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9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남원-
dc.contributor.author박혜선-
dc.creator박혜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8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5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9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59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The first objective is the identification of the original form of the white porcelain angular bottles that began to emerge in the late Joseon period, particularly in relation to similar bottles produced in China and Japan at that time. The second is the determination of the significance and meaning of these white porcelain angular bottles based on an analysis of their shapes and decorations. A typical white porcelain angular bottle under the aforementioned analysis has a square or rectangular shape with angled shoulders, and a comparatively narrower mouth and a flat bottom attached to the angular body. The production of these bottles in East Asia began amid a changing international trade environment, involving China’s exports of porcelains to Europe in the 16th century. China was producing large quantities of blue and white porcelains at the time, and began to trade its porcelain ware with Europe via trade routes through Portugal. In Europe, these porcelains were received with fervor and enthusiasm, and Europeans began to order custom-made porcelains that catered to their tastes. Extant invoices of the East India Company of the Netherlands, for example, show order placed for inkbottles, mustard jars, shaving basins, coffee cups, and other pieces of pottery that were suited to the European lifestyle. Similar records of custom-ordered porcelains for Europeans are also found in Jingdezhentaolu (景德鎭陶錄). From the European still lifes and genre paintings of the era, particularly of Dutch origin, it can be seen that the white porcelain angular bottles of Asia have descended from the angular glass bottles used in Europe. It appears that these glass bottles, originally designed to contain wine or gin, evolved into the white-and-blue porcelain angular bottles following the popularity of Chinese pottery in Europe. However, amid the political and social turmoil that transpired at the end of the Ming Dynasty and the birth of the Qing Dynasty, China lost much of its export channels, which led to its relinquishing porcelain production to Japan. Thus, Japan began to produce white porcelain angular bottles, primarily for exports to Europe, with changes to the typical design. Whereas Chinese porcelain makers remained true to the shape of the original glass bottle, their Japanese counterparts began to round the shoulders and attach mouths that spread outward. White angular bottles from Japan remained in circulation in Europe up to the 19th century, as can be seen in a painting by James Tissot (1836–1902). The bottle featured in Tissot’s work, however, is quite similar, in terms of its shape and decorative elements, to the white porcelain angular bottles that were produced in Korea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which provides evidence of the Japanese influence on porcelain-making in Korea. The white porcelain angular bottles that began to appear in Korea in the late Joseon period were truly distinct from earlier earthenware that were mostly produced on the spinning wheel. Chinese and Japanese porcelain makers were already familiar with rolling and making slabs to “build” porcelain ware in the shapes they desired.