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세영-
dc.contributor.author임혜은-
dc.creator임혜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7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15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50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15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후기 아동의 내현적 자기애가 전위 공격성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내면화된 수치심과 거부민감성을 매개하여 전위 공격성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도 및 충청도 소재의 4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 6학년 남·여 학생 1,06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한 자기보고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내현적 자기애는 곽평호·홍상황·한태희(2011)가 개발한 아동용 자기애 척도를 사용하였다. 전위 공격성은 Denson, Pederon, & Miller(2006)가 개발한 전위 공격성 척도(Displaced Aggression Questionnaire; DAQ)를 이하나(2009)가 한국판으로 번안하고 타당화한 전위 공격성 척도(Korean version of Displaced Aggression Questionnaire; K-DAQ)를 사용하였다. 내면화된 수치심은 Cook(1987)이 개발한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nternalized Shame Scale; ISS)를 이인숙·최해림(2005)이 번안하고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거부민감성은 Downey & Feldman(1996)이 개발한 아동용 거부민감성 질문지(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 CRSQ)를 이경숙·서수정·신의진(2000)이 번안한 것을 바탕으로 박지윤·정영숙(2008)이 보완한 한국판 아동용 거부민감성 척도(The Korean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 K-CRSQ)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변인들 간의 기술통계와 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학령후기 아동의 내현적 자기애가 전위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거부민감성의 매개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AMOS 22.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령후기 아동의 내현적 자기애는 전위 공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내현적 자기애가 높은 아동일수록 전위 공격성을 더 많이 보였다. 둘째, 학령후기 아동의 내현적 자기애는 내면화된 수치심을 매개하여 전위 공격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내현적 자기애가 강한 아동일수록 내면화된 수치심을 더 자주 경험함에 따라 전위 공격성을 더 많이 표출하였다. 셋째, 학령후기 아동의 내현적 자기애는 거부민감성을 매개하여 전위 공격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높은 아동일수록 거부민감성이 크게 작용함에 따라 전위 공격성의 형태로 더 많이 나타났다. 넷째, 학령후기 아동의 내현적 자기애는 내면화된 수치심과 거부민감성을 매개하여 전위 공격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강한 아동은 내면화된 수치심을 더 많이 경험하게 되며, 이는 거부민감성 또한 더 예민하게 자극함으로써 전위 공격성이 유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령후기 아동의 내현적 자기애, 내면화된 수치심, 거부민감성 및 전위 공격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 전위 공격성을 예측하는 선행변인으로 자기 및 타인에 대한 부정적인 표상에서 기인한 내현적 자기애, 내면화된 수치심, 그리고 거부민감성을 함께 고려하여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학령후기 아동의 전위 공격성의 유발과정에서 내현적 자기애와 내면화된 수치심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부적절한 자아인식이 거부민감성을 통해 또래 표상마저 부정적으로 강화시킬 경우 전위 공격성을 예측하게 됨에 따라 이는 아동 자신과 연관된 심리적 요인뿐 아니라 대인관계에서의 내적정서인 거부민감성의 역할 또한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동의 전위 공격성이 개인 및 대인간의 부정적인 내적심리기제를 통해 유발되는 과정을 밝힘으로써 아동 치료 및 상담 시 조기중재에 사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따라 아동의 전위 공격성과 관련된 부적응적인 문제행동들을 예방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The study aims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and rejection sensitivity on the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on displaced aggression in school-aged children. For the purpose, this paper analyses the result of the survey of four measures in four elementary schools which are located in Seoul, Gyunggi-do and Chungcheong-do. There were 1060 respondents from 5th to 6th grade students(547 boys and 513girls) to verify a structural equation mode(SEM). The primary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chool-aged children’s covert narcissism had a effect directly on their displaced aggression. children who perceived higher levels of covert narcissism exhibited more displaced aggression. Second, school-aged children’s covert narcissism had a effect indirectly on their displaced aggression through their internalized shame and rejection sensitivity. children who perceived higher levels of covert narcissism reported a more internalized shame and rejection sensitivity, which led to more displaced aggression.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ndividual and interpersonal inner psychological factors need to be considered to explain school-aged children’s displaced aggression. Further, it is important to facilitate school-aged children to experience an acceptance relationship positively with their family and peer group to help them explore their negative self-representation and the representation of others, which arise from their relationship which parents and peers, especially their internalized shame and rejection sensitivity.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find a preventive measure and solution for school-aged children’s displaced aggression to develop more diverse emotional and social recovery programs and peer relationship program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7 A. 전위 공격성 7 B. 내현적 자기애와 전위 공격성 10 C. 내현적 자기애, 내면화된 수치심 및 전위 공격성 15 D. 내현적 자기애, 거부민감성 및 전위 공격성 20 E. 내현적 자기애, 내면화된 수치심, 거부민감성 및 전위 공격성 28 Ⅲ. 연구문제 및 용어정의 31 A. 연구문제 31 B. 용어정의 32 Ⅳ. 연구방법 34 A. 연구대상 34 B. 측정도구 36 C. 조사절차 및 자료분석 41 Ⅴ. 연구결과 43 A. 예비분석 43 B. 측정모형 분석 45 C. 구조모형 분석 49 Ⅵ. 논의 및 결론 55 참고문헌 63 부록. 설문지 80 ABSTRACT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478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학령후기 아동의 내현적 자기애가 전위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수치심과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dc.title.translatedThe Influences of Covert Narcissism on Displaced Aggression in School-aged Children :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and Rejection Sensitivity-
dc.creator.othernameLim, Hye Eun-
dc.format.pagev, 93 p.-
dc.description.localremark석0146-
dc.contributor.examiner신나나-
dc.contributor.examiner지연경-
dc.contributor.examiner한세영-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아동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