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미-
dc.contributor.author신혜영-
dc.creator신혜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2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86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505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862-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incess installation system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Koryo dynasty, more specifically‘Princess’title assignment by the system, and to study about‘princesses’social status and rank throughout the initial implementation and later changes of the princess installation system. Generally, it was often understood that a royal title of so-called‘Princess’in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in Korea is the one assigned at the time of princesses’birth. Due to this phenomenon, the implementation moment and characteristics of princess installation system has never been considered as a research topic. However, the princess installation system was actually originated from China, and Korea adopted and developed this system under its political and social needs. Under this circumstance of lacking consideration about Korean princess installation system, this study tries to scrutinize the meaning of ‘Princess’title during the Koryo Dynasty. The 'Princess’title, which simply means‘a daughter of a king’, was originated from the mid-period of the Zhou Dynasty in China. Later on, during the Tang Dynasty, official titles and government ranks of princesses were defined, and the peerage class of princess was defined as the highest rank of Women’s Government Ranking System (外命婦). This system became the basis and the prototype of princess installation systems of later Chinese dynasties and some countries in the East Asia. During the Shinla Dynasty of Korea, the‘Princess’title was used from the period of King Kyumg-moon (A.D.861-875) at the latest. King Kyung-Moon’s period can be characterized as the time of alleviated tension regarding throne succession struggles, and therefore the royal family had to not only differentiate itself from the previous royal families, but also reunite the country. As one of their initiatives, King Kyung-Moon started its China assimilation policy and started using the Chinese system of addressing king's daughters as‘Princess’. However, the adoption was limited to only addressing manner of king's daughters as 'Princess’, not the entire Women's Government Ranking system. The Koryo Dynasty adopted the manner of addressing king's daughters as‘Princess’from its beginning due to influences from China and Shila Dynasty of Korea. In the initial era, the 'Princess' title was used as simple designation of‘King's Daughter’, and did not embrace any title or social hierarchy in association with 'official queen'. In the later period, more specifically from the period of King Hyun-Jong and that of King Moon-Jong, the princess installation system was initiated and so was modification of Women’s Government Ranking System. From this period,‘Princess’title was regarded as the one assigned by formal process (installation ceremony) and was regarded as a type of government ranks. The title of‘Princess’was situated at the top of Women's Government Ranking System,‘Jeong 1-poom’in Korean. In order to be the top ranking officer in Women's Government Ranking System as‘Princess’, there was some requirement to be met by king’s daughters, and that is king’s daughters whose mothers were official queens with at least civilian-class background were installed as‘Princess’. It was King Hyun-Jong's distinguishable marriage type which embarked the adoption of princess installation system in the Koryo Dynasty. Unlike previous kings, King Hyun-Jong had a number of wives with different last names (not royal family members). As a result, the royal family was composed of original royal family members and also members from aristocrat families, and it was required to have some order in the royal family. Due to this reason, sons of the King started to become categorized by their government ranks, and princess installation system was initiated for daughters of a king. However, as the domestic harmony was the utmost importance of King Hyunjong, princess installation was applied to all