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angular bottles that Korean porcelain makers began to produce during this period were also made in a similar fashion. Jeungbosallim-gyeongje (增補山林經濟) provides records of the slab-building style of making porcelain. The records also attest to the intricacy and difficulty of the new porcelain-making method, supporting the inference that such a technique could have been used for making only small quantities of high-end porcelain ware. It is perhaps due to this difficulty of the technique that there are not many angular porcelain bottles remaining to this day. Interestingly, studies on the excavated Joseon bottles have revealed that, unlike their Chinese and Japanese counterparts, Korean porcelain makers made these bottles not by making porcelain slabs first, but by boring holes into angular-shaped clay dough. Limwongyeongjeji (林園經濟志) suggests that Korean porcelain makers used this technique because the clay found in Korea were more prone to twists and shattering than the white clay of China and Japan. The typical shape of Joseon white porcelain angular bottle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parts—namely, the body, the mouth, and the bottom.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planes making up the body, the bottles can be divided into rectangular or Type-I bottles, and square or Type-II bottle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mouths, the bottles can be divided into round-mouthed or Type-A bottles, and square-mouthed or Type-B bottles. There are three types of bottoms: the flat bottom (Type-a), the heeled bottom (Type-b), and the wooden furniture-style bottom (Type-c). There are also specific techniques of coupling and decorative patterns associated with each of these types. The white porcelain angular bottles of late Joseon, unlike their counterparts in China and Japan, show a gradual evolution of the shapes of the mouths and bottoms over time. In particular, square mouths, and heeled and wooden furniture-style bottoms are found only on Joseon’s angular bottles. The Joseon bottles also show different decorative patterns for different shapes. Bottles with round mouths, for example, are ornamented with portraits of landscapes, potted trees, flowering plants, and verses from famous poetry that are associated with the literati. Square-mouthed bottles, on the other hand, show a wider range of ornamental patterns. In addition, the shapes of the mouths and ornamental patterns on the tops are rather subdued on round-mouthed bottles but prominent on square-mouthed ones. With these characteristics, it can be inferred that round-mouthed bottles were perhaps produced earlier than square-mouthed ones. Bottles with blue and white (靑畵) ornaments are found among earlier angular