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07 Download: 0

현행 고등학교 『중국어Ⅰ』 교과서 연습문제 유형 분석

Title
현행 고등학교 『중국어Ⅰ』 교과서 연습문제 유형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A Exercises Pattern in The Current High School 『ChineseⅠ』 Textbook
Authors
김경윤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재돈
Abstract
언어란 가르침에 의해서가 아닌 연습을 통해서 완성된다는 말이 있다. 즉, 교수­학습 과정에서 학습한 내용을 내재화하는 연습의 과정을 통해서만이 비로소 완전한 언어 학습을 이룰 수 있다는 의미이다. 제2외국어 교과에서 교과서 연습문제는 학습자가 수업시간에 배운 목표어에 대한 개념을 확인하고 이를 실제 의사소통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내재화하는 연습의 도구가 된다. 본고에서는 현행 교육과정에서 명시하고 있는 학습자 중심의 자기주도적 학습에 대한 지침과 관련하여 학습자의 가장 기본적인 학습 및 평가의 도구라고 할 수 있는 교과서 연습문제에 연구의 초점을 두었으며, 중국어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성 제고와 관련하여 유형의 다양성 측면에서 이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세부적인 구성과 각 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명료화하고, 기존에 이루어진 선행연구 검토를 통하여 본 연구의 방향성과 기준을 정립하였다. 그리고 연구의 절차에 관한 자세한 내용과 방법을 기술하였다. 제Ⅱ장에서는 교과서 연습문제의 이론적인 개념을 정의, 역할, 설계원칙,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본 연구의 연습문제 유형 분석 기준으로 적합한 것을 선정하였다. 제Ⅲ장에서는 앞서 제Ⅱ장에서 선정한 연습문제 유형 분석 기준을 토대로 연구자가 고등학교 중국어Ⅰ 교과의 성격에 맞게 분석 기준표를 재구성 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현행 「2009 개정 교육과정」으로 집필된 5종의 고등학교『중국어Ⅰ』교과서의 각 단원별 연습문제를 언어 기능별 유형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단원별 빈도와 분포 및 교과서 간 연습문제의 특징을 비교·분석하였다. 제Ⅳ장에서는 경기도 소재의 A, B, C 세 개 고등학교를 단순무선표집 방식으로 추출하여 제2외국어로 중국어Ⅰ을 선택한 총 189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교과서 연습문제의 실제 활용도와 유형 다양성에 대한 인식 정도, 개선사항에 관한 설문 결과를 분석하여 향후 연습문제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제Ⅴ장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중국어Ⅰ 교과의 교수·학습 및 평가 지침을 살펴보았으며, 5종 교과서 연습문제의 유형 분석 결과와 학습자 요구도를 비교하여 실질적인 연습문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제Ⅵ장에서는 연구에서 밝히고자 했던 주요 사항들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성과와 결과를 논의하였으며,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으로 끝을 맺었다. 연구 결과, 5종의 교과서 연습문제가 초급 학습자들의 수준을 고려하여 몇 가지의 특정 유형에 제한되는 경향은 있었으나 그 빈도에 있어서는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습문제의 유형 분류에 있어서 동일한 유형임에도 문항 구성의 소재적인 접목에 있어서는 교과서 간 특징이 다양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학습자 대상 설문조사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연습문제가 중국어 학습에 대한 흥미를 제고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언어 기능에 관한 연습문제 보다는 중국 문화에 관한 연습문제의 요구도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습문제의 설계에 있어서 초급의 학습단계를 고려하여 기본적인 연습 유형이 반복적으로 제시되더라도 동일한 형태로 기계적으로 반복되기 보다는 그 구성에 있어서 단계적으로 변화를 주어 학습자들에게 단조롭고 지루하다는 인상을 주지 않도록 하고, 학습자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중국 현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실생활적인 소재를 다양하게 활용한 실용적인 연습문제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중국어 교재 집필의 원칙에서 다수의 학자들이 공통적으로 제시한 학습자의 흥미성 제고와 관련하여 ‘연습문제의 다양성’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그 기준에 부합할 수 있는지를 유형적인 측면에서 밝히고자 하였다. 연습문제의 다양성은 단일한 유형을 적용하더라도 단계적으로 구성상의 변화가 있어야하며, 학습자가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소재를 다양하게 접목하여 자기주도적 학습을 이끌 수 있을 만큼 매력적인 것에 대한 정의로 본 연구자는 결론지었다. 끝으로 현재 집필중인 2015 개정 고등학교『중국어Ⅰ』교과서 저작에 본 연구결과가 조금이나마 참고가 되길 바라며, 앞으로 연습문제의 평가 기준과 관련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본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기를 바란다.;It is widely known that a foreign language can be mastered not with teaching but with practice. That is, a person can fully learn a foreign language only through a practice of internalizing what one acquires during a teaching-learning process. In curriculum for learning a second language, exercise serve as a practicing tool to verify the concept of the target language that one learns in a class and to internalize them to be able to use them in actual communication. In this study, I focus on exercises in a textbook, which are the most basic tool for learning and evaluation, in regard to self-directed learning that is explicitly promoted under the national guidelines on curricula. I analyze exercises from a