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용희-
dc.contributor.author임지희-
dc.creator임지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5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66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509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663-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carry out a measure for operating an activity effectively to improve early children's dietary habits, examining its effect on early children. Hence, it also intends to offer basic data helpful for its application and implementation when giving them guidance for eating at en educational field. 1. What measure is effective for improving early children's dietary habits? 2. What effect such an effective operation for improving early children's dietary habits has on early children themselve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15 3·4-year-old early children at a mixed-age class of the Haneul day care center at the workplace located at Seoul. Along with the critical awareness on early children's dietary habits, literature study was carried out and observation was done for their dietary habits to establish an activity operation plan for improving their dietary habits. A solution was derived from observational findings. Research was conducted from 4rh, January to 30th, May, 2016 in order of recognition on problems of instructing early children in dietary habits, groping for a solution, 1s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2nd solution seeking, 2nd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nd 1st·2nd implementation evaluation. Activities performed by the teacher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and a field note was written down. In addition, this research collected and analyzed a daily teaching plan, observation data for early children's dietary habits during feeding time, interview with a peer teacher, parent questionnaires and activity photos.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in order to improve early children's dietary habits, this research explored food ingredients on a lunch menu, conducted a cooking activity for a menu, identified and reflected their food preference, and adopted a measure of reading a picture book related to food and health to promote their interest. Activities were selected considering early children's problematic eating behaviors and attitudes and a measure was implemented for early children to be interested in lunch time and enjoy having a meal. As a result, activities adequate for class early children could be implemented and their expectation of and interest in lunch could be enhanced. To support early children for dietary habits at a field, activities related to a lunch menu should be selected in order for them to be interested in having a meal. For achieving a linkage with a family, activity photos were posted in front of the class and homepage with texts on its contents a week, aiming at having experience with food even at home. As a result, parents cooked a dish with their children and made them explore food ingredients, having a positive effect on improvement of their dietary habits. It is required to plan an effective measure for dietary habits continually along with institutional and familial interest and parent education should be done for teaching proper dietary habits along with ties between institution and home. Second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an effective operation for improving dietary habits on class early children, they came to have a positive attitude on food and understand effect of food on their health. They had enough amount of meals in a correct posture and their table manners were improved. Besides, with improved positive attitude on food, they showed increased expectation of and interest in lunch Also they came to be interested in food and health, playing house with food words. They came to get along with their teacher and peers while participating in such an activity and experiencing happy meal time. Hence, at an early children educational field, it is also required to consider and execute a variety of measures actively to establish early children's proper dietary habits.;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식습관 개선을 위한 활동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유아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통해 교육 현장에서 유아 식사 지도 시 적용하여 실행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 유아의 식습관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은 무엇인가? 2. 유아의 식습관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운영은 유아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직장 어린이집인 하늘 어린이집 만 3세·4세 혼합연령학급 유아 15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유아들의 식습관에 대한 문제 인식을 시작으로 문헌 연구가 이루어졌고, 식습관 개선을 위한 활동 운영 방안을 수립하고자 유아의 식습관을 관찰했다. 관찰 결과를 토대로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했다. 연구 기간은 2016년 1월 4일부터 2016년 5월 30일까지이며, 유아 식습관 지도의 문제점 인식, 문제 해결 방안 모색, 1차 실행 및 평가, 2차 방안 모색, 2차 실행 및 평가, 1·2차 실행 방안 평가 순으로 진행되었다. 교사가 실시한 활동을 녹화하고 전사하여 현장 노트를 작성했다. 이 외에도 일일교육계획안, 급식시간 유아의 식습관 관찰 자료, 동료 교사 면담 자료, 학부모 설문지, 활동사진 등을 수집하여 이를 분석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식습관을 개선하기 위해 점심 식단에 나오는 음식의 식재료를 탐색하고 식단의 음식을 만드는 요리 활동을 실시하고, 유아의 음식 기호를 파악하여 식단에 반영하였으며 음식과 건강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이와 관련된 그림책 읽기 활동을 방안으로 채택했다. 학급 내 유아들의 식사 문제 행동과 태도를 고려하여 활동을 선정했으며 유아들이 점심 식사 시간에 흥미를 보이고 즐겁게 식사를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했다. 그 결과 학급 내 유아들에게 적합한 활동을 실행할 수 있었으며, 점심 식사에 대한 유아들의 기대와 관심을 높일 수 있었다. 현장에서도 식습관 지도에 어려운 유아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점심 식단과 관련된 활동을 선정하여 유아가 식사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실시해야 할 것이다. 가정과의 연계를 위해서 활동 내용과 모습을 매주 1회 사진과 글로 교실 앞 및 홈페이지에 게시하여 가정에서도 음식과 관련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했다. 그 결과 부모들은 가정에서 음식을 유아와 함께 만들고 식재료 탐색을 제공하며 유아의 식습관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유아의 식습관에 대한 기관과 가정의 관심과 함께 효과적인 식습관 지도 방안이 지속적으로 모색되어야 할 것이며, 아울러 이 같은 방안이 기관과 가정에서 연계되도록 바른 식습관 지도에 대한 부모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식습관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운영 방안이 학급 내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 본 결과, 유아들은 음식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향상되었고 음식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해하게 되었다. 유아들은 바른 자세로 스스로 충분한 식사량을 섭취하고 식사 예절이 향상되었다. 또한 점심 식사에 대한 기대가 증가하고 관심을 보이며 음식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향상되었다. 그리고 음식과 건강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소꿉놀이에서 식재료 단어를 사용해 놀이하였다. 이러한 활동에 참여하며 유아들은 즐거운 식사 시간을 경험하면서 교사와 및 또래와 친하게 지내게 되었다. 따라서 유아교육현장에서는 유아들의 바른 식습관을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여 적극적으로 실행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 문제 4 C. 연구자 배경 4 Ⅱ. 이론적 배경 7 A. 유아기의 영양과 식생활 7 B. 식생활 교육 12 Ⅲ. 연구 방법 18 A. 실행연구 18 B. 연구 대상 19 C. 연구 절차 22 D. 자료 수집 및 분석 30 Ⅳ. 연구결과 31 A. 유아의 식습관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운영 방안 31 B. 식습관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운영방안이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 49 Ⅴ. 논의 및 결론 60 A. 논의 60 B. 결론 및 제언 65 참고문헌 69 부록 73 ABSTRACT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6156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유아의 식습관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에 대한 실행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v, 8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