bottles. However, these bottles went on to take on various decorations and patterns in the forms of blue and white (靑畵), reliefs (陽刻), cheongchae (靑彩) and cheolchae (鐵彩). Landscapes and plants were popular patterns featured on many bottles regardless of when they were produced, but, as time passed, patterns of auspicious animals and plants that reflected the Japanese influence were increasingly used. White porcelain ware in general grew excessively decorative, amid the increasing popularity of auspicious patterns, toward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he white porcelain angular bottles of Joseon appear to have been produced, in the early days, for high-end clients, as quality bottles bearing patterns associated with the royal family are also found among them. With time, however, more bottles were produced with typical, patternized ornaments of popular designs that probably reflected the growing demand for and popularization of these bottles. There was growing desire in the late Joseon society, particularly inspired by the Qing culture and 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 thought, to discover and learn about the outside world, and to promote trade and commerce as a new pillar of the Joseon economy. The introduction of Japanese porcelain ware into Joseon must have directly influenced the production of white porcelain angular bottles. Records of the Joseon envoys to Japan and works by the Joseon intelligentsia who wished to learn the examples of the Qing culture deemed Japanese porcelain ware in a favorable light, even going so far as to argue that Koreans should adopt such advanced techniques. This public sentiment must have supported imports of Japanese porcelain ware into Joseon by such channels as Japanese officials, Joseon envoys, and public and private trade, as well as black market smuggling. Because Japanese porcelain ware was held in high regard in Joseon, they were used as vessels to hold sacred relics at Buddhist temples and were also buried with kings and queens in their tombs. Relics of Japanese porcelains were excavated from the Jongmyo Square, which showed that the porcelains were used in general households by the late 18th century. Joseon porcelain makers began to copy and emulate Japanese porcelain ware in the early 19th century, attesting to the pervasive Japanese influence. The white porcelain angular bottles of late Joseon thus share much in common with their Japanese counterparts in terms of shapes, patterns, and ornamental structures. Among the excavated Joseon angular bottles were those bearing the popular patterns of traditional Japanese art, such as pine bark (松皮菱文), flower petals on flowing water (花流水文), and quails and millet (粟鶉文). Some bottles also showed geometric patterns filling up their entire bodies, while others were kraak-style blue-and-white porcelains. Based on these findings and analys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inds that these bottles have their origin in the angular glass bottles of Europe. Second, this study shows that the production of these bottles in Joseon was directly influenced by the white porcelain angular bottles of Japan. Third, using