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현주-
dc.contributor.author김지원-
dc.creator김지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1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813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505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813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지지적 심리치료의 주요 치료 접근 방식을 도입하여 내적 자원 확립을 통한 심리적 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한 지지적 노래 만들기 프로그램이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적응유연성 향상을 가져오는지 알아보기 위한 사례 연구이다. 연구를 위해 4명의 학교 부적응 중학생이 모집되었으며 사전검사, 중재기간, 사후검사를 포함하여 총 5주 동안 연구가 진행되었다. 지지적 노래 만들기 프로그램은 회기 당 약 50분씩 주 2회 총 8회기가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회기별 목표에 따라 현재 심리적 적응 문제에 대해 가사를 만들고 완성된 노래 가창 및 토의하는 활동이 이루어졌다. 결과 분석을 위해 사전 ․ 사후 적응유연성 척도 검사를 실시하고 4개 하위요인별 점수 변화를 평가했으며, 적응유연성 하위요인에 대한 내용이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보기 위해 참여자들의 가사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참여자들의 적응유연성 점수가 증가했으며, 가사 분석 결과 참여자 4명 모두 가사에 표현한 현재 문제와 관련된 하위요인에서 가장 높은 점수 증가율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지지적 노래 만들기 프로그램은 연구에 참여한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적응유연성 향상을 가져왔다. 이러한 결과는 노래 가사를 만드는 과정이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다양한 현재 적응 문제와 내적 자원을 다루어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 변화를 유도하는 데에 긍정적으로 기능하였으며, 나아가 학교 적응을 위한 적응유연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examine how the supportive songwriting program can facilitate resilience for adolescents with school maladjustment. A total of 4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daptive difficulties participated.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sequence of a pre-test, an intervention period, and a post-test for 5 weeks. The participants received a 50-minute session of the supportive songwriting program twice a week, and a total of 8 sessions were provided. The supportive songwriting program consisted of singing and discussing the selected songs with the therapy goals, followed by making their own lyrics about their current adaptation issues. The resilience scale for the adolescents was rated by each participant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nd the participants’ lyric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how the sub-factors of resilience were reflected in the lyrics. The result showed that all participants’ scores of the resilience scale were increased. It was also found that each participant’s highest increase in sub-factor was related to the issues expressed in the lyrics during the supportive songwriting program. Consequently, the supportive songwriting program facilitated the resilience of the participants. The result suggests that song lyrics are effective in eliciting various current issues and accessing their positive resources which can formulate changed perspectives. This further becomes coping strategy and resilience resources for their school adjust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 목적 6 C. 용어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8 A.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문제 8 1. 청소년의 학교 부적응 8 2. 청소년의 학교 부적응 영향요인 10 B.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심리적 적응 12 1. 적응유연성 12 2. 청소년의 적응유연성 14 C. 지지적 노래 만들기 16 1. 지지적 심리치료 16 2. 음악심리치료 19 3. 노래심리치료 20 4. 지지적 노래 만들기 22 Ⅲ. 연구 방법 24 A. 연구대상 24 1. 참여자 A 24 2. 참여자 B 25 3. 참여자 C 25 4. 참여자 D 26 B. 측정도구 27 1. 적응유연성 척도 27 2. 자료 수집 27 C. 연구 설계 및 절차 28 1. 연구 설계 28 2. 연구 기간 및 절차 28 3. 연구 장소 28 4. 자료 분석 29 D. 중재 프로그램 구성 30 1. 지지적 노래 만들기 프로그램의 개발 30 2. 지지적 노래 만들기 프로그램 활동 내용 및 치료적 논거 33 3. 지지적 노래 만들기 프로그램 단계별 활동의 치료적 논거 37 E. 윤리적 고찰 44 Ⅳ. 결과 및 논의 45 A. 결과 45 1. 적응유연성 척도 점수 45 2. 적응유연성 하위요인별 점수 46 3. 가사 분석 결과 48 B. 논의 80 Ⅴ. 결론 및 제언 88 A. 결론 88 B. 제언 91 참고문헌 93 부록 104 ABSTRACT 11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5254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15.85154-
dc.title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적응유연성 향상을 위한 지지적 노래 만들기-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upportive Songwriting To improve Resilience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dc.format.pagevii, 11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치료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