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희진-
dc.contributor.author조아라-
dc.creator조아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5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61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50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61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유치원, 어린이집)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담임배정의 실태를 알아보고, 이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유아교육기관의 원장과 교사의 담임배정 시 고려해야 하는 기준을 비교해보며 바람직한 담임배정에 대한 기준과 절차를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담임배정 원칙 마련의 여부, 담임배정 시 교사의 의견 수렴 여부·시기·방법, 교사의 의견 반영 여부, 희망하지 않는 학급에 배정됐을 경우 근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여부·기간, 이의제기 여부 및 이에 대한 대처방법, 담임배정 최종결정자, 담임배정 발표 시기와 이유, 담임배정 시 고려하는 기준을 알아보았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육기관 담임배정의 실태는 어떠한가? 2. 원장이 담임배정 시 고려하는 기준과 교사가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기준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서울시, 경기도, 인천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원장 119명과 교사 214명이다. 연구도구는 유아교육기관의 담임배정 실태와 담임배정 시 고려하는 기준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제작하였다. 설문의 내용은 담임배정의 실태를 묻는 문항(원장 29문항, 교사 26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담임배정 시 고려하는 기준에 대해 묻는 21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결과는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의 담임배정 실태를 살펴본 결과 담임배정의 원칙을 마련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고, 담임배정을 위해 교사의견을 수렴하고 있었으며 담당하고 싶은 연령을 묻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교사의견은 12월에 묻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개인면담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대체로 반영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희망하지 않은 연령(학급)을 경험한 교사에 비해 경험하지 않은 교사가 많았으며, 희망하지 않은 연령(학급)을 경험한 교사는 근무태도에 영향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그 기간으로 한 달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의제기 여부에 대해서는 이의제기를 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고 교사들의 이의 제기에 기관에서는 개별적으로 상담을 통해 설득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담임배정 시 원장과 원감(주임)이 최종결정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발표시기로는 유치원은 대부분 겨울방학 개학 후∼봄 방학 전 또는 봄 방학∼새 학기 전에 이루어졌고 어린이집은 대부분 2월 또는 1월에 이루어진 경우가 많았다. 그 이유로는 담임배정 발표 시기와 무관하게 기존 학급의 마무리와 인수인계를 위하여, 새 학기 준비를 위하여, 새로 입사하는 교사들과 퇴사하는 교사들이 모두 결정되는 시기이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장이 담임배정 시 고려하는 기준과 교사가 담임배정 시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기준으로 가장 높게 나타난 변인은 최근 담당연령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반 운영능력이었다. 반면, 가장 낮게 나타난 변인은 행사 준비능력이었다. 이때, 원장이 고려하는 기준과 교사가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기준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결혼 및 자녀여부, 나이, 성격, 건강상태, 정서적 안정감, 인간관계 및 협동면, 근무태도, 최근 담당연령, 신입유아 지도능력, 교재연구 능력, 학습지도 능력, 생활지도 능력, 반 운영 능력, 의사소통 능력, 학부모관리 능력, 동료관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전공 및 자격증, 현원근무경력, 업무분장, 행사준비능력, 특기 및 소질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담임배정에 대해 마련된 원칙이 없을 경우 원장의 권한으로 담임배정이 이루어지기 쉬우므로 원장과 교사 간에 서로 확인할 수 있는 명시된 담임배정 원칙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희망하지 않은 연령(학급)에 배정됐을 경우, 교사들이 대부분 이의제기를 하지 않으며 부정적인 영향이 한 달 이상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의제기를 통해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기관의 분위기와 교사들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겠다. 마지막으로 원장이 담임배정 시 가장 고려하는 기준과 교사가 담임배정 시 가장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기준, 원장이 담임배정 시 덜 고려하는 기준과 덜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기준에 대한 인식이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이를 토대로 담임배정 원칙을 마련할 경우, 원장, 교사 의견이 모두 반영된 담임배정 원칙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This research will study homeroom teacher assignment in the children’s educational institute. In an analysis based on the criteria t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looking to compare assigned homeroom teacher and director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significant in providing a basis to raise the standards and procedures for the preferred classroom assignment. Whether the child's placement principles established for this purpose, classroom assignments when if a teacher comments on whether the timing method have been placed in classes that they do not wish, whether comments reflect the teacher's appeal impact the decision, whether the period of work attitude and whether measures of this classroom assignments final to evaluate the criteria considered during homeroom assignments makers announce when and why homeroom assignments. It is set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research problem is as follows. 