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936 Download: 0

동물복지교육을 위한 동물원 프로그램 및 사육전문가 면담 조사 연구

Title
동물복지교육을 위한 동물원 프로그램 및 사육전문가 면담 조사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on zoo education programs and zoo keeper interview survey for animal welfare education
Authors
염인영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환경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여성희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외의 동물원 교육 프로그램을 조사하여 내용영역과 교육방법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고, 동물원 전문가인 사육사의 동물복지에 대한 인식을 면담한 후 동물원 교육 프로그램의 향후 방향과 동물복지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국내 동물원 7곳, 국외 동물원 3곳의 118개 교육 프로그램이며 면담자는 8~32년 경력의 서울대공원 서울동물원 전문가 사육사 5명이다. 국내외의 동물원 교육 프로그램의 분석은 내용영역과 교육방법에 대한 분석틀을 만들어 국내외 동물원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면담은 동물원의 전문 사육사가 갖고 있는 동물복지의 기준, 종별 생태적 특성, 동물복지 교육 프로그램에서 강조되어야 할 점 등 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동물원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영역 분석은 ‘동물의 생태적 특징 (48.6%)’프로그램이 가장 많았고 ‘동물과 서식지 보전(22.2%)’, 진로교육과 문화 등의‘통합 교육(19.5%)’, ‘동물복지(9.7%)’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외 동물원도‘동물의 생태적 특징(46.3%)’,‘동물과 서식지 보전(23.2%)’,‘진로·문화 등 통합 교육(18.9%)’, ‘동물복지(11.6%)’순으로 나타나 국내외 동물원 교육 프로그램 내용영역 순위는 비슷했다. 그러나 ‘동물복지’에 대한 프로그램은 국외 동물원이 더 많은 비율로 운영되고 있었으며 국내 동물원 보다 내용의 폭이 넓었다. 따라서 앞으로 국내에서도 동물 복지에 대한 관심을 높이며, 동물원 교육 프로그램에 동물복지 관련 내용을 적극적으로 포함하여야 한다고 생각된다. 둘째, 국내 동물원 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방법 분석한 결과 매체 활용식(29%) 교육방법이 가장 많이 활용되고, 투어식(25.8%), 직접 체험식(12.9%)과 관람식(12.9%), 간접 체험식(9.7%), 게임식(9.7%) 순으로 나타났다. 국외 동물원의 경우 매체 활용식(50%) 교육방법이 국내 동물원보다 월등히 많이 활용하는 교육방법으로 나타났고, 간접 체험식(16.7%), 관람식(13.9%), 직접 체험식(11.1%), 게임식(8.3%) 순으로 나타나 국내 동물원과 다른 양상을 보였다. 앞으로의 동물원 교육프로그램은 스트레스, 건강 문제를 발생시켜 동물복지를 저해하는‘직접 체험식’교육방법은 중지하거나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교육방법으로 전환 및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셋째, 동물원 전문가인 사육사들은 동물복지는 동물 종과 개체의 생태적 특징에 따라 복지조건이 제공되어야 함을 요구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특징을 반영하여 개발되어야 할 동물복지 프로그램의 향후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즉 동물 복지 교육 프로그램은 먹이와 물, 적절한 서식 환경, 동물의 건강관리, 정상 행동 및 공포와 고통으로부터 보호 등의 내용이 폭넓게 포함되어야 하고 교육방법은 동물에게 스트레스를 주지 않는 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and compare domestic and foreign zoo education programs in terms of content area and education method, to interview zoo-keepers who are zoo experts about their awareness of animal welfare,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 of zoo education programs as well as educational plan for animal welfare. Research subjects were one hundred eighteen education programs from seven domestic zoos and three foreign zoos, and the interview was conducted among five professional zoo-keepers from the Seoul Grand Park and who had eight to thirty two years' experience. We analyzed the domestic and foreign zoo education programs by developing a framework for content area and education method and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mestic and foreign zoos. The interview covered professional zoo-keepers' criterion of animal welfar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ecies, and what they want to emphasize in education programs for animal welfare. The results and conclus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ontent area of the domestic zoos' education programs, the highest rate of programs was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nimals (48.6%)’, followed by ‘preservation of animals and their habitat(22.2%)’, ‘integrated education such as career education and culture(19.5%)’, ‘animal welfare(9.7%)’in order. The foreign zoos showed similar rangking of content area with the highest rate of programs,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nimals(46.3%)’, followed by‘preservation of animals and their habitat(23.2%)’,‘integrated education such as career education and culture(18.9%)’, and ‘animal welfare(11.6%)’. However, the foreign zoos were operating higher rate of ‘animal welfare’program with a broader scope of contents compared to the domestic zoos. Therefore, we suggest that we should raise concerns for animal welfare and actively include animals' welfare-related contents in zoo education programs domestically as well. Second, the analysis of education method of the domestic zoos' education programs showed that the highest rate of education method was media utilization(29%) which was followed by tour(25.8%), direct experience(12.9%), watching(12.9%), indirect experience(9.7%), and game(3%) in order. The foreign zoos showed different result. Media utilization(50%) was used more often compared to the domestic zoos, and indirect experience(16.7%), watching(13.9%), direct experience(11.1%), and game(8.3%) followed in sequence. We think that future direction of zoo education programs should stop or reduce ‘direct experience’ education method which produces stress and health problems and hinder animal welfare and that we need to develop a replaceable education method. Thir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zoo-keepers as zoo experts were demanding to provide conditions for welfare depending on the species and their ecological characteristics. The current study has drawn future direction of animal welfare programs that should be developed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education programs for animal welfare should widely include provision of food and water, a suitable environment, health care, an opportunity to express most normal behaviors, and protection from fear and distress. In addition, education method should change to the one that does not stress animals ou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환경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