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66 Download: 0

빌 비올라(Bill Viola)의 작업에 나타난 영화적 특성

Title
빌 비올라(Bill Viola)의 작업에 나타난 영화적 특성
Other Titles
A Study on Cinematic Characteristic in Bill Viola's Works
Authors
손슬아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난지
Abstract
본 논문은 빌 비올라(Bill Viola, 1951~)의 작업에 나타나는 영화적 특성을 살펴본 연구이다. 빌 비올라가 비디오 작업을 시작했던 1970년대 초반의 미술계는 카운터컬쳐(counterculture)의 분위기 속에서 실험적인 시도들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 시기에 새롭게 등장한 비디오 아트는 20세기 초 유럽 아방가르드 예술가들의 영화로부터 영향을 받았으며, 당대의 실험적인 영화와도 본격적인 상호 관계를 맺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그의 작품은 초기부터 구조주의 영화나 다큐멘터리의 영향을 받았고, 1990년대를 지나면서 영화의 테크놀로지와 촬영 기법을 활용한 영화 수준의 영상을 영화관과 같은 관람 공간에서 보여주는 등 영화적 방식을 통해 비디오 아트의 스펙트럼을 확장해왔다.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는 비올라의 작업에서 등장하는 물과 불, 빛과 어둠 같은 상징적인 소재들이 갖는 의미를 분석하거나 숭고와 같은 감정적 경험에 집중된 논의가 주를 이루었고, 40여 년에 걸친 작업 전체를 아우르는 특징을 통해 일관된 맥락에서 살펴본 논의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올라의 작업 전반에 걸쳐 영화적 특성이 표출되고 있음을 파악하고 이를 영화와의 관계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그의 작업 세계를 보다 총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비올라는 1970년대 초반의 작업에서 시간을 조작하고 몽타주 방식을 활용해 마치 구조주의 영화처럼 시간을 탐구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것은 영화의 방식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영상 어휘를 탐색하고 확립해나가는 과정이었다. 특별한 개인사를 겪은 1990년대 초반 이후, 비올라는 작업의 주제와 표현 방식에 변화를 보이며 영화의 35밀리미터 필름이나 초고속 카메라를 활용한 작업을 전개하였다. 그는 인간의 격렬한 감정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표현을 위해 영화의 장치와 촬영 방식을 수용한 것이다. 이는 그의 제작 태도를 일종의 영화 감독처럼 변화시켰다. 배우와 촬영팀, 편집팀을 이끌어나가는 그의 연출 방식과 LCD나 플라즈마(plasma) 스크린, HD 포맷 카메라의 활용을 통해 작업은 영화 수준의 영상으로 변모하게 되었다. 또한, 비올라는 마치 연극 무대 같은 상황을 만들거나 관람자를 둘러싸는 스크린과 사운드를 통해 관람자를 몰입시키는 전시 환경을 조성하였다. 그는 자신의 작업이 설치된 공간 속에서 관람자의 특별한 감정적 경험을 위해 인간의 내면을 은유하는 ‘어두운 공간’을 만들어내고자 했다. 이것은 2000년대에 들어서며 고해상도의 평면 스크린과 압도적인 사운드가 복합적으로 뒤섞이는 소위 하이퍼스페이스(hyperspace)로, 나아가 스크린 속으로 걸어 들어가는 듯한 관람자의 몰입을 이끌어내는 데 이르렀다. 이처럼 비올라의 작업은 영화적 어휘와 테크닉이 반영되고 표출된 것이라 할 수 있으며, 비디오 아트를 비롯한 동시대 미술의 영역을 한층 더 넓히는 계기가 되어주었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본 논문은 빌 비올라의 작업 전반에서 영화적 특성을 읽어내고 그동안 불충분하게 이해되었던 다양한 지점들을 새롭게 조명하고 해석하고자 하였다. 비올라의 작업은 몽타주나 슬로모션(slow-motion)과 같은 영상 편집과 구성, 촬영 장비와 디렉팅의 방식, 몰입을 유도하는 전시 공간 등을 통해 영화적 특성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초기 작업에서부터 현재의 작업에 이르기까지 영화의 표현법과 테크놀로지가 다각도로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작업을 변모하게 한 원동력이었음을 알 수 있다. 비올라는 비디오 매체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와 영화적 전략의 수용을 통해 비디오 아트의 가능성을 확장하고 그것을 넘어서는 새로운 형태의 영상 예술을 제안한 것이다.;This is a study on cinematic characteristics seen in the works of Bill Viola(1951~). The early 1970s when Bill Viola started working with videos, the art world was full of a variety of experimental attempts in an atmosphere that could be characterized as counterculture. Video art that appeared during this time was influenced by the cinema of avant-garde European artists from the early 20th century and began establishing a mutual relationship with experimental films of the time. As a result, his work was influenced by structural films and documentaries since his early formation and has been expanding the spectrum of the video art in the 1990s utilizing cinematic methods such as showing his cinema quality moving images filmed with cinematic technology and shooting techniques in a cinema-like exhibition space. Nevertheless, previous studies on the works of Viola were mostly based on analyzing the significance of symbolic materials such as water and fire, light and darkness or discussing emotional experiments such as sublimity, and a comprehensive discussion observing his 40 years of work in an overall context was difficult to find. Thus, this study has tried to understand Viola’s artwork by understanding that cinematic characteristics are expressed in Viola’s works in general and examining its relationship with cinema. Viola’s early works in the 1970s show an aspect of seeking time like structural films by manipulating time and utilizing montage methods. This was a process of searching and solidifying Viola’s own moving image vocabulary based on cinematic methods. After the early 1990s when he experienced meaningful life events, the subject of viola’s works and the way they are expressed was changed, and Viola began developing works utilizing 35mm films and high speed cameras. He had embraced cinematic devices and filming methods for effective expression of intense human emotions. This transformed his production attitude as that of a cinema director. The way he directed his films with actors, filming team, and editing team and worked employing LCD, plasma screens, or HD format cameras transfigured his works into cinema quality moving images. Also, Viola built an exhibition environment that allowed the audience to be immersed into the films by creating situations like a theatrical stage or through the screen and sound that surrounded the audience. He tried to create a ‘darkened space’ metaphoric to a man’s inner side in the space where his works were installed for special and emotional experience of the audience. This, entering the 2000s, became something knows as ‘hyperspace’ that complexly combines high quality flat screens with overwhelming sound achieving a level of immersion that gave the audience the sensation of walking into the screen. Like this, Viola’s works can be described as reflecting and expressing cinematic vocabulary and technique, and it became an opportunity for the field of video art and contemporary art in general to expand. Through these approaches, the following study has tried to catch the cinematic characteristic in Bill Viola’s work in general and shed light on various points that have not been sufficiently understood and interpret them. Viola’s work demonstrates cinematic characteristics through moving image editing and composition such as montage and slow motion, cinema filming devices and way of directing, and exhibition space that induces immersion. Through this, it can be understood that cinematic expression and technology were the motivation that transfigured his work and influenced it in various aspects from his early works to his current works. Viola expanded the possibility of video art and suggested a new form of moving image art that goes beyond the conventional form of video art  through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video as medium and acceptance of cinematic strategy.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