1. What is the statu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lassroom homeroom teacher assignments? 2. Are there any differences based on the idea that the director should consider certain criteria when assigning a child to a homeroom teach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9 principals and 214 teachers who work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research tool used was a questionnaire to determine the criteria in which homeroom teacher assignments statu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considered. It consists of 21 questions asking about the criteria considered during homeroom assignments It calculated the results of the collected data into frequency and percentage depending on the research question.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ch children’s education institute has their own criteria. The principals who asked teachers what age they want and were responsible for the opinions in homeroom assignments are the most common. Teacher comments often took place through a personal interview, which occurred most frequently in December. In addition, many teachers do not have the experience to take on their undesired age group. Meanwhile, the appeal of the institutions followed the teacher does not dispute whether appeal for the case to convince through individual counseling are most common. Homeroom assignments are determined by the principal and vice-principal and are generally not announced until after winter vacation, in January or February. For that reason it is time that all appeared to be due to the finish and take over an existing class, regardless of the time of classroom teachers who leave the company announce assigned to teachers joining a new school year ready for their decision. Second, director considered factors are responsible for recent years appears to the highest standards and criteria to believe that the classroom teacher is assigned to consider when during homeroom assignment was followed by a half operational capacity. While the lowest was presented variables are ready to prepare special day. The standards and criteria for the teacher to be considered by what the director considers appeared to be similar. Also, marriage and children, whether age, personality, health, emotional stability, face relationship and cooperation, work attitude, recently responsible for age, new infant leadership skills, teaching research skills, tutoring skills, life guidance capability, half operational capacity, communication skills, parental management abilities, was seen in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ajor and fellowship diplomas, work experience, work makeup, exercise preparation capabilities, skills and aptitude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these findings it can be obtained the following implications. If there is no principle designed for classroom assignments so easy a classroom assignments take place under the authority of the principal is considered necessary to check each classroom assignments principles set between the director and teachers. Furthermore, if you have been assigned to do not want the age teachers mostly no objections raised awareness conversion of the agency to address actively the problem through an appeal because in many cases the negative effect that appears in more than a month consistently atmosphere and teachers it will need. Finally, the director showed similar results to the standards and criteria for the recognition that most teachers considered during homeroom assignments think the principal thinks that the criteria considered during the homeroom assignments and consider lesser standards that are less considered in the homeroom assignments. Therefore, it is thought you will be prepared based on the principle of assignment homeroom teacher principal comments reflected both cases to provide a classroom assign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4 A. 원장의 역할 4 B. 유아교사의 역할 6 C. 담임배정 9 Ⅲ. 연구방법 12 A. 연구대상 12 B. 연구도구 16 C. 연구절차 18 D. 자료분석 19 Ⅳ. 연구결과 20 A. 담임배정의 실태 20 B. 담임배정 시 고려하는 기준 30 Ⅴ. 논의 및 결론 36 A. 논의 36 1. 담임배정의 실태 35 2. 담임배정 시 고려하는 기준 39 B. 결론 및 제언 40 참고문헌 43 부록1. 유치원 원장용 설문지 45 부록2. 유치원 교사용 설문지 52 부록3. 어린이집 원장용 설문지 58 부록4. 어린이집 교사용 설문지 65 ABSTRACT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1138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담임배정에 대한 원장과 교사의 인식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mparision between a principal and teacher about assignment homeroom teacher-
dc.creator.othernameJo, A-Ra-
dc.format.pagev, 73 p.-
dc.contributor.examiner박은혜-
dc.contributor.examiner정혜욱-
dc.contributor.examiner김희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