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8 Download: 0

Gender Differences and Women’s Participation in Climate Change Adaptation Technology

Title
Gender Differences and Women’s Participation in Climate Change Adaptation Technology
Authors
IYAKAREMYE, NYINAWINKINDI ARLETTE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혜윤
Abstract
Climate change has obvious impact on agricultural productions, since technology is found to be a pillar of adaptation; agricultural technologies will play a central role to allow farmers to overcome climate impact challenges. This thesis aims to explain what drives women’s weak adoption of technological practices undertaken at local community levels to adapt to climate change in agriculture sector, and to find out the barriers encountered by women farmers for adaptation to environmental challenges using agriculture technologies. Since women and men adapt differently to a changing climate, women farmers are found less participating in climate change technology compared to men. This thesis argues that women‘s low participation in utilization of climate change technology is driven mainly by institutional gaps in policies and other gaps in policy incentives. These later that fail to attract smallholder farmers that are women dominated and these gaps in policies substantially influence women’s unequal access to some socio economic resources compared to the men. The study reviews the approaches to particular behaviors of women and their responses to climate change differently from men’s. After testing the influence of various factors related to women use of adaptive technology in Rwanda case, this study confirmed the thesis’ assumption that Rwandan women’s poor response for adaptation are rooted in gender mainstreaming gap and policies which constrain small-scale farmers to access these technologies. Thus, the institutional gap is attributed the stronger influence. This thesis found that access to resources alone doesn’t guarantee women participation. Women responses are also shaped by the historically structural power gap within families for managing and control over family resources. Despite having equal land ownership, women in Rwanda are still constrained to participate in agriculture technology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The evidence data showed unequal access to finance, to inputs, to training opportunities and lack of control over land use within the households which occurs as a result of empowerment gap of rural women by various policies. Besides, most of the rural women farmers are to be early early school leavers, therefore are limited to attend trainings on innovation and climate change technology and the opportunities to by diversifying income is worsened by women’s triple role. However, some trends of women massive involvement in terracing activities and success stories of women groups that invest in green house tomato farming technology to produce vegetables in dry season indicate that a good policy lead to achieving a climate resilient agriculture with involvement of both women and men. Key Words: Climate change, Adaptation Technology, Gender.;기후 변화는 농산물 생산에 명백한 영향을 끼친다. 기술이 적응에 있어 중심이 된다는 것이 발견되었으므로 농업 기술은 농부들이 기후 영향의 문제를 극복하도록 하는 데에 중심 역할을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 수준의 농업 분야에서 기후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여성들의 기술적 실행 채택이 낮은 원인을 설명하고 농업 기술을 사용하여 환경적 난점들에 적응함에 있어 여성 농민들이 직면한 장애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남성과 여성이 기후 변화에 다르게 적응하기 때문에 여성 농민들이 남성에 비해 기후 변화 기술에 대한 참여가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 변화에 관한 기술 활용에 있어서 여성들의 낮은 참여도가 정책에서의 제도적 격차와 다른 정책들의 격차에 서 비롯된다고 주장한다. 이로 인해 여성이 지배적인 소규모 자작농들을 유인하는 데에 실패하며 이러한 정책 격차는 남성에 비해 불평등한 여성의 사회경제적 자원에 대한 접근에 실질적인 영향을 끼친다. 본 연구는 남성에 비해 여성들의 특정한 행동과 기후 변화에 대한 접근법을 검토한다. 르완다에서 적응 기술을 사용하는 여러 요인의 영향의 사례를 검토한 결과 본 연구는 르완다의 여성의 적응에 대한 약한 반응이 성별 차이와 소규모 농민이 이 기술들을 사용할 수 있다는 가정을 확인했다. 따라서 제도적 격차가 강한 영향 때문이다. 본 연구는 자원의 사용만이 여성의 참여를 보장하지 않다는 것을 밝혔다. 여성들의 응답들은 역사적으로 관리에 대한 가정 내에 구조적 권력 격차와 가정 자원에 대한 관리로 형성된다. 동일한 토지 소유권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르완다의 여성은 여전히 남성에 비해 농업 기술 과정에서의 참가가 제한된다. 증거 자료에 따르면 금융, 입력과 훈련 기회의 사용이 불평등하고 다양한 정책들을 통한 농촌 여성의 통제 격차의 결과로 나타난 가정에 있어서 토지 사용에 대한 관리가 부족하다. 또한, 농촌 여성 농민의 대부분은 학교 초기 자퇴자이고 혁신과 기후 변화 기술 교육 프로그램의 참여 가능성이 제한되어 있고 소득을 다양화시키는 가능성이 여성들의 삼중 역할에 인해 악화된다. 그러나 테라스 활동에 있어서 여자들의 높은 참여도와 건조한 계절에 야채들을 생산하기 위해 온실 토마토 농업 기술에 성공적으로 투자했던 여성 집단의 성공적 이야기는 좋은 정책이 여성과 남성 모두를 포함한 회복력이 있는 기후 농업의 달성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국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