newly discovered written records and analyzing the shapes of these bottles, this study attempts to uncover when, how, and where these bottles were made in late Joseon. Fourth, this study surmises, with some proof, that these white porcelain bottles are most likely to have been used by the upper class, including the literati, which had access to high culture. Fifth and finally, this study reveals that, unlike their Chinese and Japanese counterparts that were produced mostly for exports, the angular porcelain bottles produced in Joseon catered mostly to the tastes of a domestic clientele.;本論文は、朝鮮時代後期に至って新たに登場する白磁四角瓶を対象とし、造形の起源を求め、中国および日本における白磁四角瓶の製作背景と現況を考察した後、現存する作品の器形および装飾の分析を通して、朝鮮後期における白磁四角瓶の実体を究明し、その意義を把握することを目的とするものである。 白磁四角瓶は、長方形の胴体で、肩を斜めに角を削り、口縁と底部を合わせた器種である。白磁四角瓶の登場および製作は、東アジアの国際的な時流のなかで理解できるが、16世紀から始まった中国のヨーロッパ輸出用磁器と深く関連している。当時、中国では大量に青花を生産しており、ポルトガルを筆頭にしたヨーロッパとの貿易取引を通して青花白磁を輸出するなかで、ヨーロッパでは中国磁器に対する想像以上の熱風が吹いた。ヨーロッパ人は中国磁器を完成品として輸入して消費するだけでなく、彼らの嗜好と趣向に合わせた磁器を直接注文し、使用した。オランダ東インド会社の注文書には、インク壺、マスタード壺、理髪用皿、コーヒーカップなどヨーロッパ式生活に合わせた器形を注文した記録があるだけなく、藍浦の『景徳鎮陶録』を通してもヨーロッパの注文用磁器についての記録を確認できた。 四角瓶は、当時ヨーロッパ、特にオランダの風俗画と静物画からヨーロッパのガラス製四角瓶に造形の起源があることを明らかにできた。本来ワインやジンを詰めるため使用されたガラス製四角瓶が、ヨーロッパに吹いた中国磁器熱風と共に注文、製作された青花として解釈される。しかしヨーロッパ注文磁器として生産された中国白磁四角瓶は、明末清初の政治的混乱期のなかで輸出航路が塞がれると、ヨーロッパ輸出磁器の座は日本に移る。日本もまた輸出磁器として白磁四角瓶を製作するようになるが、中国の白磁四角瓶とは異なる造形の変化を窺えた。中国の場合、ガラス瓶を忠実に模倣しようとして努力した半面、日本の白磁四角瓶は次第に肩を斜めに削り、外反形の口縁が付けられた。このような日本の白磁四角瓶は、ジェームズ・ティソ(JamesTissot, 1836-1902)の作品から、19世紀まで持続したことが分かった。ところで絵画の中の瓶は、朝鮮時代後期に製作された白磁四角瓶の造形と様式特徴が類似し、実物資料のなかで連関性が高く、日本磁器 との相関関係を想定できた。 朝鮮時代後期に新たに登場した白磁四角瓶は轆轤成形で製作された器形とは全く異なる造形的特徴を持っており、既存とは異なる製作技法が必要であったものと判断される。中国・日本の場合、扁平に板を延ばし、望む形に切り貼りするタタラ成形によって白磁四角瓶を製作することで知られている。 造形の特徴は、製作工程とも密接な関連があるため、朝鮮で製作された白磁四角瓶もまた、タタラ成形で製作された可能性が大きい。18世紀の実学者、柳重林の『増補山林経済』にタタラ成形に関する内容が記録されており、白磁製作にタタラ成形が用いられたことが確認できた。 記録を通して、タタラ成形は製作工程が煩雑で難しく、細やかさと高度な集中力が必要な製作技法として、少数の高級磁器製作のために使用されたことを推定できた。製作工程の難しさからか、残存する白磁四角瓶の数量は多くない。一方、中国・日本とは異なり、朝鮮の白磁四角瓶はタタラ成形の他に刳り貫き成形を併用していたことが発掘調査の結果から確認できた。朝鮮において刳り貫き成形を併用した理由について、徐有榘の『林園経済志』を踏まえるならば、原料の属性上、器面の歪みや破損が生じる可能性が、中国・日本の白土に比べて高いためと見られるが、このような問題を最小化するためのひとつ方策であったと理解できる。 伝世する白磁四角瓶の造形を基準として胴体、口縁、底部に大きく3部分に分けることができる。造形の中心となる胴体を中心として長方形の胴体をⅠ類型、正方形胴体をⅡ類型に区分し、口縁は円形をA、四角形をBに分けた。最後に底部はガ(平底形)、ナ(アングプ[内側が深い高台形式]形)、ダ(木家具形)に分類して考察した。その結果、各類型別に結合の様相が明らかになり、これは装飾とも結びつく傾向性を持つことが分かる。 朝鮮時代後期白磁の四角瓶は中国・日本の場合とは異なり、口縁部と底部の形が時間の流れと共に変化する様相を示す。特に四角形の口縁とアングプ、木家具形の高台は、中国・日本とは異なり、朝鮮時代後期白磁の四角瓶にのみ現れる様式的特徴であった。器形と文様の間に結合様相も把握できたが、円形口縁には、文人階層で愛好された山水、盆栽、花卉、詩銘文などが主に施され、四角形口縁は、文人文化と関連する文様以外にも多様な文様主題を使用して装飾した。また円形口縁にはよく現れない口縁と胴体上面の装飾が四角形口縁には際立って現れることを確認できた。このような点から、円形口縁が付着した四角瓶が、やや先行して製作された可能性が高い。 装飾は、無文白磁の四角瓶のほか、青花、陽刻、瑠璃釉、鉄彩など淡色彩技法の白磁四角瓶も確認され、後期に行くほど装飾性が強調され、文様主題においては初期から絶えず施文された山水文、植物文だけでなく日本要素と共に吉祥性を帯びた文様主題が次第に好まれたことが分かった。これは朝鮮時代後期白磁に現れる装飾化深化の傾向と吉祥文の愛好現象のような脈絡から解釈できる。また朝鮮時代後期白磁四角瓶は王室向けの銘文がある良質の四角瓶も確認されるが、次第に同一の文様主題を反復して施文したり典型化・パターン化された四角瓶も確認されるという点に需要の拡大と、加えて底辺化する姿を観察できた。 朝鮮時代後期は、北学と実学思想を中心に新文物についての熱意が大きく、商工業を増進させようとする動きが活発になった。このような時流のなかで日本磁器が朝鮮に流入し、白磁四角瓶が製作される直接的な要因が提供されたものと推測できる。当時、朝鮮通信使の使行時の記録と北学派知識人の間では、既に日本磁器に対する肯定的な認識が伴われている。このような認識は、日本磁器の朝鮮流入という自然な結果を導き出し、倭館および通信使を通じた公貿易、私貿易、密貿易を通して、日本磁器が直接朝鮮に流入された状況を確認できた。