daughters of kings’wives in a non-discriminational manner. At last, during the period of King Sun-Jong and King Eui-Jong, only first-born daughters of King’s wives and every daughters of the official queen were installed as‘Princess’. This change in princess qualification is stipulated in ‘Gong-Joo-Jeon (「公主傳」)’. Unlike the previous time, from this moment, only first-born daughters of kings’wives and all daughters of the official queen were installed as‘Princess’. The phenomenon of discriminating between the queen and the other wives of the king had existed from the early period of the Koryeo Dynasty. However, due to progressive adoption of Confucianism, changes in etiquette system, and political necessity, the phenomenon of discriminating king’s wives from the official queen surfaced more. The title of‘Princess’was actually a rank in the Koryo Dynasty, and installation subjects were required to be associated with the official queen by their lineage. This is quite different from the Chinese system which prioritizes fatherly lineage, and it also reflects the Koryo Dynasty's social phenomenon that sons and daughters continue to maintain their relationships with both their fatherly lineage and motherly one. Therefore, unlike all king's daughters could be addressed as‘Princess’in China, in the Koryo Dynasty of Korea, selective members of King’s daughters could be addressed as‘Princess’since the position and the status of the official queen mattered very significantly: princesses were much more noble than ordinary kings' daughters.;본 논문은 고려 전기의 공주가 책봉례를 통해 부여되는 작위로 이해하고, 공주 책봉 제도의 시행과 변화 과정을 통해 고려 공주의 성격과 위상을 고찰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국사에서 공주는 삼국시대부터 왕녀가 태어나면 자동적으로 부여되는 칭호로 이해되어 왔다. 이러한 인식으로 인해 공주 칭호의 정착 시기와 성격은 본격적인 연구 대상으로 취급되지 않았다. 그러나 공주는 본래 중국에서 기원한 것으로, 한반도에서는 정치적 ‧ 사회적 필요에 의해 이 칭호를 수용하여 정착시켰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고려의 공주 칭호를 고찰하였다. 황제의 딸을 의미하는 공주 칭호는 주나라 중엽에 기원하였다. 이후 唐代에 외명부 속에서 황실 딸들에 대한 칭호와 品秩을 규정하여, 공주를 외명부 내 최상단에 자리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唐制는 이후 중국과 동아시아의 여러 왕조의 기본 원형이 되었다. 신라에서는 늦어도 경문왕대(재위 861~875)에 공주 칭호를 사용하였다. 경문왕대는 혼란했던 왕위 계승 다툼이 완화되는 시기로, 기존 왕실과의 차별성 강조와 통합이 함께 요구되었다. 이를 위해 경문왕은 한화정책을 실시하였는데, 그 연장선에서 중국식 황실 딸들에 대한 칭호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때 외명부 제도 전체가 수용된 것은 아니며, 공주 칭호만이 수용되었다. 고려는 중국과 신라의 영향을 받아 국초부터 공주 칭호를 사용하였다. 고려의 의 공주 칭호는 세 시기로 구분하여 변화 과정을 살필 수 있다. 먼저 태조~목종대인데, 이때까지만 해도 공주는 왕의 딸을 의미하는 일반적인 칭호로 굳이 母后의 지위와 위상을 구별하지 않았다. 다음으로 현종~문종대에는 외명부 제도의 정비와 함께 공주 책봉제가 시행되었다. 이때부터 고려의 공주는 책봉 의례를 통해 부여되는 지위로, 작위의 개념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공주는 정1품으로 외명부 제도의 최상단에 위치하였다. 작위이자 외명부의 최고위인 공주에게는 일정한 자격 요건이 요구되었는데, 적어도 良人 이상 후비 소생의 왕녀만이 공주로 책봉되었다. 현종 연간 공주 책봉제가 시행된 것은 현종의 혼인 형태의 변화로 인한 것이다. 이전 시기 국왕과는 다르게 현종은 많은 수의 異姓 후비를 맞이하였다. 이로써 왕실 구성원이 왕족과 귀족 가문 출신으로 다양해지자, 왕실 자녀에 대한 질서가 요구되었다. 이러한 필요성으로 왕자에게는 封爵制가, 왕녀에게는 공주 책봉제가 시행되었다. 그렇지만 현종의 혼인은 그 출발이 정권의 안정을 위해 이루어졌으므로, 굳이 후비 출신에 따라 자녀를 차별적으로 책봉 할 수 없었다. 마지막으로 선종~의종 연간에는 모두 제1비나 제1비에 준하는 후비 소생의 왕녀만이 공주로 책봉되었다. 공주 책봉 대상자의 변화는 󰡔高麗史󰡕 「공주전」의 서술 형태의 변화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이전 시기와 달리 이 시기 이후 「공주전」의 왕녀들은 모두 제1비와 제1비에 준하는 후비 소생만이 입전되었다. 后妃의 납비 순서를 중요시하는 사회적 분위기는 고려 전기부터 존재하였다. 그렇지만 선종 이후 중국 전통 유교 이념에 대한 이해의 심화, 禮制의 정비 그리고 정치적 필요성에 의해 더욱 표면으로 드러났던 것이다. 고려의 공주는 작위로, 점차 책봉 대상자에게 母后의 지위와 위상이라는 자격이 요구되었다. 이는 중국과 달리 父系를 중요시 하는 동기의식이 없었으며, 양측적 친속 관계를 유지했던 고려의 사회적 특성이 투영된 것이었다. 따라서 중국의 황녀가 모두 공주로 불릴 수 있었던 것과는 달리, 母后의 지위와 위상이 중요했던 고려의 공주는 왕녀 중에서도 보다 특수한 계층이었다고 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머리말 1 Ⅱ. 고려 초 공주 칭호의 정착 4 1. 신라 하대 공주 칭호의 등장 4 1) 중국의 공주 칭호 4 2) 신라 하대 공주 칭호의 사용 7 2. 고려 초 공주 칭호의 사용과 특징 14 1) 태조대 왕녀와 공주 칭호 14 2) 혜종~목종대 왕녀와 공주 칭호 18 Ⅲ. 고려 전기 공주 책봉제의 시행과 변화 24 1. 현종대 공주 책봉제의 시행 24 1) 공주 책봉제의 시행 24 2) 공주 책봉제 시행의 배경 30 2. 공주 책봉제의 정착과 책봉 기준의 강화 32 1) 덕종~문종대 공주 책봉제의 정착 32 2) 선종~의종대 책봉 대상의 변화 35 Ⅳ. 고려 공주 책봉제의 특징과 의의 43 1. 고려 공주 책봉제의 특징 43 2. 공주 책봉 대상 변화의 사회적 의미 50 Ⅴ. 맺음말 57 참고문헌 59 부록 63 ABSTRACT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7681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고려 전기 공주 책봉제의 의의-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ignificance of Princess (公主) Installation System in the Early Period of the Koryo Dynasty-
dc.format.pageiv, 6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