effect as a whole. Research topics are as follows. 1. What an adaptation-supporting measure is there for newcomers at a 4-year-old class of a kindergarten? 2. What effect adaptation-supporting measure has on newcomers at a 4-year-old class of a kindergarten? This study was done for 9 new preschoolers at a 4-year-old class, a private kindergarten, Haengbok, located at Incheon. To establish an adaptation-supporting measure for 4-year-old new preschoolers, interview and questionnaire were conducted with teachers experienced in a 4-year-old class at Haengbok kindergarten, and behaviors of new preschoolers belonging to Miso class were observed, recorded and analyzed. Maladjustment behaviors of new preschoolers were identified and a solution was derived based on literature study. Also, consultation was done with the class teacher. Research was conducted from 18th, January to 29th, May, 2016. In order to support adaptation of new preschoolers at a 4-year-old class, activities were implemented including forming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teacher, having concern between early children, having concern between early child-institution, and forming relationship between teacher-parent. Research was done in order of recognition on problems of new preschoolers' adaptation at a 4-year-old class of the kindergarten, solution seeking, 1st implementation, 1st implementation evaluation, 2nd solution seeking, 2nd implementation, and 1st·2nd implementation evaluation. Educational activities conducted by the researcher and the Miso class teacher were recorded, transcribed and written down on a field note. During research period, early children observations, voice recordings, photos and field notes, research diary, weekly·daily teaching plans, teacher interview data and telephone counselling record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research topic after categorization and coding.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adaptation-supporting measure was prepared and implemented for newcomers at a 4-year-old class of the kindergarten. During the first implementation period, activities were conducted with a view to forming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teacher, having concern between early children, having concern between early child-institution, and forming relationship between teacher-parent. As specific methods for forming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teacher, teacher observed early children's play, prompted initiation of and participation in play, read fairy tales to a small group during free-choice activity, and devised and executed greetings of the class own. For having concern between early children, activities were conducted including Let me introduce myself, I can help you, A day for friends, Draw your friend, Praise relay. For having concern between early child-institution, activities were done including Looking around the kindergarten, Something in our class and Daily schedule of our class. To achiev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parent, activities were conducted including communication with periodic telephone counselling and offering early children's activity photos through kindergarten application. As a result of the 1st implementation, early children came to have emotional stability and adapt themselves to an institutional life gradually but supporting was needed for forming a positive peer relationship and cultivating recognition on observance of class rules while keeping a promise. Second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adaptation-supporting measure for new preschoolers at a 4-year-old class,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d and teacher was established, increasing interest in peers under positive relations with each other. Besides, they came to adapt themselves to a kindergarten schedule and have recognition on keeping their promise, forming reliable and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suggested a need for preparing a measure for new preschoolers' adaptation at a 4-year-old class of the kindergarten and gave them a variety of supports for their smooth adaptation to the kindergarten. It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teachers in chare of a 4-year-old class of a kindergarten when devising an adaptation-supporting measure for new preschoolers by providing them with an adequate guidelin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연구자 배경 4 Ⅱ. 이론적 배경 7 A. 유아의 유치원 적응 7 B. 유치원 유아의 부적응 행동 양상 12 C. 유아의 유치원 적응을 위한 교수방법 15 Ⅲ. 연구방법 19 A. 실행연구 19 B. 연구대상 20 C. 연구절차 23 D. 자료 수집 및 분석 32 Ⅳ. 연구결과 34 A. 유치원 만 4세 학급 신입원아 적응 지원 방안 34 B. 유치원 만 4세 학급 신입원아 적응 지원 방안이 미치는 영향 69 Ⅴ. 논의 및 결론 80 A. 논의 80 B. 결론 및 제언 86 참고문헌 89 부록 94 ABSTRACT 10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2111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유치원 만 4세 학급 신입원아 적응 지원을 위한 실행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ction Research on Adaptation Supporting for New Preschoolers at 4-year-old Kindergarten Class-
dc.format.pageiv, 102 p.-
dc.contributor.examiner정혜욱-
dc.contributor.examiner김순환-
dc.contributor.examiner홍용희-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