perspective of their various patterns in relation to stimulating students’ interest in learning the Chinese language. This study is organized as follows. Chapter I clarifies the objective and necessity of the research, and sets research direction and criteria based on review of earlier studies. It also describes details of research processes and methodology. Chapter II examines theoretical concept of exercise in a textbook in terms of definition, role, design principle, pattern and selected exercises that are suitable for analysis of the pattern. In Chapter Ⅲ, I reorganized analysis standards to be suitable for curriculum of Chinese I class in high school based on the patterns of selected exercises in the previous chapter. Based on the analysis standards, I classified exercises of each chapter in five different 『Chinese I』 textbooks published under the 2009 revised national guideline on curricula, by their pattern of linguistic functions. Then I compared and analyzed frequency and distribution of exercises between different chapters, and between different textbooks. In Chapter Ⅳ, I selected three high schools (A,B,C)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in simple random sampling, and took a survey of 189 students who chose Chinese I as a second language. The survey questions included practical applicability of exercises in a textbook, students’ awareness on various patterns of exercises, and areas of improvement. Based on the replies, we drew implications to improve exercises in a textbook. Chapter V examined guidelines on a teaching-learning process and evaluation for Chinese I class under the 2015 revised national guidelines on curricula, and proposed how to improve exercises ba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exercises of five different textbooks and students’ needs. In Chapter Ⅵ, I discussed research outcomes with a focus on main concerns of the research,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while exercises of the five different textbooks were limited to particular patterns to be suitable for elementary level of the students, their frequency varied widely. Also, even for the same pattern of exercise, the use of materials varied widely across different textbooks.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diverse exercis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timulating students’ interest in learning the Chinese language, and their demand was relatively stronger for including elements of Chinese culture in exercises, than emphasizing linguistic func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it can be said that even though a basic exercise pattern is repeated for students at the elementary level in learning a foreign language, the exercises need to be organized in gradually different manner as class progresses, instead of mechanically repeating, so that students will not be bored. Also, reflecting students’ demand, more practical exercises need to be provided that draw from various, realistic settings of living in China. In this study, I attempted to elucidate how ‘various patterns of exercises in a textbook’ can contribute to stimulating students’ interest, which is a common principle suggested by scholars in writing a textbook for learning the Chinese language. I drew a conclusion that when it comes to diversity of exercises, it is important to gradually change organization of the exercises even when they follow a single pattern, and various materials and topics need to be introduced in the exercises to be attractive enough to stimulate students’ interest and encourage their self-directing learning. I hope that these findings would be useful to writing 2015 revised edition of textbooks for 『Chinese I』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more research would be conducted on evaluation criteria of exercises in a textbook to overcom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중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