日本磁器は、舎利具として使用されたり、王室の墳墓で出土するなど、朝鮮内において高級磁器であったと考えられ、それ以後、宗廟広場遺跡でも日本磁器が出土し、18世紀後半には民間でも使用されたことが分かる。19世紀初には、日本磁器を模倣した磁器が朝鮮内で製作・使用された点から見て、日本の影響が小さくなかったことを示唆している。 このような背景のもと登場した朝鮮時代後期白磁四角瓶は、器形上の類似性だけでなく文様主題と構図にも日本要素が強く反映されており、注目される。文様主題においては、日本の伝統文様としてよく知られている松皮菱文・花流水文・栗鶉文などが施文された四角瓶が伝世しており、胴体全面に幾何学文で埋め尽くすように施文したり‘ㄱ’字の楔形のカラック様式の文様を端に配した白磁四角瓶も確認された。 このような内容を元に、朝鮮時代後期白磁四角瓶が持つ意義を整理するならば、次の通りである。第一に、四角瓶の造形がヨーロッパのガラス製四角瓶をルーツとすることを明らかにした。 第二に、白磁四角瓶が朝鮮で直接的に製作できた背景には、日本の白磁四角瓶の影響が大きかった。第三に、これまで朝鮮時代後期の白磁四角瓶について製作時期、製作方法、製作地などの大部分が不明であったが、文献記録と伝世品の様式分析を通して、直接的・間接的に分かった。第四に、白磁四角瓶は、主に文人階層を始めとして高級文化を共有する階層を対象とした良質白磁として使用された可能性が高かった。最後に、輸出を目的とした中国・日本の白磁四角瓶とは異なり、朝鮮内部の嗜好と趣向を反映して独自的に製作・使用されたものと結論付ける。;본 논문은 조선후기에 새로 등장하는 백자 사각병(四角甁)을 대상으로 조형의 연원을 찾고 중국·일본의 백자 사각병 제작 배경과 현황을 살펴본 후, 현전하는 유물의 기형 및 장식분석을 통해 조선후기 백자 사각병의 실체를 규명하고 그 의의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백자 사각병은 長方形의 동체에 어깨는 비스듬히 모깎기하고 구연과 저부를 부착한 기종이다. 백자 사각병의 등장과 제작은 동아시아의 국제적인 시류 속에서 이해할 수 있는데 16세기부터 시작된 중국의 유럽 수출용 자기와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다. 당시 중국에서는 대량으로 청화백자를 생산하고 있었고 포르투갈을 필두로 한 유럽과의 무역거래를 통해 청화백자가 수출되면서 유럽에서는 중국자기에 대한 상상 이상의 열풍이 불었다. 유럽인들은 중국자기를 완제품으로 수입해 소비하는 것에 국한하지 않고 직접 그들의 기호와 취향에 맞춘 자기를 주문해 사용했다.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의 주문서에는 잉크호, 머스타드병, 이발용접시, 커피잔 등 유럽식 생활에 맞춘 기형을 주문한 기록이 있을 뿐만 아니라 남포의『景德鎭陶錄』을 통해서도 유럽의 주문용자기에 대한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사각병은 당시 유럽, 특히 네덜란드의 풍속화와 정물화를 통해 유럽의 유리제 사각병에 조형의 근원을 두고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본래 와인이나 진(GIN)을 담는 용도로 사용한 유리제 사각병이 유럽에 분 중국자기 열풍과 더불어 청화백자로 주문·제작된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유럽 주문자기로서 생산되던 중국 백자 사각병은 明末淸初의 정치적 혼란기에 수출 항로가 막히게 되자 유럽 수출자기의 자리를 일본에 내어주게 된다. 일본 역시 수출자기로서 백자 사각병을 제작하게 되는데, 이때 중국의 백자 사각병과는 다른 조형상의 변화가 감지되었다. 중국의 경우 유리병을 충실히 방제하고자 노력한 반면, 일본의 백자 사각병은 점차 어깨를 비스듬히 모깎기 하고 외반형 구연이 부착되었다. 일본 백자 사각병의 조형은 제임스 티소(James Tissot, 1836-1902)의 회화 작품을 통해 19세기까지도 지속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런데 그림속의 병은 조선후기에 제작된 백자 사각병의 조형과 양식 특징이 유사하고, 실물자료 중에 상호 연관성이 높아 일본자기와의 상관관계를 상정할 수 있었다. 조선후기에 새롭게 등장한 백자 사각병은 물레성형으로 제작된 기형과는 전혀 다른 조형 특징을 가지고 있어 기존과는 다른 제작 기법이 필요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중국·일본의 경우 편평하게 판을 밀어 원하는 모양을 잘라 붙이는 판성형을 통해 백자 사각병을 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형의 특징은 제작 공정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조선에서 제작된 백자 사각병 역시 판성형을 통해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18세기 실학자 柳重林의『增補山林經濟』에 판성형에 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어 백자 제작에 판성형이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록을 통해, 판성형은 제작 공정이 까다롭고 어려워 세심함과 고도의 집중력이 필요한 제작기법으로 소수의 고급자기 제작을 위해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제작공정의 어려움 때문인지 남아 있는 백자 사각병 수량은 많지 않다. 한편, 중국·일본과 달리 조선의 백자 사각병은 판성형 이외에 속파기 성형을 병용해 사용한 것으로 발굴조사 결과 확인되었다. 조선에서 속파기 성형을 병용한 이유에 대해서는 徐有榘의『林園經濟志』에 기록된바 원료의 속성상 기면의 비틀림이나 파손이 생길 가능성이 중국·일본의 백토에 비해 높기 때문이었을 것으로 보이는데,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하나의 방책이었을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전세하는 백자 사각병은 조형을 기준으로 하여 동체부, 구연부 저부로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었다. 조형의 중심이 되는 동체를 중심으로 長方形 동체를 Ⅰ유형, 正方形 동체를 Ⅱ유형으로 구분하였고, 구연은 원형을 A, 사각형을 B로 나누었다. 