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수지-
dc.contributor.author정룻-
dc.creator정룻-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1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83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505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834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음성 사용과 음성 관리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임상을 하고 있는 음악치료사가 작성한 설문지 총 125부를 회수하였고, 그 중 내용이 불충분하거나 대상자 조건에 충족되지 않은 14부를 제외한 나머지 111부가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사는 일상생활보다 세션 내에서 더 크게 말하거나 노래함으로써, 세션 내에서의 음성 사용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음성 증상 중 ‘목과 입이 건조하며 마름’의 평균점수가 가장 높았고, 참여자의 59.5% 는 세션 후 음성이 달라짐을 보고하였다. 셋째, 음성 관리를 위한 사전 훈련이나 교육에 참여하는 비율은 단 6.8%로 현저히 낮았고, 음악치료사가 음성을 보호하는 행동으로는 수분보충이 44.8%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넷째, 음성 사용 수준은 음악치료사의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5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음악치료사들의 음성 사용은 5년 미만의 경력을 가진 음악치료사들보다 유의미하게 낮았다(p=.013). 이는 세션 시간의 길이와는 상관없이 효율적인 음성 사용 전략이 음성 건강에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한다. 다섯째, 음성 증상 정도와 세션 내 음성 사용(p<.001), 그리고 일상생활에서의 음성에 영향을 주는 행동(p<.05) 사이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치료사들이 음성을 어떻게 전문적으로 사용하는지, 그리고 음성 건강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한다. 또한 음악치료사들이 음성을 전문적으로 사용하는 직업적 음성사용자(professional voice user)로서 음성 건강을 유지하고 개선시키는 것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데 의의가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음악치료사들의 음성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효과적인 음성 관리 전략에 대한 조사를 제언한다.;This study aimed to examine music therapists' voice use and their perception of vocal health. A total of 125 music therapists completed the survey and a total of 111 respons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fter excluding incomplete respon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elf-rated scores with regard to voice use were higher for the use during music therapy sessions than in their daily lives, indicating that they tended to talk or sing louder and for longer during sessions. The most common voice problem that participants experienced was the dryness in their throats and mouths and 59.5% of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had experienced the changes in vocal quality after sessions compared to before sessions. It was found that only 6.8% of the participants received previous training or education on voice care. For strategies for preventive voice care, drinking water was reported the most frequently (44.8%). In addition, the analysis of voice use depending on the length of clinical experiences demonstrated the music therapists with work experiences longer than five years showed significantly lower ratings on the voice use during sessions than those with less than five years of clinical experiences (p=.013), indicating lower risk of voice overuse. It also implies that regardless of the actual length of work-related voice use, the application of strategies to use voice efficiently may contribute to vocal health.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of the level of vocal problems with voice use during music therapy sessions (p<.001) and in daily lives (p<.05). These results present baseline data on how music therapists use their voice for their profession and how they perceive vocal health. It also suggests that increased awareness of how to maintain and improve vocal health would be needed for music therapists as occupational voice users. Further studies would be needed to investigate the contributing factors for voice use in music therapists and propose effective strategies for voice care in this popul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3 C. 용어 정의 3 Ⅱ. 이론적 배경 5 A. 음성 건강 5 1. 음성 산출 관련 요인 5 2. 음성 관리 8 B. 음악치료사의 음성 9 1. 음악치료사의 직업과 음성 사용 9 2. 노래와 음성 활용 12 3. 음악치료사의 음성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요인 13 Ⅲ. 연구 방법 16 A. 연구 참여자 16 B. 조사 도구 16 C. 연구 절차 18 1. 설문지 문항 검토 18 2. 본 조사 18 D. 자료 분석 19 Ⅳ. 결과 및 논의 20 A. 결과 20 1. 대상자 일반적 특성 20 2. 음성 사용 현황 26 3. 음성 증상 29 4. 음성 관리 현황 32 5. 경력, 세션 시간에 따른 음성 건강에 대한 인식 차이 33 6. 음성 증상과 음성 사용 간의 상관관계 35 B. 논의 36 Ⅴ. 결론 및 제언 39 A. 결론 39 B. 제언 40 참고문헌 42 부록1. 설문지 48 ABSTRACT 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4928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15.85154-
dc.title음성 건강에 대한 음악치료사의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Perception of vocal health in Music therapists'-
dc.format.pageiv, 56 p.-
dc.contributor.examiner이진형-
dc.contributor.examiner정현주-
dc.contributor.examiner김수지-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치료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