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재돈-
dc.contributor.author천예은-
dc.creator천예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3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05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50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056-
dc.description.abstractWith advanced development of IT in modern society, the education field also sees the so-called edutech linked with ICT emerging. Edutech, the combined word of education and technology, mean the technology by which education links itself to ICT so as to conduct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learning. Moreover, young and adolescent children, as the generation of the second half of the 1990s, are a more mobile generation who are familiar with smart phones, table computers and other mobile devices, and they are no longer strange to the concept of diverse educational digital contents including digital textbooks. L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echnology, digital textbooks have been developed since 1997 with first research naming them as electronic textbooks. Under the Ministry of Education’s policy of “Road to Talent Power: Smart Education Strategy” announced in 2013, digital textbooks have been researched in earnest to efficiently apply them to the school field, and they were test operated mainly in schools which implemented smart education and digital textbooks. This program aims to use digital textbooks in linkage with printed book-type textbooks in school classes with the aim of constructing a textbook-focused learning environment so as to provide learners with educational media involving diverse materials using IT and to actualize the informatization of school classes. Digital textbooks offer the following anticipated effects. First, learner-oriented initiative and level-tailored learning is possible without being limited by time and space. Second, without requiring the printing and paper publication, the digital textbooks can be quickly available for learners in overseas regions and remote and isolated areas, providing them with opportunities of education. Also, digital textbooks can activate the construction of material and human infrastructures for use in digital textbooks, thereby constructing the school-field educational informatization infrastructure rapidly. Third, digital textbooks can provide learning materials through diverse media and trigger learners’ interest in learning through more realistic materials, as well as make practical learning possible. Thus, this paper sought to understand the overview of current digital textbooks research and utilization, to examine the implementation of digital textbooks for the future high-school Chinese-language education with the reflection of the Education Ministry’s Chinese language department curricula, and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a new form of teaching and education that can be used in Chinese-language classes. The chapters of this paper are outlined as follows. Chapter Ⅰ discusses research necessity and objective, as well as relevant previous researches. Chapter Ⅱ examines policies and researches to underst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smart education and digital textbooks, and takes a look at the overview of the utilization of digital textbooks based on the test operation of smart education and digital textbooks at schools. Chapter Ⅲ examines the precautions for compiling digital books before developing Chinese language department digital textbooks, as well as the criteria for the achievement of Chinese language department curricula, and selects the target textbook and its contents for planning and designing the standards for digital textbooks. Chapter Ⅳ presents the environment for implementing Chinese language department digital textbooks, as well as the standard image screen. Chapter Ⅴ suggests the development of Chinese language department digital textbook materials, based on the major issues obtained in the process of designing and implementing the digital textbooks for using in Chinese-language classes. Chapter Ⅵ summarizes the research results, and future research tasks. This paper presents the image screen of actualizing Chinese language department digital textbooks, thereby contributing to plans for new learning media which are suitable for educational media trends in the 21st century informatization era.;현대 사회 정보기술의 눈부신 발전에 따라 교육 분야에도 ICT(정보통신 기술)를 접목한 이른바 ‘에듀테크(edutech)’가 부상하고 있다. 