마지막으로 저부는 가(평저형), 나(안굽형), 다(목가구형)로 분류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각 유형별로 결합양상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장식과도 연결되는 경향성을 가지는 것으로 파악된다. 조선후기 백자 사각병은 중국·일본의 경우와 달리 구연부와 저부의 형태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양상을 보인다. 특히, 사각형의 구연과 안굽, 목가구형 굽은 중국·일본과 달리 조선후기 백자 사각병에만 나타나는 양식적 특징이었다. 기형과 문양 사이의 결합양상도 파악할 수 있었는데 원형구연에는 문인계층에서 애호된 산수, 분재, 화훼, 시명문 등이 주로 시문되었고, 사각형 구연은 문인문화와 관련한 문양 이외에도 다양한 문양소재를 사용해 장식했다. 또한, 원형구연에는 잘 나타나지 않는 구연과 동체 윗면의 장식이 사각형 구연에는 두드러지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원형 구연이 부착된 사각병이 좀 더 선행해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였다. 장식은 무문이외에 청화, 양각, 청채, 철채 등 단색채 기법의 백자 사각병도 확인되어 후기로 갈수록 장식성이 강조되고, 문양소재에 있어서는 초기부터 꾸준히 시문된 산수문, 식물문 뿐만 아니라 일본요소와 함께 길상성이 부각된 문양 제재들이 점차 선호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는 조선후기 백자에 나타나는 장식화 심화 경향과 길상문 애호현상과 같은 맥락에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조선후기 백자 사각병은 왕실소용의 명문이 있는 양질의 사각병도 확인되지만 점차 동일한 문양 소재를 반복해 시문하거나 정형화·패턴화된 사각병도 확인된다는 점에서 수요의 확대와 더불어 저변화 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조선후기는 북학과 실학사상을 중심으로 신문물에 대한 열의가 컸고 상공업을 증진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했다. 이러한 시류 속에 일본자기가 조선으로 유입되어 백자 사각병이 제작될 수 있었던 직접적인 요인을 제공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당시 조선 통신사의 사행시 기록과 북학파 지식인들 사이에서는 이미 일본자기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 하기도 했다. 이러한 인식은 일본자기의 조선 유입이라는 자연스러운 결과를 도출했고, 왜관 및 통신사를 통한 공무역, 사무역, 밀무역을 통해 일본자기가 직접 조선으로 유입된 정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본자기는 사리구로 사용되거나 왕실 분묘에서 출토되는 등 조선 내에서 고급 자기로 여겨졌고, 이후 종묘광장 유적에서도 일본 자기가 출토되어 18세기 후반에는 민간에서도 사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19세기 초에는 일본자기를 모방한 자기가 조선 내에서 제작·사용된 점으로 보아 일본의 영향이 적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등장한 조선후기 백자 사각병은 기형상의 유사성뿐만 아니라 문양소재와 구도에도 일본 요소가 강하게 반영되어 있어 주목된다. 문양소재에 있어서는 일본 전통 문양으로 잘 알려진 松皮菱文·花流水文·粟鶉文 등이 시문된 사각병이 전세하고 있고, 동체 전면을 기하학문으로 빼곡하게 시문하거나 ‘ㄱ’ 자 꺾쇠형의 크락 양식 문양을 모서리에 배치한 백자 사각병도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내용을 토대로 조선후기 백자 사각병이 가지는 의의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각병의 조형이 유럽 유리제 사각병에 연원을 두고 있음을 밝혔다. 둘째, 백자 사각병이 조선에서 직접적으로 제작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일본 백자 사각병의 영향이 컸다. 셋째, 그동안 조선후기 백자 사각병에 대한 제작시기, 제작방법, 제작지 등 거의 대부분이 불명이었으나 문헌기록과 전세품의 양식 분석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넷째, 백자 사각병은 주로 문인계층을 비롯한 고급문화를 누리는 계층을 대상으로 한 양질 백자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수출을 목적으로 한 중국·일본의 백자 사각병과는 달리 조선 내부의 기호와 취향을 반영하며 독자적으로 제작·사용되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머리말 1 Ⅱ. 백자 사각병의 연원 및 중국일본의 제작현황 4 A. 유럽의 유리제 사각병 6 B. 중국의 백자 사각병 12 C. 일본의 백자 사각병 18 Ⅲ. 조선후기 백자 사각병의 제작기법과 유형 분석 31 A. 제작기법 31 1. 판성형 35 2. 속파기성형 37 B. 기형 및 장식 분석 39 1. Ⅰ유형 41 2. Ⅱ유형 62 Ⅳ. 조선후기 백자 사각병의 특징 및 의의 74 A. 유형 분석을 통한 사각병의 제작기법적 특징 74 B. 백자 사각병에 나타난 일본 요소 81 Ⅴ. 맺음말 93 참고문헌 95 도판목록 110 도판 113 ABSTRACT 120 日文槪要 12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358361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조선후기 백자 사각병(四角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late-Joseon White Porcelain Angular Bottles-
dc.format.pageviii, 12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