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1 Download: 0

Korean Primary School Learners’ L2 Motivational Self System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Learner Differences

Title
Korean Primary School Learners’ L2 Motivational Self System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Learner Differences
Other Titles
한국초등학생의 제 2언어 동기적 자아체계와 학습자 변인의 조절효과
Authors
정윤주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시영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motivational factors which affect Korean primary school learners’ (KPSLs’) L2 learning. These factors include motivational intensity, the ideal L2 self, the ought-to L2 self, attitudes toward learning English, attitudes toward the L2 culture and community, instrumentality-promotion, instrumentality-prevention, and family influence. The study also explores the structure of L2 motivational self system of KPSLs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s among those motivational factors. In doing so, it examines to what extent student’s gender, grade, and dominant perceptual learning style (i.e., visual, auditory, or kinesthetic) have moderating effects on the structure of his or her L2 motivational self system. The current study adopts as a hypothesized model of the L2 motivational self system of KPSLs the Taguchi, Magid, and Papi’s model (2009) which is, in turn, based on Dörnyei’s (2005) L2 motivational self system. Methodologically, the data obtained from 845 Korean students in the fourth, fifth, and sixth grades via a questionnaire survey were analyzed through the use of SPSS (version 21.0) and AMOS (version 20.0) software. Additionally, descriptive statistics, a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e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and multi-group analysis were applied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PSLs had high levels of motivational intensity for English L2 learning and promotional instrumentality. Yet they exhibited average level for the other factors such as ideal and ought-to L2 selves, attitudes toward learning English, attitudes toward the L2 community and culture, and family influence. Second, in terms of the students’ learning style differences, neither their gender nor their grade had much of a significant bearing on the levels of the students’ L2 motivational factors. The learners’ dominant perceptual learning style, on the other hand, demonstrated to have a greater degree of influence on their L2 motivation. Korean visual and auditory learners, when compared with kinesthetic style learner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n all motivational factors except for the ought-to L2 self, which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earners. Third, the ideal L2 self had the greatest bearing on motivational intensity. In addition, learner attitude toward learning English also had a large impact on motivational intensity. This indicates that Korean learners who have vivid self-images of being successful L2 speakers as well as positive attitudes toward learning English, are more likely to be more motivated in L2 learning than those who do not have an equivalent degree of self-image. Fourth, gender had little moderating effect on the KPSLs’ L2 motivational self system. In other words, Korean male and female primary school students had similar structures of L2 motivational self systems. Fifth, KPSLs’ grades had considerable moderating effects on their L2 motivational self system. Especially, the bearing of a learner’s ideal L2 self on his or her L2 motivational intensity decreased as the learner advanced to a higher school grade, and this tendency was significantly stronger in the fourth grade model than in the sixth grade one. Finally, unlike previous research, the current study found there to be no difference among visual, auditory, and kinesthetic style learners in terms of the influence of the ideal L2 self on motivational intensity. Instead, it confirme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dominant learning style,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fluence of the ought-to L2 self on motivational intensity were found among the different learning styles. More specifically, kinesthetic learners’ ought-to L2 self more strongly influenced the students’ motivational intensity than it did of visual learners. This study’s findings contribute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KPSLs’ motivation in English learning and the influence of individual learners’ difference on motivation. In particular, the results imply that, to increase KPSLs’ levels of motivation in English L2 learning, motivational factors, such as the ideal L2 self, are essential-regardless of gender, grade level, or learning style preference. Based upon these findings, the present study argues that it is essential to develop L2 programs and activities which will promote KPSLs’ ideal L2 self. The study also proposes that the development of L2 programs and activities should lead to elaboration of applied curricular and pedagogical strategies.;이 연구는 한국 초등학생의 제 2언어 학습 동기, 이상적 제 2언어 자아, 의무적 제 2언어 자아, 영어 학습에 대한 태도, 외국인과 외국 문화에 대한 태도, 증진적 도구성, 방지적 도구성, 그리고 가족의 영향을 포함한 다양한 동기 요인을 탐구하였다. 이 연구는 또한 이 동기 요인 간의 상호관계를 조사하여 한국 초등학생의 제 2언어 동기적 자아체계를 탐구하였다. 덧붙여 이 연구는 학생의 성별, 학년, 지배적 지각 학습 양식(예컨대 시각형, 청각형, 또는 운동감각형)과 같은 학습자 변인이 그들의 제2언어 동기적 자아체계에 미치는 조절 효과의 정도를 조사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 초등학생의 제 2언어 동기적 자아체계 가설 모델로 Taguchi, Magid, Papi(2009) 모델을 채택하였는데 이 모델은 Dörnyei(2005) 이론에 근거하고 있다. 이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4학년, 5학년, 6학년 어린이 845명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SPSS(ver 21.0)와 AMOS(ver 20.0)를 가지고 분석하였다. t-검정, 일원분산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델, 다중집단 구조방정식모델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초등학생은 높은 수준의 영어 학습 동기와 증진적 도구성을 가지고 있었으나 이상적/의무적 제 2언어 자아, 영어 학습에 대한 태도, 외국인과 외국 문화에 대한 태도, 가족의 영향 등에 대해서는 평균적인 수준을 보였다. 둘째, 초등학생의 성별, 학년은 그들이 가진 제 2언어 학습 동기요인의 수준에 있어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 학습자의 지배적 지각 학습 양식은 그들의 제 2언어 학습 동기요인의 수준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특히 시각형과 청각형 학습자는 운동감각형 학습자에 비해 의무적 제 2언어 자아를 제외한 모든 동기 요인에서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다. 셋째, 이상적 제 2언어 자아는 제2언어 학습 동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덧붙여 영어 학습 태도는 제 2언어 학습 동기의 유의미한 예측인자였다. 이는 성공적인 제 2언어 화자라는 생생한 자아상을 갖고 영어 학습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진 학습자가 그렇지 않은 학습자보다 제 2언어 학습에 있어 더 동기화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넷째, 학습자 변인으로서, 성별은 한국 초등학생의 제 2언어 동기적 자아 체계에 미치는 조절효과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학생과 여학생은 비슷한 구조의 제 2언어 동기적 자아 체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한국 초등학생의 학년은 제 2언어 동기적 자아체계에 조절효과를 미쳤다. 특히, 4학년 학생의 제 2언어 동기적 자아 체계에서 이상적 제 2언어 자아가 제 2언어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이 6학년 학생의 제 2언어 동기적 자아 체계에서보다 유의미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선행 연구들과는 달리 이 연구는 제 2언어 학습동기에 미치는 이상적 제 2언어 자아의 영향에 있어 시각형, 청각형, 운동감각형 학습자 간에는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대신, 지배적 지각 학습 양식은 제 2언어 동기적 자아 체계에서 의무적 제 2언어 자아가 제 2언어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 2언어 동기적 자아 체계에서 의무적 제 2언어 자아가 제 2언어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시각형 학습자에게서보다 운동감각형 학습자에게서 유의하게 큰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초등학생의 제 2언어 학습 동기 강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여 교사, 교육 콘텐츠 개발자, 교육과정 개발자 등에게 의의가 있으며, 초등 영어 교육 연구 발전에 기여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