에듀테크란 교육을 뜻하는 ‘에듀케이션’과 기술의 ‘테크놀로지’를 합한 말로, 교육에 ICT를 접목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도모하는 기술을 뜻한다. 더욱이 1990년대 후반 이후의 세대로서,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 모바일 기기에 친숙한 ‘모모 세대(more mobile, 더 많은 모바일)' 의 청소년기 학습자에게 디지털교과서를 비롯한 다양한 교육용 디지털 콘텐츠는 더 이상 낯설지 않은 개념이다. 디지털교과서는 1997년 ‘전자교과서’라는 명칭으로 첫 연구가 시작되어 교육과학기술부의 주도 아래 그동안 꾸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2013년 교육부에서 공표한 「인재대국으로 가는 길: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정책을 계기로 학교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본격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과서 운영학교를 중심으로 시범적으로 운영되었다. 이는 교실수업에서 서책형교과서와 연계하여 활용하는 방안을 통해 교과서 중심의 학습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목적으로 학습자에게 정보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자료를 반영한 교육매체를 제공하고, 교실수업의 정보화 실현을 위한 것이다. 디지털교과서를 통해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중심의 자기주도적 및 수준별 학습과 시간 및 공간의 물리적인 제한을 받지 않는 학습이 가능하다. 둘째, 인쇄 및 종이발행의 과정을 거치지 않아 교과도서의 획득이 필요한 해외지역 및 도서지역의 학습자에게 빠른 시일 내 용이하게 제공하여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며, 이 밖에도 디지털교과서를 적용하기 위한 물적·인적 인프라 구축을 활성화하여, 학교현장에서 교육 정보화를 위한 기반 구축을 가속화한다. 셋째, 다양한 매체를 통한 학습자료를 제공하고, 보다 실제적인 자료를 통해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실용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현 단계의 디지털교과서 연구 및 활용 현황을 이해하고, 교육부 공시 중국어과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향후 고등학교 중국어 교육을 위한 디지털교과서의 구현 모습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에 따라 중국어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교수·학습 자료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각 장의 주요 내용을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제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을 살펴보고, 관련 선행연구 내용을 정리하였다. 제 Ⅱ장에서는 스마트교육과 디지털교과서의 이론적 배경을 이해하기 위하여 관련 정책과 연구내용을 살펴보고,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의 시범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디지털교과서의 활용 현황을 알아보았다. 제 Ⅲ장에서는 중국어과 디지털교과서를 개발하기 위하여 사전에 디지털교과서 편찬상의 유의점과 중국어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살펴보고 이어서 본고에서 디지털교과서의 표본으로 구상하기 위한 설계 교과의 대상 및 내용을 선정하였다. 제 Ⅳ장에서는 중국어과 디지털교과서의 구현 환경을 제시하고, 표본화면을 구현하였다. 제 Ⅴ장에서는 본고에서 디지털교과서를 설계 및 구현하는 과정에서 얻은 디지털교과서 개발의 난점과 주요 과제를 바탕으로 향후 중국어수업에서 적용하기 위한 디지털교과서의 개발방안을 제시하였다. 제 Ⅵ장에서는 본 연구를 진행하여 얻은 연구결과를 정리하고, 향후 연구과제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통해 본고에서는 중국어과 디지털교과서의 구현화면을 표본으로 제시함으로써 21세기 정보화 시대의 교육 매체 변화 흐름에 적합한 새로운 수업 자료를 고안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선행연구 3 C. 연구의 범위 및 내용 8 Ⅱ. 디지털교과서의 정의, 개발 및 활용 현황 10 A. 디지털교과서와 스마트교육 추진전략 10 1. 디지털교과서의 개발 배경 10 2. 디지털교과서의 정의 및 특징 13 B. 디지털교과서의 연구 및 운영 현황 17 1. 디지털교과서의 개발 현황 17 2. 디지털교과서의 활용 현황 21 Ⅲ. 중국어과 디지털교과서 설계 및 제작 29 A. 설계 원칙과 구성 29 1. 설계 유의사항 및 구성 기준 29 2. 설계 과정 적용과 구성 원칙 33 3. 설계 교과의 대상 및 내용 선정 36 B. 디지털교과서 제작 툴 105 Ⅳ. 중국어과 디지털교과서 구현 114 A. 구현 환경 114 B. 샘플화면 구현 114 1. 도입 화면 115 2. 학습내용 화면 116 3. 제작정보 화면 128 Ⅴ. 중국어과 디지털교과서 개발 방안 129 A. 개발 방향 129 B. 콘텐츠와 기능 130 1. 수준별 학습 및 기능 132 2. 협력적 학습 및 기능 133 3. 탐구활동 학습 및 기능 135 4. 평가 및 피드백 기능 136 Ⅵ. 결론 및 제언 137 참고문헌 139 부록. 중국어과 디지털교과서 143 ABSTRACT 15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0174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중국어과 디지털교과서의 설계 및 구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hinese Language Department Digital Textbooks-
dc.creator.othernameChon, Yeeun-
dc.format.pagevii, 154 p.-
dc.contributor.examiner이재돈-
dc.contributor.examiner모해연-
dc.contributor.examiner이옥주-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중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