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4 Download: 0

만 3세 학급 유아들의 학년 초 유치원 적응 지원 방안에 관한 실행연구

Title
만 3세 학급 유아들의 학년 초 유치원 적응 지원 방안에 관한 실행연구
Other Titles
Action research on building a supportive plan for three-year-olds' adaptaion to kindergarten at the beginning of a new school year
Authors
조혜진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순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만 3세 학급 유아들의 학년 초 유치원 적응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지원 방안이 유아들에게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3세 학급 유아들의 학년 초 유치원 적응 지원 방안은 무엇인가? 2. 만 3세 학급 유아들의 학년 초 유치원 적응 지원 방안이 유아에게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A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 3세 학급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만 3세 별빛반 유아 16명과 담임교사 1명이다. 만 3세 학급 유아들의 학년 초 유치원 적응 지원 방안을 수립하고자 교사저널과 학급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기존의 유치원 적응 지원 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실행방안 모색을 위한 문헌연구를 실시했다. 연구기간은 2015년 12월 21일부터 2016년 5월 13일까지 이다. 연구절차는 만 3세 학급 유아들의 학년 초 유치원 적응 지원 방안의 문제점 인식, 이에 따른 해결 방안 모색, 1차 실행 및 평가, 2차 방안 모색, 2차 실행 및 평가, 1,2차 실행방안에 대한 평가 순으로 실시되었다. 지원 방안은 연구자가 직접 실시했으며 이를 사진 및 현장약기로 기록하고 현장노트를 작성하여 자료를 수집했다. 이외에도 교사 저널, 부모 상담자료, 상담 설문지 등을 수집하여 이를 범주화하고 부호화하여 연구문제별로 분석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3세 학급 유아들의 학년 초 유치원 적응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실행했다. 1차 실행 방안은 유아-교사 간 긍정적 신체접촉과 상호작용을 통해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부모-교사 간 정보 공유를 통해 협력적 관계를 형성하여 유치원 적응을 지원했다. 또한 입학 초기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유아의 특성을 파악한 후 부모와 협력하여 유아가 안정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1차 실행 방안을 평가한 결과 유아-교사 간 친밀한 관계 형성을 위해 계속적으로 노력하되 장소와 구체적 방법을 달리하여 활동을 계획할 필요성이 있었다. 부모가 유아의 유치원 생활에 대해 구체적인 이해를 할 수 있는 기회와 유치원 생활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함께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유아들의 또래관계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었다. 2차 실행에서는 1차 실행 평가를 반영하여 산책 및 식사 초대 방법에 변화를 주어 유아-교사 간 친밀한 관계 형성 방안을 실시하고 부모 공개수업과 상담, 그림책 대여를 통해 부모와 협력하여 적응을 지원했다. 또한 그림책을 읽고 이야기를 나누는 활동을 통해 별빛반 유아들의 친사회적 행동과 또래 유능감 증진을 지원했다. 둘째, 만 3세 학급 유아들의 학년 초 유치원 적응 지원 방안이 유아에게 미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유아들은 유치원 생활에서 친사회적 행동이 증가하고, 유치원 환경에서 긍정적 정서가 형성되었으며, 또래 유능감이 증진되었다. 본 연구는 만 3세 학급 유아들의 학년 초 유치원 적응 지원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유치원 적응을 지원하기 위해 긍정적 신체접촉과 상호작용 기회 증진을 통해 유아-교사 간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였다. 교사와 부모가 가정 및 유치원 생활의 정보를 공유하고 의사소통하여 부모-교사 간 협력적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유치원 적응을 지원했다. 또한 그림책을 활용하여 유아들의 친사회적 행동 및 또래 유능감을 증진하는 방안을 통해 적응을 지원했다. 이는 만 3세 유아들을 대상으로 학년 초라는 특성을 살려 학급 전체 및 개별 유아의 유치원 적응을 지원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현장의 교사들이 만 3세 학급 유아들의 학년 초 유치원 적응을 지원하는 실제적 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provide a supportive plan for three-year-olds' adaptation to kindergarten at the beginning of a new school year. This research also tries to measure the effect of the plan to assess whet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has been effectively achieved on young children. Research questions are set as follows: 1. What plan is needed for adaptation to kindergarten for three-year-olds in the beginning of school year? 2. What is the effect of a supportive plan for adaptation on the target group?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in 16 three-year-olds and a classroom teacher at the public kindergarten in Gyeonggi Province. Usual lesson plans were analysed through teacher's journals to identify the problems that hinders adaptation to kindergarten. Curriculum review and reference review was performed to devise a supportive plan for three-year-olds' adaptation to kindergarten. The study was started from December 21, 2015 to May 13, 2016. As for the procedure, awareness of the problems with the plans for assisting three-year-olds to adapt themselves to a kindergarten at the beginning of a new school year was followed by development of a plan for solving the problems, the first practice of the plan and assessment, development of the second plan, the second practice and assessment, and assessment of the first and second practice plans. The researcher personally carried out the developed plan for adaptation, photographed and outlined the execution at the site, made field notes, and collected data. Including these data, teacher's journals, data concerning parent counseling, and questionnaires for counseling were collected, categorized, coded, and analyzed according to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 plan for assisting three-year-olds to adapt themselves to a kindergarten at the beginning of a new school year was developed and practiced. The first plan was to assist adaptation of the children to a kindergarten by establishing an intimate child-teacher relationship based on positive body contact and interaction as well as by establishing a cooperative parent-teacher relationship based on information sharing.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having difficulty in adapting themselves to a kindergarten at the start of the first academic year were identified to aid them to adapt themselves stably in cooperation with their parents. The results of the first plan assessment suggested the need to make continuous efforts to establish an intimate child-teacher relationship and to plan activities with a diversity of sites and specific methods. It was necessary to develop methods of sharing information about kindergarten life as well as creating opportunities for parents to get a specific understanding of their child's kindergarten life and giving them support and to develop plans for supporting peer relationships among young children. The second practice was to implement the plan for establishing an intimate child-teacher relationship by reflecting the results of first plan assessment and varying the methods of invitation to dinner and walk and to assist adaptation in cooperation with parents through classes opened to parents, parent counseling, and picture book lending. Another effort was made to promote prosocial behavior and peer competence of children in Byeolbit Class through the activity of reading picture books and talking with one another. Second, the plan for assisting three-year-olds to adapt themselves to a kindergarten at the beginning of a new school year has the following effects on the children: they were more likely to make prosocial behavior in kindergarten life, formed positive emotions in the kindergarten environment, and showed better peer competence.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to help three-year-olds' adaptation to kindergarten at the beginning of a new school year and contributes to establish an intimate child-teacher relationships by promoting chances for positive body contact and interaction to assist their adaptation to kindergarten life. The teacher and parents assisted children's adaptation to kindergarten by sharing information about children's life at home and kindergarten,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nd establishing a cooperative parent-teacher relationship.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to promote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nd peer competence were also effective for three-year-olds' adaptation to kindergarte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eeks to assist adaptation of an individual and the entire class simultaneously with the focus on the moment of starting a new year of the school.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help incumbent teachers develop a practical plan for assisting three-year-olds to adapt themselves to a kindergarten at the beginning of a new school yea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