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혜숙-
dc.contributor.author임수지-
dc.creator임수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2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848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50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8489-
dc.description.abstractKant’s endeavor to lay a groundwork for the possibility of morality begins in Section III of his Groundwork of the Metaphysics of Morals and continues in the Analytic of the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However, these two works have presented scholars with interpretative difficulty because they have different conceptions of key notions such as freedom, moral law, and the categorical imperative. The lack of objective reality, which is essential to deduce a category of understanding, has aggravated this plight further. Given all this, not surprisingly, the standard criticism is that Kant’s attempts in both texts are not plausible, if not complete failures. In contrast, I shall argue that Kant in fact succeeds in justifying freedom or noumenal causality, albeit always in a practical sense. The main argument of this study is divided into three parts. In a preparatory discussion, chapter two investigates the meaning of the transcendental and what the fundamental dimension of a transcendental philosophy is. As a meta critique, it is crucial to point out that this concerns conditions of the possibility of ‘any conceivable kind of experience.’ Because a transcendental point of view, which grounds the conditions of a first-order discourse, itself needs to be anchored, I go on to address general characteristics of transcendental arguments, as a method of justifying this critique at the meta level. Before introducing and justifying the noumenal cause, chapter three first shows that the concept of causality is not ‘theoretically null’ by briefly summarizing the Second Analogy of Experience; otherwise the practical use of this concept would be absurd. To examine the theoretical compatibility of two distinct causalities, the main part of this chapter analyzes the arguments of the Third Antinomy. The noumenal cause, or transcendental freedom, is introduced in the thesis argument and secures its seat in pure understanding, although still empty, when Kant dissolves this apparent antinomy in such a way that both of the conflicting propositions may be true. Chapter four, in its entirety, is an effort to justify freedom or ‘causality of the will’ for a practical purpose. To present an alternative response to this problem, which has been discussed for decades without agreement ever being reached, I propose to redefine the undertaking of the Analytic of Pure Practical Reason and reframe the structure on which this task can be carried out. The point here lies in regarding the whole Analytic, and not only some sections of it, as a single transcendental argument, and splitting it into two ‘nested’ stages with respect to both the project and structure. In other words, within the newly settled framework, the problems are ‘whether and how reason can be practical’ and are proved in a twofold structure, which could be named ‘two-steps-in-one-proof,’ following Dieter Henrich’s expression. To complete the justification, in each step I draw out two aspects of objectivity, i.e., objective validity and objective reality, which are the key features that Kant considers indispensable in demonstrating the apriority of categories of understanding in the Transcendental