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92 Download: 0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연구 현황 분석 및 고찰

Title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연구 현황 분석 및 고찰
Other Titles
Analysis and Review of Art Therapy studies on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ASD)
Authors
이지현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하연
Abstract
전 세계적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tic Spectrum Disorder: ASD)의 출현율 증가와 함께 미술치료 영역에서 ASD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시점에서 ASD 아동을 대상으로 행해진 미술치료 연구들을 통합적으로 분석하고 고찰하여 하나의 일반적인 결론을 도출해야 할 때에 이르렀다고 볼 수 있다. 선행연구의 현황을 분석하고 고찰하는 연구는 해당 분야의 연구자들에게 총체적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연구자들로 하여금 연구내용에 대한 분별력 있는 수용과 전반적 경향에 대한 올바른 시각을 갖추게끔 하므로 꼭 필요한 작업이다. 또한 미비하고 정비가 필요한 부분을 파악해 향후 보다 체계적이고 균형 있는 연구의 전개를 위해서는 이러한 유형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ASD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된 미술치료 선행 연구 논문을 중심으로 ASD 아동 대상 미술치료의 현황을 분석하고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2000년부터 2015년까지 15년 동안 ASD 아동을 대상으로 연구한 미술치료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38편을 대상으로 1) 연도별 발행편수 2) 연구대상 관련 특성 3) 연구 설계 관련 특성 4) 미술치료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위와 같은 분석을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ASD 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연구는 미술치료가 가진 긍정적 특성을 살려 15년 동안 꾸준히 이루어져왔으며, 연구의 대상은 대부분 의학적 진단을 받은 아동으로 만 4세 미만을 제외한 만 4세-만 12세까지의 연령에게 ASD 아동이 개개인에 따라 증상의 경중(輕重)에서 개인차가 두드러짐을 고려하여 1명의 인원으로 진행이 되었으며, ASD 진단율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비율인 것과 같은 맥락으로 남아가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ASD 아동 대상 미술치료 연구의 연구 설계에 대해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연구에서 연구방법이 실험연구와 사례연구였고, 연구 설계의 유형은 양적 연구로 진행되어 연구 설계가 특정 방향으로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CARS와 E-CLAC, 사회성 측정 도구가 진단 및 측정에 많이 사용되었다. ASD 아동의 가장 특징적인 결함이 사회성인 것을 반영하여 대부분의 중재 연구에서 종속변인은 사회성이었으며, 중재 후에 유지·일반화 검사는 대부분 제대로 실시하지 않았고 다수의 연구가 연구 결과를 투사 그림검사와 회기별 관찰기록에 대한 질적 분석과 중재 전후의 변화에 대한 양적 분석을 함께하는 통합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셋째, ASD 아동 대상 미술치료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해 본 결과, 대다수의 연구가 개인치료의 형태였고, 변화에 대한 저항감을 갖는 ASD 아동에게 적응능력의 향상을 도우려는 시도로서 다양한 매체를 경험할 수 있는 복합 프로그램의 형태로 상대적으로 안전하고 개별적인 공간을 갖춘 사설기관 치료실에서 주당 1회, 총 10회기 이상 29회기 이하로 대부분 6개월 이하의 단기간 동안 한 회기 40-60분이 진행되었다. 미술치료에 있어 중요한 요소인 매체와 목표에 대해 명확히 기술한 연구는 소수였으며, 가장 많이 사용된 평면 매체와 그리기 매체에서는 보다 친근한 재료로써 치료에의 적응을 돕고 자발적 작업의지를 높여주는 도화지와 크레파스의 사용 빈도수가 많았고, 모델링 매체에서는 점토류, 그리고 비정형 매체에서는 밀가루가 많이 활용되었다. 회기 전반의 치료 목표는 미술치료가 ASD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선행연구들과 ASD 아동의 가장 특징적 결함이 사회성이라는 것을 반영하여 사회성 향상이 많았고, 단계별로는 초기단계는 관계형성, 중기에는 인지발달, 후기에는 사회성 향상을 목표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아울러 ASD 아동 대상 미술치료 연구 현황을 분석 및 고찰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있다고 볼 수 있겠다. 2013년 새롭게 개편된 DSM-5 기준에 따른 ASD의 4가지 장애 유형(자폐성 장애, 소아기 붕괴성 장애, 아스퍼거 장애, 기타 전반적 발달장애)을 통합하고 정리하여 분석·고찰한 데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또한 본 연구가 해당 분야의 연구자들에게 전반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미술치료학 분야의 연구 발전에 기여하고, ASD 아동을 대상으로 미술치료를 실시하는 임상현장의 치료사들을 위한 참고자료로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기초자료로 삼아 ASD를 대상으로 한 다양하고 전문적인 미술치료학 프로그램 개발연구, 사례연구 등이 수행되기를 기대한다.;There has been a worldwide increase in research of Art therapy on ASD children, along with an increase of the appearance of the ASD diagnosis. At this time, there is a need for generalized conclusion that analyzes and reviews all the studies done on ASD children. Such conclusion not only provides overall information to researchers, but also provides proper perspectives, understanding and the trend on the available data, hence making this an essential procedure. In addition, acknowledging the insufficient and deficient needs on current findings is necessary so that further researches can be pursu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and review the present domestic literatures on Art Therapy in ASD children. Based on the 38 published thesis papers and journals from 2000 to 2015,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1) numbers of studies per year 2) research subject 3) research design 4) structures of Art Therapy.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research on Arts therapy in ASD children has been continuously carried on, repeatedly going through increase and decrease. Out of the children with the diagnosis from age 4 to 12, the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between 1 to 4 children, and by far, more boys than girls.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Art therapy design in ASD children, research method and design are leaning towards specific ways. CARS, E-CLAC and societal estimating tools are often used in diagnosis and measurement. In most interventional research,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sociality and didn't execute inspection for preserve and generalize. A number of studies used an integrated analysis method. Third, upon analyzing Art therapy program related characteristics, most research took the forms of individual therapy. Most study used multiple program that doesn't hav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eliminary study. Research was progressed during 40 to 60 minutes once in a week, more than ten sessions below twenty nine sessions, for a period of short term at private therapy institute. The media is most used was flat surface media and drawing media. The goal of treatment in many study was to improve social skills. This research for the following reasons may have implication. First of all, It analyzed anew four kinds of disability of ASD(Autistic Disorder, Childhood disintegrative disorder, asperger disorder, Other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based on DSM-5 newly revised in 2013. Also, This research can benefit the development of the current research area of interest by providing researchers overall basic data. Having this finding as a foundation, various and professional Art therapy program research and case-studies for ASD are expec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