Deduction of the Critique of Pure Reason. In conclusion, the noumenal cause as an absolute spontaneity is the necessary condition of moral experience. As the deduction of the forms of understanding was established in that without them any theoretical knowledge of an object in general is impossible, justification of the same concept of causality but applied in the practical realm can and must be claimed in the same way. Putting it differently, if it can be shown that without this faculty of reason no moral experience is possible at all, or that one cannot but accept this concept if one makes any moral judgement, then the noumenal cause is as equally firmly legitimated as the phenomenal one was in the first Critique.;본 논문은 방법론적 차원에 선험논변을 도입하여 예지적 인과의 정당화 문제에 있어 하나의 대안적 해석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예비적 작업으로서의 II장은 ‘선험적’에서 논의될 수 있는 다양한 정의들 중 본고가 주목하고자 하는 의미를 짚어내는 과정으로 시작한다. 이를 기반으로 인식판단 뿐 아니라 보다 넓은 차원에서 모든 경험의 가능조건들을 탐구하는 하나의 경계담론으로서의 선험철학이 지닌 가장 근본적인 측면을 살피고, 그러한 선험적 관점을 정당화할 수 있는 방법인 선험논변의 특성은 무엇인지 다룬다. 예지적 인과가 정당화되는 과정을 재구성하려는 본고의 관심은 칸트의 철학체계 내에서 그것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도덕성의 혹은 도덕판단의 가능조건으로 정립되는가에 놓이는 까닭이다. 비록 별도의 목차로 구성되지는 않았으나 III장의 도입부에서는 원인과 결과라는 범주가 이론적 사용에서 보편성과 필연성을 획득하는 과정을 ‘경험의 두 번째 유추’를 중심으로 간략하게 정리한다. A절은 ‘선험적 이념의 세 번째 이율배반’에서 자연과 자유 사이에 모순이 발생하는 과정에, B절은 이 두 입장이 양립가능하게 되는 구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세계의 모든 현상들을 설명하기 위해 자연법칙에 따르는 원인성 이외에 자유로부터의 원인성 또한 상정하는 정립과 자유를 단적으로 부정하는 반정립의 두 주장들이 ‘비판적 해결’에서 모두 거짓으로 판명됨으로써 자유는 거부되는 듯 보였으나 이 개념은 곧 역학적 이율배반에 고유한 타협에 의해 구출된다. 마지막으로 IV장 전체는 이론이성의 관점에서는 그 실재성을 부여받지 못했던 선험적 자유로서의 예지적 원인을 정당화하려는 노력이다. 실천적 관점에서 인과범주의 사용을 근거 짓고자 했던 칸트의 두 차례의 시도가 모두 실패한다는 일반적인 해석과는 달리 본고는 그의 텍스트를 성공적으로 독해할 수 있는 하나의 가능한 대안을 제안하려 한다. 그 첫 번째 일환으로 A절에서는 텍스트의 분석틀을 새로이 구축하기 위해 ‘순수한 이성이 실천적일 수 있는가’라는 『실천이성비판』의 중심 물음을 하나의 선험논변으로 취하여 내용과 형식이라는 두 측면으로부터 각각 접근한다. 실천이성의 과제를 두 겹으로 세분하는 내용적 측면에 상응하여 그 증명구조 역시 중첩되어 있는 두 층위로 설정할 터인데 이때 하나의 본으로 삼아진 모형은 헨리히Dieter Henrich의 ‘두 단계로 이루어진 하나의 증명’이다. B절은 이러한 준비과정을 바탕삼아 「순수 실천이성의 분석론」에 대한 해석을 시도한다. 정당화를 완성하기 위하여 ‘순수 오성개념들의 선험적 연역’에서 칸트가 그 권리증명을 위해 필수적이라 여겼던 핵심적 속성들을 하나의 기준점으로서 참조한다. 이에 칸트적 의미의 객관성의 두 측면들, 즉 객관적 타당성과 객관적 실재성이 각 단계에서 차례로 도출된다. 본 논문에서 절대적 자발성으로서의 예지적 원인성은 도덕판단의 필요조건으로서 다루어진다. 순수 오성 개념들의 연역이 그것에 의하지 않고서는 대상일반에 대한 인식은 가능하지 않다는 지점에서 성립되었듯, 동일하지만 단지 실천적 영역에 적용된 인과범주 역시 같은 방식으로 변호될 수 있다. 다르게 말해, 그것을 전제하지 않고서는 어떠한 도덕경험도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보일 수 있다면, 혹은 모든 도덕판단에 있어서 이성의 이러한 능력을 상정하지 않을 수 없음을 보일 수 있다면 예지적 인과는 『순수이성비판』에서 현상인과가 연역되었던 것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정당화 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1 B. 논의의 범위 및 전개방향 3 II. 예비적 논의 6 A. 상위담론으로서의 선험철학 6 B. 선험적 관점의 정당화와 선험논변 9 III. 두 인과의 양립가능성: 예지적 인과의 도입 23 A. 선험적 이념의 세 번째 이율배반: 모순의 발생 26 1. 정립의 논증 26 2. 반정립의 논증 28 B. 모순의 해소 30 1. 비판적 해결 30 2. 역학적 이율배반의 해소 33 IV. 실천적 관점에서 예지적 인과의 정당화 37 A. 순수 실천이성의 분석론: 분석틀의 재설정 40 1. 실천이성의 두 겹의 과제 41 2. 증명의 구조: 두 단계로 이루어진 하나의 증명 46 B. 순수 실천이성의 분석론: 텍스트의 대안적 해석 50 1. 증명방법의 문제 51 2. 배진적 선험논변에 의한 도덕의 가능조건 정립 59 Ⅴ. 결론 86 참고문헌 88 ABSTRACT 9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898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칸트 실천철학 내 선험논변-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예지적 인과의 정당화-
dc.title.translatedTranscendental Arguments in Kant’s Practical Philosophy : An Essay on Justification of Noumenal Causality-
dc.format.pageiv, 96 p.-
dc.description.localremark석0858-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철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